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금연 자료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159초

기고 - 전자담배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 박정래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278호
    • /
    • pp.46-55
    • /
    • 2011
  • 최근 국내에서도 전자담배 이용자 수가 늘면서 사업장 금연지도자 보건관리자들로부터 전자담배와 관련한 문의를 부쩍 많이 받고 있다. 필자는 2009년 전자담배 안전실태조사에 전문가 자문을 맡아 참여하였는데, 현 삼성병원 산업의학과 그 연구진행 과정을 대한금연학회에 발표하였고 작년 12월 '전자담배 현황과 대책' 심포지엄에서 주제발표를 하여 전자담배의 안전성과 정부의 관리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한 바 있다. 올해 전자담배에 대한 언론이 더욱 증폭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관련 부처에서도 전자담배의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서는 사업장의 금언지도자 보건관리자들에게 전자담배 논란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근거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전자담배와 관련한 국내 외의 최근 연구동향과 성과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 PDF

자율성 증진 금연 프로그램이 흡연 여고생의 일일 흡연량, 타액 코티닌, 지각된 동기 및 자율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 Autonomous Regulation Improvement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Amount of Daily Smoking, Perceived Motivation, Cotinine in Saliva, and Autonomous Regulation for Girls High School Students who Smoked)

  • 하영선;최연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169-6179
    • /
    • 2015
  • 본 논문은 특성화고 여학생을 대상으로 자율성 증진 금연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일일 흡연량, 타액 코티닌, 지각된 동기 및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경상북도 G시와 K시의 흡연 여학생 47명이었으며, 자율성 증진 금연 프로그램은 주 2회 총 8회 동안 실시되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3년 4월 1일부터 4월 26일까지 약 1개월이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5%하에서 서술적 통계, T-검정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자율성 증진 금연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일일 흡연량이 유의하게 줄어들고(p=.044) 타액 코티닌 음성 반응이 유의하게 많아졌으며(p=.048), 지각된 동기(p=.001)와 자율성(p=.027) 점수는 유의하게 높아졌다. 이는 자율성 증진 금연 프로그램이 학교 금연 프로그램으로 흡연 여고생의 금연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우리나라 성인 흡연자 중 만성질환자의 금연의지 관련 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자료를 중심으로 (Factors related to the willingness of chronic patients to quit smoking among adult smokers in Korea: Focusing on the data of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최미진;최선주;정은영;유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253-261
    • /
    • 2021
  • 본 연구는 만성질환을 앓은 성인 흡연자에서 금연 의지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며, 연구 방법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8)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19세 이상 만성질환자 960명을 대상으로 빈도 분석, Chi-square 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SPSS 26.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수준에 따라 고등학교 졸업(OR=1.328, 95% CI=1.004-1.757), 대학교 졸업 이상(OR=1.556, 95% CI=1.167-2.075), 스트레스는 많을수록(OR=1.602, 95% CI=1.217-2.109), 금연 시도가 있었던 경우가(OR=5.263, 95% CI=4.287-6.462) 금연 의지와 연관이 있었다. 금연 의지가 높은 집단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금연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흡연율을 감소시키며 적절한 스트레스를 해소할 방안을 마련하여 만성질환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금연동기단계에 따른 코칭프로그램이 환자 금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moking Cessation Coaching Program based on Motivation Stage to Stop Smoking of Patients at a Public Hospital)

  • 곽미영;황은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88-19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N시에 소재한 공공병원의 금연클리닉 프로그램을 이용한 흡연 환자(입원 및 외래 포함)를 대상으로 Prochaska와 Diclemente의 변화단계모형(Transtheoretical Model, TTM)을 적용한 금연동기단계에 따른 코칭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대상자의 흡연량, 니코틴의존도,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 소변 코티닌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설계는 금연동기에 따른 코칭프로그램이 환자들의 금연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의 흡연량, 니코틴의존도,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 소변 코티닌을 프로그램 전, 2주, 6주 후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다중반복 간헐적 시계열 설계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자료는 2011년 공공보건의료프로그램 중 금연프로그램을 통해 수집된 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코칭프로그램은 6주동안 중재가 진행되며, 첫방문, 2주째 방문, 6주째 방문에 제공되며, 12주째 금연 유지 상태를 점검한다. 연구대상자의 교육 전과 교육 후 흡연량, 니코틴 의존도,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 소변 코티닌 차이는 카이제곱 검정과 t-test로 비교하였다. 이 연구대상자는 총 47명이며, 남자는 44명(93.62%), 여자는 3명(6.38%)으로 대부분 남자였다. 금연동기단계별 대상자 수는 실천단계가 4명(8.51%), 준비단계는 43명(91.49%)이었다. 금연동기단계에 따른 코칭프로그램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실천단계 집단은 대부분 프로그램 전과 후 흡연량, 니코틴의존도, '0'상태를 유지하였다. 준비단계 집단은 흡연량, 니코틴의존도, 호기 일산화탄소가 프로그램 전과 6주후 유의한 차이를 보이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병원 현장에서의 금연코칭 프로그램은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금연프로그램은 건강한 사람들에 비해 인적 재정적 부담이 더 높다. 따라서 환자들의 금연을 위해 적극적인 인적,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HIV 감염인을 위한 융합금연프로그램 앱 개발 : 사용성 평가 (Development of the Smoking Cessation Convergence Program App for HIV Infected Persons : Usability Evaluation)

