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금연행위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1초

범이론적 모델에 근거한 한국 대학생의 금연행위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moking Cess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Transtheoretical Model in Korean College Students)

  • Paek, Kyung-Shin;Riley, Tracy A.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27-39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금연행위 변화단계를 설명하는데 있어 범이론적 모델 구성요소들의 기여정도를 조사하고 범이론적 모델에 근거한 대학생의 금연행위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일반교양 과목을 수강하는 334명의 대학생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을 통해 범이론적 모델의 구성요소인 금연행위 변화단계, 자기효능감, 의사결정균형 및 변화과정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금연행위 변화 5단계에 따라 자기효능감, 의사결정균형 및 변화과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자기효능감은 금연행위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의 금연 유도를 높이기 위해 범이론적 모델를 적용하는 것이 유용함을 확인하였고 금연행위 변화단계를 고려한 개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대학생의 금연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

일개 대학생 흡연자의 금연 생각과 금연의도가 건강증진행위와 우울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Pathway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HPB) and Depression Cognitive Scale(DCS) on Smoking Cessation Thoughts and Intention to Quit Smoking of College Students who Smoke)

  • 김희정;주세진;김경숙;김미옥;유미;최정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830-1840
    • /
    • 2013
  • 연구는 흡연 대학생의 금연 생각과 금연 의도, 건강증진행위와 우울인지를 파악하고 금연생각과 금연의도, 건강증진행위, 우울인지의 경로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으며 2012년 4월 천안시 소재 N대학에 재학 중인 흡연 대학생 160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금연에 대한 관심/욕구는 금연생각, 금연의도,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전공에 따라 금연의도(p=.034)와 건강증진행위(p=.044)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대안 모형의 경로는 금연의도는 건강증진위를 매개로하여 우울인지에 영향을 주고 금연생각은 우울인지에 영향을 주는 경로 모형이다. 대안 모형의 적합도는 ${\chi}^2$ 1.172, p.279로 GFI .996, RMSEA .033, CFI .998, NFI .987로 나타났고 금연의도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유의하게 높아지며 건강증진행위가 높을수록 우울인지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연생각이 높을수록 우울인지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riandis의 인간상호간 행위이론 (The Theory of Interpersonal Behavior)을 적용한 금연행위 예측 모형 (Development and Test of the Hypothetical Model to Explain Smoking Cessation Behaviors Based on Triandis상 Interpersonal Behavior Theory)

  • 오현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7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test the hypothetical model which explains smoking cessation behavior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Triandis' interpersonal behavior theory.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400 university student smokers enrolled in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Kyung-In province. The study was analyzed by path analysis with LIESREL 8 program. Results: All of the fit statistics, except the Chi-square value, it showed the hypothetical model was well fitted to the data. Benefit, affect, and social influences related to smoking cessation behavior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intention to smoking cessation as shown in the study of the hypothetical model. Perceived barrier and the physiologic arousal related to smoking cessation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performing smoking cessation behavior, whereas numbers of previous attempts to quit smoking and intention to smoking cessation did not.

대학생들의 모바일 앱을 이용한 금연정보탐색과 행위변화 (Information Seeking and Behavior Change for the Smoking Cessation of College Students Utilizing Mobile Applications)

  • 남서진;이용정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79-300
    • /
    • 2021
  • 본 연구는 금연을 실천 및 유지하는 소비자들의 정보요구와 정보탐색행태를 조사하고, 다양한 단계에서 얻은 건강 정보가 건강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건강에 해로운 행동을 변경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모바일 건강 애플리케이션(건강 앱)을 사용하는 방법과 금연 앱 사용이 건강 행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이 연구는 금연 앱을 사용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부터 2018년 7월까지 7개월 동안 참여자의 흡연 행동 변화를 관찰하고 대면 인터뷰를 실시했다. 실천단계의 참여자들에 따르면, 금연 기간, 건강 상태 변화, 금연으로 인한 비용 절감 등의 시각화된 정보가 금연을 독려했다. 유지 단계의 참여자들은 금연 앱이 제공하는 커뮤니티를 통해 다른 금연시도자들과 자신의 경험 및 사회적 지원을 공유함으로써 금연의 중요성과 성취를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강조했다. 이 연구는 행동 수정 과정에서 모바일 앱을 사용하는 건강 정보 소비자의 정보 요구 및 정보탐색행태의 유형을 식별했다는 점에서 정보 행위 분야에 이론적 함의를 제공한다. 연구 결과는 금연 시도자의 정보 요구를 반영한 금연 앱의 콘텐츠 설계에 기여할 수 있으며, 나아가 건강 행위 변화에 효과적인 정보 중재 전략을 촉진하는 건강 정보 서비스에 대한 실질적인 통찰을 제시할 수 있다.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금연지식, 금연태도 및 금연행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otivational Counseling Program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Smoking Cessation and Smoking Cessation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 신은선;김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444-45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금연지식, 금연태도 및 금연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한 M중학교 3학년 21명(실험군)과 D중학교 3학년 21명(대조군), 총 42명이었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은 Valasquez(2001)가 개발하고 임애리(2010)가 재구성한 집단 형태의 동기증진면담 매뉴얼을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는 금연지식, 금연태도, 일일흡연량 및 금연변화단계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백분율, t-test 등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금연지식(t=8.99, p=.000), 금연태도(t=2.77, p=.008) 및 금연변화단계점수(t=3.85, p=.000)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일일흡연량(t=-3.68,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동기강화상담 프로그램은 청소년들의 흡연예방과 금연 및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유용한 정신간호중재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의도 및 금연행위 예측을 위한 계획적 행위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의 검증 (Testing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Smoking Cessation Behavior among Adolescent Smokers)

