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연목표달성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ffect of an Agreement on Means to Achieve Smoking Cessation Goals among College Student Smokers (흡연 대학생의 목표달성방법 합의가 금연목표달성에 미치는 효과)

  • Choi In-He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35 no.7
    • /
    • pp.1362-1370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attaining a smoking cessation goal when an agreement on means to achieve smoking cessation among male college student smokers was established. Method: This study was plann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and the sample was divided into an agreement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by convenience sampling in a college of G city. The data was analysed with SPSS Win10.0 using a Likelihood $x^2-test$, Odds ratio, Paired t-test and ANCOVA. Result: The theory that the degree of smoking cessation will be higher in the agreement group than the Comparison group was rejected (${\delta}$ = 2.567, p = .055). The theory that nicotine dependency will be lower in the agreement group than the comparison group was supported (F = 3.965, P = .049); however, the theory that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will be lower in the agreement group than the comparison group was rejected (F = 1.342, p = .252). Conclusion: It has been shown that an agreement on means to achieve smoking cessation goals is a key factor to success in quitting smoking.

A Study through Individual Interaction on the Achievement Rate of Smoking Cessation Goal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Smoking Cessation in College Smokers (개별적 상호작용을 통한 대학생 흡연자의 금연목표 달성률 및 금연특성 조사연구)

  • Choi, In-Hee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6 no.4
    • /
    • pp.478-487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hievement rate of smoking cessation, to identify obstacles to smoking cessation, and to find means to achieve the goal of smoking cessation in college smoker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26th to September 13th 2004 and used a one-shot design. The subjects se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were 29 college smokers who smoked over one cigarette a day, had a positive level of urine cotinine, participated in smoking cessation education 3 times. Thereafter, individual interaction was processed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subject using an interaction instrument. Data were analyzed based on frequencies.,percentages and means using SPSS/Win 10.0. Results: The achievement rate of smoking cessation was 20.7% (6 students). The biggest obstacles smoking cessation were smoking stimuli (29 students) and lack of control (25 students). Among detailed obstacles, the biggest one was smoking at regular times, which was followed by withdrawal symptoms, smoking on drinking, and company with other smokers. The most effective means of smoking cessation mentioned by the subjects were in order of avoiding drinking situations, taking deep breaths, and exercis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using King's theory, showed that individual interaction is effective in achieving smoking cessa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make further study and broaden smoking cessation education for college smokers.

  • PDF

Healthy Japan 21 objectives and strategies (일본건강증진 사업의 목표 및 추진전략: Healthy Japan 21)

  • Hoshi, Tanj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55-88
    • /
    • 2005
  • Healthy Japan 21의 목적은 삶의 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노동가능 인구집단의 유병률을 줄이고 건강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21세기 모든 일본인들이 더욱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향유할 수 있도록 국가사업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구체적 목적은 조기사망을 예방하고 건강생활을 향상하는 것으로, Healthy Japan 21의 전략적 기획과정에서 건강수명의 연장을 실현하기 위하여 2010년까지 달성되어야 하는 구체적인 목적들이 또한 제시되었다. 조기사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고, 암, 자살, 심장병 감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9개의 주요 목표로 영양, 신체활동, 휴식과 이완, 금연, 절주, 구강보건, 당뇨병 예방, 심혈관계질환 예방, 암 예방을 설정하였다. 흡연, 알콜, 식사 그리고 운동과 같은 생활양식은 스트레스, 비만, 고혈압과 같은 위험요인 및 질병관리와 관련이 있으며, 위험요인은 암, 심장병, 구강질환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따라서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증진과 일차예방이 강조되어야 한다. 일차예방에 중점을 두기 위해서 우리는 전통적인 질병관리의 중점사항인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질병 조기발견을 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아울러 의료비 감소, 병상에 있는 사람들의 감소, 사회세의 감소도 또한 달성되어야 하는 사업의 결과로 설정되어 있다. 가장 최근의 Healthy Japan 2000(1998-99)의 평가에 따르면 목표들의 15%가 달성되었거나 초과 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아동과 청소년의 사망률의 경우, 1-14세 아동의 사망률은 1987년부터 26%가 감소되어 2000년도 목표인 인구 100,000명단 28명의 사망을 초과 달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Healthy Japan 21의 두 가지 주요 전략은 일반 인구집단을 위한 전략과 고위험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전략으로 구성된다. 개인의 건강한 생활양식으로의 변화를 포함한 우리의 건강증진 노력은 사람 중심으로 개인의 선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지원하기 위하여, 각 개인이 정보를 갖은 상태에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적당량의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와 같은 일본의 건강증진계획은 2000년 3월에 Healthy Japan 21이 설립되었으며, 2000-2002년 사이 모든 현이 자신의 사업계획을 설정하였으며, 2001-2005년에는 약 반수 정도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자신들의 사업계획을 확정하였다. 건강증진을 이루는 중요한 수단은 파트너 쉽에 있다. 정부조직 뿐 아니라 건강보험회사,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자, 교육단체, 대중매체, 사기업, 봉사단체 등을 포함한 건강분야의 조직들은 자신들의 전문적 기술들을 한데 모아 서로 협력하여야 한다. 또 하나의 중요한 수단은 건강 지지적인 환경이다. 개인의 건강증진 노력을 체계화함으로써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Healthy Japan 21에 대한 평가는 2005년에 중간평가가, 2010에 최종평가가 있을 예정이다. 평가결과들은 이후에 진행될 사업의 향상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 PDF

