• Title/Summary/Keyword: 금호

Search Result 57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업계탐방 - 금호아시아나 인재개발원

  • O, Jeong-Gyu
    • 방재와보험
    • /
    • s.115
    • /
    • pp.64-66
    • /
    • 2006
  • 이번 탐방은 그룹의 경영이념과 전략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임직원들이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도록, 지식경영의 핵심요새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금호 아시아나 인재개발원을 방문하였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대대리에 위치한 인재개발원은 국내 유명골프장 중의 하나인 아시아나 컨트리클럽과도 인접해 있어 아름다운 숲의 전경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탁 트인 전망과 맑은 공기, 빼어난 경관을 자랑한다.

  • PDF

Changes of Nitrogen Fixation Activity and Heavy Metal Accumulation of Vicia amoena Community from Kumho Riverside (금호강유역 갈퀴나물군락의 중금속 축적과 질소고정 활성의 변화)

  • 박태규;박용목;송은주;송승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2 no.3
    • /
    • pp.131-137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ctivity of nitrogen fixation and accumulation of heavy metal and inorganic matter in Vicia amoena community at lower region in Kumho riverside, including Youngchon, Chimsangyo, Paldalgyo, Talseochon and Kumhogyo. The contents of inorganic matter and heavy metal of Kumho riverside soil increased in the down stream in each organ of the plant growing in the riverside. Generally, V. amoena community showed rapid growth of shoot and high value of Top/Root ratio. V. amoena community showed higher water content of shoot at late growth stage and higher chlorophyll content. The root nodule of V. amoena community appeared in April and increased by 0.30, 0.27, 0.24, 0.06 and 0.14 g/plant, and nitrogen fixation activity of nodule attained 20.1, 16.8, 15.4, 8.5 and 5.3 μmol·C₂H₄·g fw nodule/sup -1/·h/sup -1/ for non-contaminated area Youngchon, Chimsangyo, Paldalgyo, Talseochon and Kumhogyo, respectively, in June:. Nodule formation and nitrogen fixation activity were reduced in the down stream by the soil contamination and heavy metal accumulation and showed minimum values. at Talseochon and Paldalgyo. V. amoena showed growth adaptation against heavy metal toxicity by restricting heavy metal such as Pb, Cu, Zn, Fe from transport, and by accumulating high Ca ion in shoot, nitrogen and phosphorus in root at late growth stage than those at early one, respectively, but total heavy metal per plant showed higher values in shoot than those in root by high T/R ratio of plant growth.

  • PD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a Sea Area due to the Discharge through Yongam-Kumho Sea Dike (영암-금호방조제 방류에 의한 해역의 수리적 특성)

  • Kim Kang-Min;Kim Sang-Hoon;Ryu Ha-Sang;Jeong Dae-Deu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8 no.10 s.96
    • /
    • pp.925-931
    • /
    • 2004
  • Due to the development of Yongsan river estuary weir and Yongam-Kumho sea dike, Mokop coastal area is changed. Especially, Discharged water through Yongsan river estuary weir and Yongam-Kumho sea dike, may muse the environmental influences such as the changes of currents pattern and sedimentation in the vicinity of semi-closed Mokpo harbor. This study deals wit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discharge through estuary weir and sea dike, based on that, we analyzed a characteristics of a sea area from simulatio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known that discharge mused the changes of a tidal currents pattern and calculated depth variations showed close relation with tidal circulation.

Physical Geographical Background of Geotourism Resources in Gumho River Basin (금호분지 내 지리관광자원의 자연지리학적 배경)

  • Son, Myo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2 no.2
    • /
    • pp.202-214
    • /
    • 2006
  • In this paper Gumho drainage basin is divided into six geomorphic units (Bohyeon, Palgong, Biseul mountainous areas and Yeongcheon, Gyeongsan, Daegu basin), and physical geographical background 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geotourism resources in each geomorphic unit are examined. Most(32 sites, 78%) of geotourism resources in Gumho basin reflect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rest(7 sites, 17%) of them reflect geological environment. There are three geomorphological resources in Bohyeon mountainous areas, eight geomorphological resources in Palgong mountainous areas, and five geomorphological resources and one cultural resource in Biseul mountainous areas. There are two geomorphological resources, one geological resource, one biological resource, and two cultural resources in Yeongcheon basin. Among them one biological resource and and one cultural resource reflect local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In Gyeongsan basin are there one geomorphological resource, three geological resources, and one biological resource, but one biological resource reflects local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There are eight geomorphological resources, two geological resources, and three biological resources in Daegu basin. But two biological resources among them reflect local geomorphological environment.

  • PDF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Ecotour Resources in the Gumho-river Basin (금호강 유역 생태관광자원의 교육적 활용방안)

  • Choe, Jae-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0 no.4
    • /
    • pp.727-743
    • /
    • 2004
  •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ecotour resources in Gumho-river basin and to study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ecotour resource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ecotour resources in Gurnho-basin, this research carried out a literature review about Gumho-river basin and arranged ecotour resources by different types. Ecotour resources are divided into geomorphic and geologic resources, plant communities, wildlife habitats, cul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regional events with eco-resources. The case studies of New Zealand present good examples of how to successfully use the ecotour goals as a educational applications to Korea. The ecotourism in Korea has not still achieved the real benefits which meet environmental conservation, regional economic advantages and educational effects. Thus, the ecotour programmes should be include entrance limitations, strict opening time schedules, natural trails, museums for study, boards for study, well trained information officers and guides organized by residents. In addition, the local residents prepare of winter programmes for sustainable economic advantages.

