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금은광상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8초

가사도 화산성 천열수 금은광상의 열수변질대 분포 및 성인: 탐사에의 적용 (Hydrothermal Alteration and Its Cenetic Implication in the Casado Volcanic-hosted Epithermal Cold-Silver Deposit: Use in Exploration)

  • 김창성;최선규;최상훈;이인우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5-220
    • /
    • 2002
  • 가사도 지역 금은광상은 후기 백악기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화산쇄설암을 모암으로 하여 판상(sheeted) 및 망상(stockwork) 석영맥으로 산출되며, 빗살, 호상 및 깃털조직 등을 보이고 있다 금은광화작용과 관련된 열수변질대는 광물 조합에 따라 고점토대(딕카이트-명반석-석영), 점토대(딕카이트-석영), 견운모대(석영-견운모-황철석) 및 프로필리틱대(녹니석-탄산염광물-석 영-장석-휘석)로 구분된다 고점토대는 등대맥 최상부인 노인봉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그 외각부에서 견운모대 및 프로필리틱대가 산출되고 있다. 석영맥은 석영, 옥수질석영, 아듈라리아, 탄산염광물등의 맥석광물과 함께 미립의 황철석, 섬아연석, 황동석, 방연석, 함은광물, 에렉트럼 등 광석광물로 구성되며, 에렉트럼의 금함량은 14.6~53.7 atomic % Au이다. 유체포유물 및 에렉트럼-섬아연석 지질온도계로부터 추정된 광화작용 온도는 $158^{\circ}C$~285$^{\circ}C$범위로 전형적인 천열수광응의 온도범위를 보이고 있으며, 산소.수소 안정동위원소 연구 결과($\delta^{18}$ /$O_{water}$ =-10.1~8.0$\textperthousand$, $\delta$D=-68~64$\textperthousand$) 동위원소 교환이 적게 진행된 천수로부터 유래된 광화유체로 추정된다. 이러한 변질대의 분포특성, 열수유체의 기원 및 생성환경을 종합해 볼 때, 현재 지표에 노출된 가사도 지역의 광화대는 온천형 저유황성 천열수 금은광상의 최상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중생대 화강암류와 이에 수반된 금-은광화작용 (Mesozoic Granitoids and Associated Gold-Silver Mineralization in Korea)

  • 최선규;박상준;최상훈;신홍자
    • 자원환경지질
    • /
    • 제34권1호
    • /
    • pp.25-38
    • /
    • 2001
  • 한반도 금은광화작용은 중생대 대보화성활동(약 200~130 Ma)과 불국사화성활동(약 120~60 Ma)의 관입시기에 따라 다양한 지질환경에서 형성된 상이한 금속비의 광상이 배태되고 있으며, 각각 서로 다른 정치깊이를 반영하여 광상성인적 유형뿐만 아니라 시 공간적 분포를 보이고 있다. 맥의 산상, 광물학적, 유체포유물 및 동위원소 연구결과에 의하면, 쥬라기 광상은 성인적으로 페그마타이트와 밀접한 연관성을 보이며, 낮은 금은비(Ag/Au ratio)의 금단일형 광상(197~127 Ma)으로 비교적 단순한 광물조합과 높은 금함량의 에렉트럼이 산출된다. 이러한 유형의 광상은 심부기원의 전형적인 괴상 단성맥의 구조를 보이며, 심부(>3.0kb)의 환경조건에서 마그마 기원의 고온성 광화 유체(약 300~45$0^{\circ}C$, $\delta$$^{18}$ O; 5~10$\textperthousand$)로부터 $CO_2$비등현상과 황화작용의 침전 메카니즘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반면, 백악기 금-은광상들은 주로 전형적인 복성맥의 구조를 보이고, 비철금속의 황화광물이외에도 다양한 함은.함은황염 광물조합에 기인한 높은 금은비의 금은혼합형 광상(108~71 Ma) 또는 은단일형 광상(98~71 Ma)으로 산출된다. 이러한 유형의 광상들은 천부의 지질환경(<1.0 kb)에서 지표수의 혼입에 따른 순환수 기원의 비교적 낮은 온도 광화유체(약 200~35$0^{\circ}C$, $\delta$$^{18}$ O; -10~5$\textperthousand$)로부터 비등 및 냉각작용에 의한 복합적인 침전 메카니즘으로 형성되었다. 즉, 쥬라기 금단일형 광상에 속하는 태창 보련 삼황학 대흥광산은 전형적인 심열수~중열수광상으로, 백악기 금은혼합형 광상에 속하는 무극 금왕 금봉 덕음광산과 백악기 은단일형 광상에 속하는 전주일 월유 은적광산은 중열수~천열수광상으로, 가사도광산은 전형적인 화산성 저유황형 천열수광상으로 각각 구분된다. 중생대 대보 화성암체와 불국사 화성암체의 지구조적 특성에 따른 정치심도의 차이는 광화유체의 온도, 압력, 조성 및 기원뿐만 아니라, 유체의 진화과정 및 금-은 광물의 침전 메카니즘을 좌우하며, 결과적으로 금-은광상의 금속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 PDF