  • 송미라;김순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56-470
    • /
    • 200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in the prediction of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smoking cessation behavior among adolescent smoker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a future smoking cessation program as a nursing intervention. Method: The study subjects were 80 adolescent smokers who had smoked one cigarette and attended a five-day school smoking cessation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4 to December 21, 1999.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tools developed by Jee (1994) to measure TPB variables such as attitude toward smoking cessation behavior,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smoking cessation behavior.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AS/PC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logistic multiple regression. Results: 1. Attitude toward smoking cessation behavior,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ere parti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smoking cessation intention. 2.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oward smoking cessation behavior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smoking cessation behavior. 3. There were partial interaction effects among the attitude toward smoking cessation behavior,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n the prediction of smoking cessation intention. 4. There were partial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perceiver behavioral control toward smoking cessation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smoking cessation behavior. Conclusion: This study partially demonstrated support for the TPB model that was partially useful in predicting smoking cessation intention and smoking cessation behavior among adolescent smoker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attitude toward smoking cessation behavior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smoking cessation programs and implementing nursing interventions to change the smoking behavior of adolescent smokers.

  • PDF

간접흡연 노출에 대한 비흡연 대학생의 주장행위에 관한 연구 -건강신념모형과 ASE model 적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sertive Behavior Among Non-smoking College Students Under Secondhand Smoke Exposure)

  • 김명수;김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187-5195
    • /
    • 2012
  • 본 연구는 비흡연 대학생이 간접흡연에 노출되었을 때 금연을 주장하는 행위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B광역시 2011년 10월부터 11월까지 2개월간 일개 대학의 비흡연 대학생 246명으로부터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비흡연 대학생의 간접흡연 노출시 금연을 주장하는 행위와 관련된 요인은 남학생인 경우(OR 3.173, 95% CI 1.676-6.005), 가족 내 흡연자가 있는 경우(OR 1.679, 95% CI 1.056-2.983), 주장행위에 대한 지각된 유익성이 높은 경우(OR 2.821, 95% CI 1.044-7.623), 주장행위에 대한 사회적 영향이 큰 경우(OR 3.753, 95% CI 1.845-7.634), 주장행위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경우(OR 4.140, 95% CI 2.159-7.941)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성인 초기의 대학생들의 간접흡연 노출 시 금연에 대한 주장행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주장행위의 유익성과 사회적 영향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가 필요하다.

일 지역 금연희망 대학생의 금연행위 관련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moking Cess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 Smokers)

  • 박영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29-238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moking cessation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 smokers for developing the effective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64 students registrated at the university health center for anti-smoking acupuncture through May, 2003. Data were analyzed with percentile, mea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by SPSS/PC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he scores on perceived benefits(t=-2.05, p=.045), chance-health locus of control(t=-2.28, p=.026) and nicotine dependence (t=-1.96, p=.056) according to the grade. And also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icotine dependence in the higher grade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perceived benefits(r=.389, p=.001), perceived barriers and benefits(r=.457, p=.000), an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aily life activities and perceived barriers(r=-.350, p=.005).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ffective smoking cessation program could be considered of perceived benefits & barriers, and nicotine dependence to promote anti-smoking behavior for university student smokers.

  • PDF

흡연 청소년의 암 예방행위 관련요인 (일개지역 금연학교 참여자를 대상으로) (The related factors of adolescent smoker's cancer preventive behaviors)

  • 조은주;김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287-5295
    • /
    • 2015
  • 본 연구는 흡연청소년의 암 예방행위와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광역시소재 W병원에서 운영하는 금연학교에 참석 중인 흡연 청소년 200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9월 1일부터 2013년 3월 31까지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암 예방행위 정도는 학년, 종교, 유익성, 장애성, 건강상태, 일상생활, 음주, 운동, 니코틴의존도, 흡연시작 나이, 흡연기간 및 금연의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암 예방행위 정도는 암에 대한 지식(r=-.166, p<.05)과 미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태도(r=.212, p<.01)와는 미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암 예방행위를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는 일상생활, 장애성, 학년, 운동, 유익성, 암에 대한 지식, 금연의도의 순이었고, 전체 설명력은 30.6%였으며, 일상생활(${\beta}=25.8$)이 가장 설명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흡연청소년들의 암 예방행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상생활과 학교생활에서 흡연을 대체할 수 있는 건전한 취미와 운동 등을 보급하고 암 예방행위의 유익성을 강조하고 장애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보건교육과 학년과 금연의도 등의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암 예방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