Achieving Health Equity Through Health Promotion (건강증진사업의 효율성과 형평성: 건강증진을 통한 건강 형평성 제고)

  • Moskowitz, Joel 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5.09a
    • /
    • pp.91-119
    • /
    • 2005
  • 오타와 헌장에 따르면 건강증진은 건강형평성을 성취하는 것이다. 건강격차를 감소시키고, 모든 사람들이 건강잠재력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동등한 기회와 자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각 개인들은 자신의 건강에 대한 결정요인들에 대한 통제능력을 가져야 한다. 미국의 조기사망은 40%가 행동양식에 의하여, 30%가 유전적인 문제로, 15%가 사회적 환경에 의하여, 10%는 의료적 치료의 부족으로, 그리고 5%는 환경위해 물질에 대한 노출로 발생한다. 건강불평등을 발설시키는 사회적 요인으로는 경제적 요인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야기되는 건강불평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건강형평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절대적 목표들과 평등관련 목표들이 모두 필요하다. 건강형평성은 인구집단의 건강과 함께 향상되는 것으로 나은 건강상태에 있는 사람들의 건강을 악화시키면서 건강형평성을 달성하는 것은 아니다. 각자의 관심이 형평성을 어떻게 규정하는가에 영향을 미친다. 혜택을 받은 사람들은 성과/투입의 정의를 선호하며, 소외계층은 똑같은 성과 또는 요구에 기반한 정의를 선호한다. Healthy People 2010은 미국의 국가적 예방체계를 의미하며, 가장 중요하며 예방 가능한 건강위협들을 파악하고 이러한 위협들을 감소하기 위한 목적들이 설정되어 있다. 궁극적인 목적은 건강한 삶의 질적인 면과 양적인 측면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건강불평등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이 유럽의 국가들에 비해서 사회 프로그램에 대한 투자가 적은 이유는 재분배는 소수인종만을 위한 것이라는 믿음과, 우리는 개방되고 공정한 사회에 살고 있기 때문에 가난하다는 것은 가난한 사람들 자신들의 잘못으로 인한 것이라는 믿음 그리고 재분배를 방지하는 정치체계 때문이다. 국가기관인 CDC의 예방연구센터(Prevention Research Centers)는 지역사회 파트너들과 함께 건강증진, 질병예방, 그리고 질병과 상해로 인한 합병증을 관리하게 위한 효과적인 예방 전략을 개발하고 있다. 예방연구센터의 프로그램들은 지역사회 기반 참여연구와 소외된 계층에 중점을 두며, 다학제 간 접근방법을 활용하고, 교육기관, 공공보건기관 그리고 지역사회의 파트너들 간의 네트웍을 형성을 통한 협력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지역사회 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근거중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이들은 건강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형성적 연구, 개입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의 확산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 UC Berkeley의 가족/지역사회 보건센터(Center for Family & Community Health)는 1993년에 설립되었다. 사업의 대상이 되는 주요 지역사회는 한국교민사회이며, 한국교민사회 자문위원회(Korean Community Advisory Board, KCAB)가 구성되어 있다. 1993년부터 2003년까지는 'Health is Strength' 사업이 시범연구사업으로 진행되었는데, 그 내용은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검진 프로그램이었다.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진행될 'Quitting is Winning'이라는 두 번째 시범연구사업은 남성들의 금연에 중점을 둔 사업이다. 'Health is Strength'는 아시아 보건서비스 및 한국교민사회 자문위원회가 함께 협력하여 진행된 사업으로, 주요 목표는 18세 이상 여성의 자궁암 조기 검진(Pap test)과 자가 유방검진 실천을 증가시키는 것이며, 50세 이상여성의 유방 임상검사와 유방 X선촬영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었다. 한 지역의 카운티에 거주하는 한국 여성들은 4년간의 개입프로그램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횡단적인 전화조사를 3번(사전, 중간, 사후)실시하였다. 개입 프로그램은 교회에서 워크샵 개최, Tell-A-Friend Form 작성하기, 포스터 및 책자 발행, 신문광고 등과 함께 자궁암 조기 검진(Pap test)과 유방 X선 촬영권을 무료로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Quitting is Winning'은 지역사회 기반 참여 연구모형으로 한국교민사회 자문위원회는 흡연을 1순위의 사업으로 선정하였고, 근거에 기반한 금연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들을 검토하여, 기존의 보편적 방법이 아닌 인터넷을 활용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무작위 임상실험으로 연구대상으로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인 남성흡연자 2300명을 모집하였다. 이들의 1/2은 실험군인 인터넷 프로그램 집단에, 또 다른 1/2은 대조군인 인쇄책자 집단에 무작위 할당되었다. 12개월 동안 11번의 진단이 인터넷을 통하여 진행되었으며, 참여와 참여유지에 대한 금전적인 보상이 제공되었다.

