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형강

Search Result 171,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금형산업과 B2B

  • 류병우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2002.01a
    • /
    • pp.27-29
    • /
    • 2002
  • ◈전방 산업 ·기계공업 자동차, 우주항공, 공작기계, 측정기기 ·전자(전기)공업 가전, 전기용품, 반도체 ·성형가공공업 플라스틱, 고무, 유리 등 ·생활용품공업 완구, 문구, 주방기기 ·건축자재공업 PVC 파이프, 알미늄섀시 ·광학정밀공업 의료기기, 광학기기 ◈후방 산업 ·금형 소재 및 금형부품 금형강, 공구강, 다이세트, 몰드베이스 ·공작기계/공구산업 선반, 밀링, 공구 ·열처리/표면처리산업 담금질, 풀림, 침탄 ·설계/엔지니어링산업 CAD/CAM/CAE ·산업디자인산업 프로토타입, 목형(중략)

  • PDF

Tool Wear and Cutting Characteristics in the Machining of Die Material using Ceramic Toll (세라믹 공구를 이용한 금형강 가공시 공구마멸과 절삭특성)

  • 손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04a
    • /
    • pp.114-118
    • /
    • 1996
  • Evaluation of cutting condi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 to improve productivity and quality. In this study, the wear and cutting characteristics(cutting force, acoustic emission signal and surface roughness) of ceramic cutting tool for hardened die material(SKD11) were investigated by experiment. Flank wear on relief face of tool was occurred more dominant than crater wear on rake face. Experiments were performed under the various cutting condition.

  • PDF

Heat and Surface treatments for the Longevity of Prehardened Steels (사출금형용 프리하든 강의 수명 향상 기술)

  • Kim, Sung Wan;Moon, Kyoung Il;Kim, Sang Gweon;Cho, Yong 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eat Treatment
    • /
    • v.18 no.6
    • /
    • pp.383-393
    • /
    • 2005
  • 본 고에서는 사출금형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프리하든 강의 수명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열 표면처리 기술에 대해 소개하였다. 이러한 열 표면처리 기술 및 기술 적용시 고려해야할 점을 다시 정리해 보면, 제조하는 대상물을 고려한 최적 금형 재료의 선택 (표 1~3) 선택된 금형의 물성을 최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열처리 선택 (표 4) 금형의 사용 환경을 고려한 최적 열 표면처리 선택 (표 5) 질화 열처리에 의한 수명 향상 피로 수명이 중요한 경우 : 질화층 $100{\mu}m$이내 열간 내마모성, 크립저항성이 요구되는 경우 : 질화층 $300{\sim}400{\mu}m$ TiN, CrN 등 세라믹 코팅에 의한 성능 향상 내식성 중요시 CrN, DLC의 적용 내마모성 및 초저마찰계수의 구현 : 방향성 코팅, 나노구조화 금형의 국제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품위 금형 제조 기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하여, 표면개질처리가 필수불가결하다는 것이다. 또한, 열 표면처리에는 각각의 특징이 있고, 적용 상황의 미묘한 차이에 따라 특성이 바뀌기 때문에 고품위, 품질 금형을 얻고자 하면 어느 때보다 사용자, 금형기술자, 열 열 표면처리 기술자들과의 협력이 요구된다.

금형공장에 있어서의 수주 Simulation

  • 강무진;김영기;이무성;도성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04b
    • /
    • pp.252-256
    • /
    • 1993
  • 제조업으로서의 금형공장은 수주에서부터 출하까지의 과정에 금형설계와 공정설계및 가공계획, 그리고 금형제조 등 여러 기능을 표함한다. 금형제조는 다시 작업 일정의 계획, 작업지시, 작업현황의 모니터링 및 실적관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금형제작에 필요한 이들 각 기능간에는 일련의 생산정보가 생성, 전달 및 이용되며 서로 영향을 주는 상호종속관계 (Interdependency)가 존재한다. 금형의 주문 은 납기 및 제품도와 함게 주어지는 금형제작 의뢰로부터 시작된다. 금형제작의 의뢰가 들어오면, 우선적 으로 주문자가 요구하는 납기일과 현재의작업부하 및 생산능력을 토대로 그 주문을 받을 수 있는 지에 대한 수주 타당성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함께 수주 담당부서에서는 원가견적을 산출하여 수주을 받을 것인가에 대한 가.부를 결정한다. 수주가 확정되면, 수주 검토단계에서 금형을 구성하는 주요부품 (Cntical Parts)들에 대해 수립된 대일정 계획에맞추어 설계가 시작된다.금형설계과에서는 주어진 제품도를 토대로 금형설계도를 작성하고, 금형설계가완료되는 대로각 부품의 제조에 필요한 공정 및 그 순서, 그리고 각 공정에 소요되는 공수, 가공조건 등을 결정하는 공정설계가 이루어진다.