  • 김선화;권영란;김미란;안민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8-37
    • /
    • 2019
  • 본 연구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인의 금연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앱을 개발하고 그 사용성을 평가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프로그램은 계획된 행위이론, HIV 감염 및 금연분야의 전문가팀에 의해 개발된 후 휴리스틱 평가와 사용자 평가로 구성된 사용성 평가를 통해 최종 완성되었다. 휴리스틱 평가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세 명의 모바일 전문가에 의해 시행되었고, 확인된 문제는 개선되었다. 사용자 평가는 HIV 감염인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시행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및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모든 참가자는 남성이었고 연령은 40대에서 60대였으며 앱 유용성에 대한 평가는 4.2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참가자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지 않았으며 만족스럽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HIV 감염인의 금연을 위해 개발된 이론기반 융합프로그램 앱이 HIV 감염인에게 사용가능하고 유용하며 HIV 감염인의 금연을 위한 타당한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흡연지식이 금연지도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Self-efficacy and Smoking Knowledge on Their Perception on Guidance for Antismoking)

  • 지민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5-34
    • /
    • 2009
  • 저자는 앞으로 진료실 내 금연지도 활동과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할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흡연지식, 금연지도 인식도를 조사하여, 치과위생사의 효율적인 금연지도활동을 위한 방향 모색과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2008년 5월 19일부터 6월 14일까지 대전, 전북, 전남 지역의 치위생과에 재학생 400명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흡연지식, 금연지도 인식도를 살펴보면, 학년별 자기효능감에서 3학년 48.64점(p = 0.000), 흡연인식별 흡연지식 및 금연지도 인식도에서는 피워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군이 각 51.99점(p = 0.000), 62.40점(p = 0.000)으로 높게 나타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교육관련 의식에 따른 자기효능감, 흡연지식, 금연지도 인식도를 살펴보면, 교육경험별 흡연지식 및 금연지도 인식도에서 교육경험 군이 각 50.60점(p = 0.044), 59.81점(p = 0.004)으로 높게 나타났고, 참석한다는 군도 61.30점으로 금연지도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p = 0.009). 3. 간접흡연 태도에 따른 자기효능감, 흡연지식, 금연지도 인식도를 살펴보면, 자신의 태도별 흡연지식에서 흡연 않도록 부탁하는 군 51.12점(p = 0.000), 간접흡연 금연권고 경험별 항상 한다는 군에서 각 49.43점(p = 0.039), 51.64점(p = 0.000), 62.19점(p = 0.000), 간접흡연 시 많이 불편하다는 군도 각 46.78점(p = 0.010), 50.95점(p = 0.000), 60.54점(p = 0.000)으로 높게 나타났다. 4. 자기효능감, 흡연지식, 금연지도 인식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자기효능감과 흡연지식 (r = 0.102), 자기효능감과 금연지도 인식도(r = 0.272), 흡연지식과 금연지도 인식도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 = 0.352). 5. 금연지도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흡연인식, 흡연지식,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고, 즉 절대로 피워서는 안 된다고 인식하는 군일수록, 흡연지식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금연지도 인식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임상에서 치과위생사의 효율적인 흡연예방 및 금연지도 활동을 위해서 교과과정에서 다양하고 실제적인 내용을 포함한 접근이 필요하고, 관심과 참여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요구되었다.

  • PDF

국내 치과대학병원에서 시행한 단기 금연진료에 대한 조사 (Study on Short Term Smoking Cessation Treatment in Dental Hospitals in Korea)