  • PDF

Healthy Korea 2010 : Role of the Health Educator (Healthy Korea 2010추진과 보건교육 인력 활용 전략)

  • Choi, Eun-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4.10a
    • /
    • pp.89-109
    • /
    • 2004
  • The Korean Government has produced the Health Plan 2010 aimed at setting up healthy Korea objectives, policies on preventing chronic diseases, reshaping the country's health and medical infrastructure. The policy goal targets the people's healthy life expectancy at 75 by 2010, and includes healthy life practice measures including health education, health improvement services, and disease management measures, in achieving the objectives. Also, the plan provides life cycle-based health improvement and disease prevention services, as well as pushes ahead with projects with greater ripple effects in each area. To this end, the government is simultaneously pushing to operate an experts-centered health promotion committee and establishing the infrastructure including the augmentation of national health improvement funds. Through its Health Plan 20 I 0, the Korean Government will exert efforts to achieve its policy objectives as addressed in the measures by enhancing the national potential health and providing systematic disease prevention services.

  • PDF

Analysis of Physical Status on COVID-19: Based on Impacts of Physical Activity (COVID-19에 대한 운동중재효과 분석)

  • Kim, Kwi-Baek;Kwak, Yi Sub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1 no.6
    • /
    • pp.603-60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perspective research is to discuss the potential role of exercise-interventions in COVID-19, terms of prevention and prognosis in the periods of the COVID-19 vaccine. SARCO-CoV-2. COVID-19 was detected as a new virus causing severe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complications. It emerged as a global public health emergency and national pandemic. It caused more than 1 million deaths in the first 6 months of the pandemic and resulted in huge social and economic fluctuations internationally. Unprecedented stressful situations, such as COVID-19 blue and COVID-19 red impact on many health problems. In healthy individuals, COVID-19 infection may induced no symptoms (i.e., asymptomatic), whereas others may experience flu-like symptoms, such as ARDS, pneumonia, and death. Poor health status, such as obesity and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complications, are high risk factors for COVID-19 prevention, occurrence, and prognosis. Several COVID-19 vaccines are currently in human trials. However,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VID-19 vaccines, including potential side effects, such as anaphylaxis (a life-threatening allergic reaction) and rare blood clots, still need to b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direct and indirect evidence, it seems that regular and moderate physical exercise can be recommended as a nonpharmacological, efficient, and safe way to cope with COVID-19. Physical inactivity and metabolic abnormalities are directly associated with reduced immune responses, including reduced innate, CMI, and AMI responses. Due to prolonged viral shedding, quarantine in inactive, obese and disease people should likely be longer than physical active people. Multicomponent and systemic exercis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obese, disease, and elderly people. More mechanism research is needed in this area.

Health Improvement; Health Education, Health Promotion and the Settings Approach (건강 향상: 건강 교육, 건강 증진 및 배경적 접근)

  • Green, Jacki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4.10a
    • /
    • pp.111-129
    • /
    • 2004
  • This paper develops the argument that the 'Healthy Cities Approach' extends beyond the boundaries of officially designated Healthy Cities and suggests that signs of it are evident much more widely in efforts to promote health in the United Kingdom and in national policy. It draws on examples from Leeds, a major city in the north of England. In particular, it suggests that efforts to improve population health need to focus on the wider determinants and that this requires a collaborative response involving a range of different sectors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community. Inequality is recognised as a major issue and the need to identify areas of deprivation and direct resources towards these is emphasised. Childhood poverty is referred to and the importance of breaking cycles of deprivation. The role of the school is seen as important in contributing to health generally and the compatibility between Healthy Cities and Health Promoting Schools is noted. Not only can Health Promoting Schools improve the health of young people themselves they can also develop the skills, awareness and motivation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community. Using child pedestrian injury as an example, the paper argues that problems and their cause should not be conceived narrowly. The Healthy Cities movement has taught us that the response, if it is to be effective, should focus on the wider determinants and be adapted to local circumstances. Instead of simply attempting to change behaviour through traditional health education we need to ensure that the environment is healthy in itself and supports healthy behaviour. To achieve this we need to develop awareness, skills and motivation among policy makers, professionals and the community. The 'New Health' education is proposed as a term to distinguish the type of health education which addresses these issues from more traditional for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