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금연중재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2초

간호대학생의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된 요인 (Factors Affecting Intention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among Nursing Students)

  • 최숙희;김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31-440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이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시와 Y시 소재 2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214명으로, 자료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9월 12일부터 20일까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SPSS 23.0을 이용하여 t-test,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금연중재 의도는 현재흡연 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금연의 건강적 이득에 대한 믿음, 금연중재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순상관 관계를 보였다.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 있는 요인으로는 금연중재에 대한 자기효능감(${\beta}=.634$ p<.001), 금연중재에 대한 태도(${\beta}=.191$, p=.002), 금연의 건강적 이득에 대한 믿음(${\beta}=.132$, p=.032)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의 금연중재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64.2%로 나타났다. 즉, 금연중재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금연중재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금연의 건강적 이득에 대한 믿음이 긍정적일수록 금연중재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금연중재 의도와 관련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한 금연중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고 본다.

간호학생의 흡연지식 및 태도, 금연권고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Recommendation Among Nursing Students)

  • 오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365-374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흡연지식 및 태도, 그리고 금연권고를 조사하고 금연권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일개 광역시 3개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학생 52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10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생의 금연권고는 학년별, 거주지, 주관적 건강지각, 흡연에 대한 인식, 흡연력 사정 경험, 금연권고 경험, 금연중재교육 참여의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학생들의 금연권고는 흡연지식과 흡연태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금연권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금연중재교육 참여의사, 흡연태도, 흡연지식, 금연권고 경험으로, 금연권고를 15.5%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들이 임상 환자를 대상으로 금연권고를 적극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학부에서 환자들을 위한 금연중재교육을 실시하여 바람직한 흡연태도와 흡연지식을 증가시키고 임상실습시 금연권고 경험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전화상담과 문자메시지 제공이 허혈성 심질환자의 금연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moking Cession Program Using Telephone Counselling and Text Messaging for Patients after Ischemic Heart Disease)

  • 김은심;최혜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248-7258
    • /
    • 2014
  • 본 연구는 전화상담과 문자메시지 제공 금연프로그램이 중재 횟수를 달리한 실험군1, 실험군2와 대조군의 금연 자기효능감, 니코틴의존도, 호기일산화탄소 농도, 금연성공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 허혈성 심질환자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효과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금연 자기효능감, 금연성공률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니코틴의존도,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실험군1은 실험군2에 비해 금연 자기효능감, 금연성공률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호기 일산화탄소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니코틴의존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허혈성 심질환자에게 제공한 전화상담과 문자메시지 중재 금연프로그램은 금연성공률의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중재 횟수에 따라 더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ND금연동기유발 프로그램이 흡연고등학생의 일산화탄소, 금연 자기효능감, 흡연일수, 1일 흡연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ND Smoking Cessation Motivational Program on Carbon monoxide, Smoking Abstinence Self-efficiency, Smoking days and Daily smoking amount of Smoking High School Students)

  • 김은정;이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669-67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END 금연동기유발 프로그램이 흡연 고등학생의 일산화탄소, 금연자기효능감, 흡연일수, 1일 흡연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대상자는 C시에 소재한 고등학생으로 금연에 관심이 있는 흡연학생으로 실험군 27명, 대조군 28명 총 55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8년 7월 12일부터 10월 4일까지였다. 대상자에게 중재한 프로그램은 END 금연동기유발 프로그램으로 주 1회 50분, 총 6주간이었다. 중재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금연 자기효능감(z=110.00, p<.001), 흡연일수(z=640.00, p<.001), 1일 흡연량(z=520.50, p<.016)이 지지되었다. 따라서 END 금연동기유발 프로그램은 학교 현장에서 흡연 고등학생의 흡연율을 낮추고 금연동기를 유발하여 금연을 유도하기 위한 중재로 본 프로그램의 적용을 제안한다.