  • PDF

Estimation of Ungauged Watershed Streamflow using Downstream Discharge Data -In the Case of Kumho River Watershed- (하류 유량자료를 이용한 상류 유역의 미계측 유출량 추정 - 금호강 유역을 대상으로 -)

  • Jung, Young-Hun;Park, Jong-Yoon;Kim, Seong-Joon;Kim, Chi-Young;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78-878
    • /
    • 2012
  • 도시개발에 따른 인구증가와 강수의 계절적 편중 등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수자원량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유역의 가용 수자원량의 파악과 이에 따른 최적배분이 필요하다. 이러한 하천유량은 우량이나 수위와 같이 연속관측이 어렵기 때문에 관측치가 한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자연하천에서 실시간으로 유량자료를 생산하는 것은 많은 인력과 장비, 경비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량자료의 생산에 있어서 시간과 비용의 경제성 등을 고려하고 좀 더 효율적인 방법을 찾기 위하여 낙동강 유역의 제 1지류인 금호강 유역 내에 위치한 동촌 수위관측소의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상류에 위치한 금호 단포교 지점을 미계측 유역이라 가정한 후 유량추정방법에 따른 적용성 검토를 위해 강우-유출모형인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과 유역면적만을 활용하는 비유량법(Drainage-area ratio method), 유출에 영향을 주는 지형인자를 이용하는 지역회귀방법(Regional regression method)을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비교하였다. 모의된 결과, 동촌 금호 단포교 지점의 연간 상하류 유량비교에서 유량반전은 없었으며 비유량법의 유량추정에서는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2008년과 2009년의 가뭄으로 인하여 강우-유출모형의 유량추정에서는 낮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지역회귀방법에서는 수위관측소별 유황자료를 종속변수로 유역면적, 유역평균경사, 유로연장을 독립변수로 하는 회귀식을 산정하여 비교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사용된 자료수가 적고 수리구조물을 이용한 회귀수량 등으로 인하여 갈수량이 실측유량과는 다소 차이가 발생하였다. 미계측 유역의 유량추정시에는 자료의 축척기간과 연도별로 안정된 호우사상, 유역의 적절한 배분에 따라 결과치가 좌우되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량추정은 관측 자료를 기초로 한 간접적인 방법들이였다. 결과적으로 금호강 유역의 동촌 지점을 이용하여 유량추정방법들을 적용해본 결과 비유량법과 강우-유출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적정하였으나 관측 자료의 축적기간이 길고 상하류 간의 유량이 안정된 유역에서는 지역회귀방법의 적용으로도 안정된 유량을 산정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Hydrological Variables of the Gum Ho River Basin Using Landsat TM Data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한 금호강 유역 수문변수 산정)

  • Kim, Gwang-Seob;Park, Ha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81-208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가용 Landsat TM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금호강유역의 수문변수를 산정하였다. 대상 유역인 금호강유역은 대구시를 포함한 하천유역으로 도시화로 인한 유역 환경변화가 매우 심한 지역이다. 대상유역의 수문변수의 변화가 유역 생태 및 수문순환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위성자료를 활용한 광역에 대한 수문변수 산정과 시공간변화 특성의 자연적요인은 물론 인위적인 요인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가용한 Landsat자료는 30-120m의 뛰어난 공간분해능과 다양한 관측 밴드를 가지고 있어, 수문변수 산정 및 유역 환경변화를 파악하기에 적합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1985, 1998, 1999년, 2001년 Landsat TM자료를 이용하여 대상지역에 대한 기하학적 보정 등 전처리과정을 거쳐 정규화 식생지수(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와 이와 연계한 엽면적지수(LAI; Leaf Area Index)를 산정하였으며 토지피복변화를 분석하였다. Landsat자료를 이용한 광역의 토지피복변화와 수문변수변화 분석을 통하여, 위성관측기법 이용한 유역 수문변수 변화특성 도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Trend Analysis of Distribution on Stream Qualities in Gumho River

  • Kim, Jong-Tae;Lee, Byeung-Jae;Kim, Jin-Yo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18 no.3
    • /
    • pp.713-719
    • /
    • 2007
  • 금호강수계를 대상으로 1998년부터 2007년까지의 환경부의 수질측정망 대상수질자료를 이용하여 월별 수질경향을 LOWESS 경향분석법을 적용하여 장기수질경향을 분석하였다. 금호강을 상류, 중류, 하류로 구분하여 각각 3개 지점의 수질측정망에 대해서 대표수질항목인 BOD, TN, TP, EC에 대하여 수질환경 오염의 장기 경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금호강의 위치에 따른 수질오염의 연도별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수질 개선의 지방자치나 중앙의 수질 정책과 행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