The Effect of Optimum In-process Electrolytic Dressing in the Mirror-like Grinding of Die steel by Superfind Abrasive wheel (초지립 지석에 의한 금형강 경면연삭시 최적 연속 전해드레싱의 영향)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ngineers
    • /
    • v.8 no.6
    • /
    • pp.16-25
    • /
    • 1999
  • In recent years, grinding techniques for precision machining of brittle materials used in die, model and optical parts have been improved by using superfine abrasive wheel and precision grinding machine. The completion of optimum dressing of superfine abrasive wheel makes possible the effective precision grinding of die steel(STD-11). In this study, a new system and the grinding mechanism of optimum in-process electrolytic dressing were proposed. This method can carry out optimum in-process electrolytic dressing of superfine abrasive wheel. Therefore, the optimum in-process electrolytic dressing is a good method to obtain the efficiency and mirror-like grinding of STD-11.

  • PDF

Turning of Plastic Mold Steel(STAVAX) using Whisker Reinforced Ceramic (단침보강 세라믹 공구를 이용한 플라스틱 금형강(STAVAX)의 선삭가공)

  • Bae, Myung-Il;Lee, Yi-S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 /
    • v.11 no.6
    • /
    • pp.36-41
    • /
    • 2012
  • In this study, we turning plastic mold steel (STAVAX) against cutting speed, depth of cut, feed rate using whisker reinforced ceramic tool (WA1). To predict cutting force, analyze principal, radial, feed force with multi-regression analysis. Results are follows: From the analysis of variance, affected factor to cutting force feed rate, depth of cut, cutting speed in order and cutting speed was very small affect to cutting force. From multi-regression analysis, we extracted regression equation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was 0.9, 0.88, 0.856 at principal, radial and feed force. It means regression equation is significant. From the experimental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principal, radial and feed force was predictable by regression equation.

Study on Life Evaluation of Die Casting Mold and Selection of Mold Material (다이캐스팅 금형의 내구 수명평가와 금형강 소재 선정에 대한 연구)

  • Kim, Jinho;Hong, Seokmoo;Lee, Jong-C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 /
    • v.12 no.3
    • /
    • pp.7-12
    • /
    • 2013
  • In Die casting process, the problem of die degradation is often issued. In oder to increase of die life the material degradation of die steel was investigated using test core pins. Three test core pins were positioned in front of the gate entry and observed washout and soldering resistance during Mg die casting process. The test parameters are set as different commercial die materials, coatings condition and hardness of die surface. Usign 220t magnesium die casting machine was employed to cast AZ91 magnesium alloys. After 150 shots, macroscopic observation of die surface was carried out. Additional 50 cycles later, test pins were chemically cleaned with 5% HCl aqueous solution to find out the existence of washout and soldering layers. Micro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die surface and the die roughness measurement were performed together. Computational simulation using AnyCasting program was also beneficial to correlate the extent of die damage with the position of test pin inside die cavity. As results, the optimal combination of die steel with productive coating as well as its hardness was drawn out. it will be helpful to decide the material and condition considering increasing of tool life.

A Study on PVD coating technology for Metallic Bipolar Plate Forming Mold (연료전지용 금속분리판 성형 금형 장수명화 코팅 기술 연구)

  • Kim, Eun-Yeong;Jeon, Yu-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166-166
    • /
    • 2011
  • 연료전지 핵심 부품 가운데 하나인 분리판(Bipolar plate)는 막전극체(MEA), 기체확산층(GDL)과 함께 발생한 전류의 수집 및 전달, 반응 가스의 수송, 반응/생성물의 수송 및 제거, 반응열 제거 등을 위한 냉각수 전달 등의 다양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역할을 위하여 분리판은 우수한 전기전도성, 열전도성, 화학적 안정성이 요구되어 진다. 기존의 연료전지용 분리판은 흑연계 소재 및 수지와 흑연을 혼합한 복합 흑연 재료를 통해 제조하여 요구 되어지는 물성을 만족시켜 왔으나 흑연계 분리판의 경우 강도 및 가스 밀폐성 측면에서 낮은 특성을 보이며 특히 고가의 제조 공정 비용과 낮은 양산성으로 인하여 자동차 연료전지 상용화에 수많은 해결 과제를 안고 있었다. 흑연계 분리판의 이러한 문제점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로 최근 금속계 분리판의 적용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금속계 분리판은 양산 제조 공정이 적용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자동차 연료전지 스택의 경량화 및 박판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박판의 스테인리스강을 소재로 적용한 금속분리판의 양산을 위하여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연구가 바로 금형 코팅 연구이다. 일반 자동차 생산 금형을 평균 약 50만타로 예측한다면 연료전지 금속계 분리판 성형 금형의 현재 수명은 약 10만타로 추정 가능하다. 이러한 원인은 고하중의 프레스 사용과 정밀 금형으로 인한 극한 공정 조건으로 야기된 결과이며 문제 해결을 위하여 성형 금형에 PVD 코팅 적용 연구를 진행하였다. 성형 금형의 PVD 코팅 적용을 통하여 금형 교체 주기 감소를 통한 생산 원가 절감 및 이형성 개선을 통한 성형성 확보를 목표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