  • 송제일;이기호;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4호
    • /
    • pp.245-258
    • /
    • 2010
  • 흡연은 전신뿐 아니라 구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의 중요한 위험 인자이며, 치과의사가 금연 치료에 참여하는 것은 개인의 전신 건강과 치주치료와 임플란트 치료 같은 치과 치료의 예후에도 큰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흡연이 구강암과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비교적 흔치 않은 질병으로부터 경미한 구강 내 증상에 이르기까지 구강 환경에 다양한 영향성과 관련한 많은 근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흡연과 구강건강의 관련성에 대한 환자들의 인식 수준을 조사한 연구는 적고, 금연진료에 대한 국내 치의학계의 관심과 참여는 더욱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국내 치과 외래 환자의 흡연 양상과 치과계의 금연 진료 현황을 파악하여 금연 진료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대한치과의사협회 문화복지부의 후원으로 전국 11개 치과대학병원의 구강내과, 구강외과 및 치주과 환자 중 825명이 니코틴 패치를 이용한 4주 금연 프로그램 및 설문에 참여하였고, 297명이 금연 설문에 참여하였다. 각 설문지 분석을 통해 각 치과대학병원의 조사 현황, 치과 외래 환자의 흡연 양상을 분석하였고, 치과에서 시행된 4주간의 금연 치료의 참여목적과 성공률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흡연자는 주로 30-50대 중 장년층이 많았고, 흡연기간은 연령 증가에 비례하며, 하루 흡연량은 30대에서 가장 많았다. 금연시도는 30,40대에서 금연시도 비율이 높았고 그 기간은 대부분 1-3개월이었다. 흡연의 이유로는 스트레스 해소와 습관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Heavy Smoking Index (HSI)는 20대가 가장 낮고 (71.4%) 60대가 가장 높았다(93.7%). 흡연 경고 문구에 대해 참가자의 68%는 금연을 떠올렸다. 구강질환(구강점막질환, 치주질환, 치아우식증)과 흡연의 관련성에 대한 실험참가자들의 인식도는 비교적 높았지만(50~68%) 금연 성공률은 일반 의과진료실에 비해 아주 낮은 결과를 보였다(22.7%). 흡연관련 질환 예방 업무에서의 치과의사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금연치료에 치과의사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낮은 치료 성공율이 체계화되지 못한 진료내용 때문임을 고려할 때, 5As' 방법 등과 같은 금연관련 상담에 대한 지속적인 치과의사 교육과 환자 교육을 위한 다양한 자료의 개발을 통해 금연 성공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시도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Smoking Cessation Attempts among Teenage Smokers)

  • 박혜린;왕연주;김경범;김봄결;권오휘;노진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18-126
    • /
    • 2020
  • 이 연구는 흡연 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흡연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담뱃갑 경고 그림과 금연 시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2018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현재 흡연자인 청소년 3,722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변수 측정을 위해 인구사회학적, 건강관련, 흡연 관련 요인들을 보정한 후 다변수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현재 흡연자인 청소년의 담뱃갑 경고 그림 인지율은 84.7%였으며, 그 중 금연 시도율은 72.8%이었다. 다변수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시도와 담뱃갑 경고그림 인지 여부는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 학년, 주관적 학업성적, 스트레스 인지, 담배 구매 용이성도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흡연 청소년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담뱃갑 경고그림 제작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군집화된 구간 중도절단자료에 대한 치유율 모형의 적용 (Cure Rate Model with Clustered Interval Censored Data)

  • 김양진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1호
    • /
    • pp.21-30
    • /
    • 2014
  • 치유율 모형(cure rate model)은 위험 그룹의 단조 감소에 대한 가정이 부적절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존 분석에서 위험 그룹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여 무한대의 시간대에는 영으로 수렴하며 이는 곧 생존 함수가 영으로 수렴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러한 가정이 적합하지 못한 자료가 의약학, 사회학, 경제학 등에서 종종 발생된다. 즉, 어느 시점에 이르러 더 이상의 생존함수는 감소하지 않고 평행선을 보여주는 경우에 로그 순위검정(log rank test)과 Cox's 비례위험모형(proportional hazard model)의 적용은 바람직하지 못한 결론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자료에 대해 치유율 모형(cure rate model)에서는 사건 발생 취약 그룹(susceptible group)과 비취약 그룹(insusceptible group)으로 나누어 취약그룹에 대해서만 일반적인 생존 분석 방법을 적용하는 혼합 모형(mixture model)을 적용해왔다 (Berkson과 Gage, 1952).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치유율 모형을 군집화 구간 중도 절단 자료(clustered interval censored data)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최근에 Kim과 Jhun (2008)은 구간 중도 절단자료에 대해 치유율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들의 방법을 군집화 자료로 확장할 것이다. 실제 자료 분석의 예로 금연자료를 분석할 것이다.

담배가격 인상에 따른 청소년 흡연율 변화 (Cigarette price rise induced change in youth smoking rate)

  • 민경문;서영호;박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451-46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15년 담배가격 인상정책 전후 청소년 흡연율 변화, 금연시도율 변화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총 800개교의 중학생 및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제9차(2013년), 제10차(2014년), 제11차(2015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들의 일반적 특성, 정신건강 및 주관적 학업성적, 음주 및 흡연관련 특성에 따른 담배가격 인상 전후 흡연율 변화 및 금연시도율, 금연시도이유 중 '담배값이 너무 비싸서' 선택률, 흡연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체 청소년의 현재 흡연율은 2013년 9.7%에서 2014년 9.2%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고, 담배가격 인상 후인 2015년 흡연율은 7.8%로 전년대비 15.2% 감소율을 보여 담배가격 인상 전보다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담배가격 인상정책이 청소년 흡연율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금연동기 및 흡연 예방에도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소년기 흡연자의 대다수가 성인기 흡연자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청소년기의 흡연 예방 및 금연 유도는 매우 중요하다. 향후 흡연실을 허용하지 않는 완전 금연구역의 확대와 담배 광고, 판촉, 후원에 대한 포괄적 금지는 시급히 추진되어야 하며 이미 근거를 바탕으로 작성된 WHO FCTC의 각조약을 충실히 이행할때 금연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