2009년 화성시보건소 금연사업

  • 오은환;심재만;이영구;곽매헌;박은정;이혜경;안미현;이미연;고지연;이지선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78-78
    • /
    • 2009
  • 맑은 화성을 만들기 위하여 지역주민의 통제력을 강화시키고 금연을 지원하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흡연으로 인한 질병과 사망 및 간접흡연의 노출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미국 CDC에서 제안한 "Best Practices for Comprehensive Tobacco Control Program"에 기반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사업 추진체계를 금연환경, 금연교육 및 캠페인 운영관리 매뉴얼 개발, 금연프로그램, 감시 및 평가 5개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화성시보건소 금연사업은 매월 1일은 건강도시 화성시의 금연DAY로 지정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금연홍보를 하고 있다. 어디서든 화성시 금연사업의 슬로건을 볼 수 있으며,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접해볼 수 있다 더구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권역별(서부권, 동부권, 남부권)의 특징을 살려 금연환경 조성 및 홍보, 이동클리닉을 하고 있으며, 환경조성으로 금연거리, 공원, 문화재, 마을, 선도학교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중이며,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홍보, 생활 속 금연을 위한 대상별 캠페인 및 교육 등으로 화성시의 금연물결을 불고 있다. 감시 및 평가로 금연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설문을 통해 실시할 예정이며, 아동 및 청소년의 흡연특성을 조사하여 내년 사업 방향을 수립할 예정이다. 앞으로 담배연기 없는 맑은 화성시를 위하여 금연 버스 정류장과 금연아파트 및 금연 금연성공자 사례집 발간 등으로 슬로건을 앞세운 다양한 사업을 통하여 화성시의 금연율 향상 및 건강증진을 기대해본다.

  • PDF

사업장 남성 근로자를 위한 금연 힐링캠프의 효과 (Effectiveness of a Smoking Cessation Healing Camp for Male Workers in a Workplace Setting)

  • 리메일링;하영미;이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297-30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 근로자의 금연을 돕기 위한 금연 힐링캠프의 참여가 금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 연구이다. 28명의 남성 근로자들이 1박 2일동안 진행된 금연 힐링캠프 실험처치에 배정되었다. 중재의 효과검증은 금연 힐링캠프 직후에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남성 근로자의 금연 준비도(t=-2.64, p=.013)와 금연 자기효능감(t=2.42, p=.022)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니코틴 의존도(t=2.55, p=.017)와 우울(t=2.85, p=.008)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업장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금연 힐링캠프는 남성 근로자들에게 금연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제공하고 금연준비도와 금연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킴으로써 남성 근로자의 금연을 도왔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사들의 금연 중재에 대한 실태 조사연구 (A Survey on Frequencies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for Patients Among Clinical Nurses)

  • 신성례;오복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44-150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1) find out the characteristic of smoke related characteristics of nurses. 2) find out the frequency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delivered by nurses. 3) compare the differences in mean scores of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s by general characteristics. Method: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mailed out to nurses who were working at the randomly selected hospitals throughout the country from November 28, 2003 to February 15, 2004. Result: $0.6\%$ of nurses were current smokers $40.7\%$ of nurses have attended smoking cessation education. Nurses who were older, had masters degree, had oncology experience, higher position, participated in smoking cessation education, and had smoking related disease among family members were variables related to higher frequencies in delivering tobacco interventions. Conclusion: Although nurses are in an important position in delivering tobacco interventions and provide resources, their participation in consistent delivery of an intervention is less than desirable. To help nurses to participate in the assessment of tobacco use and interventions for cessati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is necessary.

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 금연중재의 장애요인 (Barriers to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among Clinical Nurses)

  • 신성례;오복자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9-148
    • /
    • 2005
  • Purpose: The specific aims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barrier to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in clinical practice among clinical nurses and compare them in high barrier group with those in the low barrier group. Method: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738 nurses practicing in general hospitals with over 400 beds throughout the country. The questionnaire was adopted from the 'Oncology Nurse's Tobacco Control Survey' used in the United Stated by Sarna et al.(2001). Result: Age, marital status, hospital experience, position were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mean score of subjective resource insufficiency. The perception that the patient was not motivated to quit smoking was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barrier in low barrier group and the second most common barrier in high barrier group. Conclusion: Younger, with less clinical experience, single, staff nurses were the characteristics of nurses in the high barrier group. The smoking cessation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targeted to these population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e strategies to reduce the perception associated with barriers in delivery of tobacco cessation interventions.

  • PDF

성별에 따른 흡연자의 금연의도 관련 요인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Quit Smoking of Current Smokers by Gender)

  • 노영민;이예진;김지연;노진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321-328
    • /
    • 2019
  • 본 연구는 흡연자의 금연의도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성별 간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지역사회건강조사 2017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39,435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이분형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수준, 금연시도 경험, 금연캠페인 노출경험, 금연교육 경험, 하루 흡연량이 흡연자의 금연의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 흡연자와 다르게 남성 흡연자는 교육수준과 가구소득이 금연의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흡연자 중 낮은 교육수준과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금연캠페인과 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성별 차이를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