한국 금은광산에서 산출되는 유비철석의 조성변화 (Compositional Variations of Arsenopyrite from Gold-Silver Deposits in Korea)

  • 최선규;최인식
    • 자원환경지질
    • /
    • 제31권2호
    • /
    • pp.89-99
    • /
    • 1998
  • 한국의 금은광화작용은 쥬라기 대보화성활동 (121~183 Ma) 및 백악기 불국사화성활동 (60~110 Ma)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이며, 이러한 열수광맥형 금은 광산에서 산출된 유비철석은 광물공생관계 또는 생성환경에 따라 현저한 조성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쥬라기 금광단일형 광상에서 산출된 유비철석은 비교적 높은 As함량 (29.68~33.46 atomic %)으로 균질한 조성을 나타내며, 유비철석 지질온도계에 적용하면 생성온도 및 유황분압은 $370{\sim}450^{\circ}C$$10^{-8}{\sim}10^{-6}$이다. 또한 백악기 금은혼합형 광상과 은광단일형 광상의 유비철석을 쥬라기 광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심한 조성변화 (27.47~32.74 atomic %)를 보이며, $25{\sim}30^{\circ}C$$10^{-12}{\sim}10^{-10}$의 환경 조건하에서 정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금은광맥의 산출상태, 유비철석 지질온도계, 에렉트럼-섬아연석 지질온도계, 유체포유물 연구자료 및 화성암의 정체심도 등을 종합적으로 비교검토한 결과, 쥬라기 금광화작용 (Group IIA)은 심부조건 (약 4~5 kbar)에서 $300{\sim}500^{\circ}C$의 정출환경에서 진행되었지만, 백악기 금은광화작용 (Group III, IV, V)은 1 kbar 미만의 천부조건하에서 $170{\sim}370^{\circ}C$의 온도조건하에서 형성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경주(慶州)망간광산(鑛山) 조사보고(調査報告) (Preliminary Report on the Geology of Gyeongju Manganese Mine)

  • 김옥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3권2호
    • /
    • pp.123-133
    • /
    • 1970
  • 위에서 상논(詳論)한것을 요약(要約)하면, 1) 본(本) 지성(地城)을 구성(構成)하는 지질(地質)은 신나통(新羅統)의 퇴적암류(堆積岩類), 이를 관입(貫入)하는 불국사순(佛國寺純)의 화강록암(花崗綠岩) 및 암맥(岩脈)으로 되어 있다. 2) 광구일대(鑛區一帶)의 퇴적암류(堆積岩類)는 원내(原來)의 퇴적상(堆積相)과 화강섬록암(花崗閃綠岩)의 관입등(貫入等)으로 규화(珪化)되 어 규암(珪岩) 또는 규화(珪化)된 혼펠스로 변(變)하여 있다. 3) 지질구조(地質構造)는 단순(單純)한 배사(背斜)를 나타내 며 퇴적암(堆積岩) 및 화강섬록암중(花崗閃綠岩中)에 수(數) sets의 절이(節理)가 발달(發達)하여 이들에 따라 광화작용(鑛化作用)이 이루어졌다. 4) 광상(鑛床)은 퇴적암(堆積岩) 및 화강섬록암중(花崗閃綠岩中)의 열하에 연(沿)하여 배태(胚胎)하며 연(軟)망간광(鑛) 광맥(鑛脈)과 금은광맥(金銀鑛脈)의 2종(種)이 발달(發達)된다. 5) 금은광맥(金銀鑛脈)은 맥폭(脈幅)이 좁고 주향방향(走向方向)의 연장(延長)이 단속(斷續)되 며 분석결과(分析結果) 금(金)은 없고 은(銀)은 23.3g/t 내지(乃至) 913.3g/t 이여서 가행가치(稼行價直)가 없다. 6) 망강광맥(鑛脈)은 수조(數條)있으나 주목(注目)만한 것은 제(第)4갱맥(坑脈)과 제(第)5갱맥(坑脈)으로서, 전자(前者)는 연장(延長) 120m, 평균맥폭(平均脈幅) 0.5m 추정(推定)되며, 평균품위(平均品位)는 Mn 약(約) 17.5%이다. 후자(後者)도 연장(延長) 120m, 평균맥폭(平均脈幅) 0.6m 추정(推定)되며, 평균품위(平均品位)는 15.7%이다. 7) 광맥(鑛脈)은 후화강섬록암시기(後花崗閃綠岩時期)의 열하의 방위(方位)에 지배(支配)받으며, 주향(走向) 및 경사방향(傾斜方向)으로 전변(轉變)한다. 그러나 규암질모암(珪岩質母岩)의 성질(性質)로 보아 광상(鑛床)이 팽대(膨大)하여질 가능성(可能性)은 없다. 8) 망간 및 금은광맥(金銀鑛脈)은 열수광상(熱水鑛床)에 속(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