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속활자

Search Result 63,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조선시대 대표적 금속활자 10종 복원됐다

  • Korean Printers Association
    • 프린팅코리아
    • /
    • s.68
    • /
    • pp.78-79
    • /
    • 2008
  • 청주시의 의뢰로 2007년 4월부터 금속활자 복원에 나선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과 청주대 한국문화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세종때 만들어져 임진왜란 이후까지 사용된 갑인자 계열 활자 등 10종의 금속활자를 복원해 최근 고인쇄박물관에서 공개했다. 이번에 복원된 금속활자는 초주갑인자 등 갑인자 계열 활자 6종과무신자 한글활자, 갑인자 한글활자, 경서자 한글활자, 을해자 한글소자 등 모두 10종이다.

  • PDF

한국의 금속활자가 일본에 미치는 영향

  • Korean Printers Association
    • 프린팅코리아
    • /
    • s.4
    • /
    • pp.160-165
    • /
    • 2002
  • 동양에서 금속활자인쇄가 가장 성행한 곳은 조선이다. 조선시대에는 정부 출판문서의 대부분이 금속활자였다. 금속활자는 주자라고도 하지만, 가장 많은 것은 동활자이며, 그 외에도 철활자.납활자.진유활자 등이 있었다. 또한 조선시대에 앞서 고려시대에 이미 금속활자인쇄는 행해지고 있었으며, 이것을 간략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 PDF

직지보다 140여년 앞선 금속활자 발견 - 경북대 남권희 교수 공개

  • Im, Nam-Suk
    • 프린팅코리아
    • /
    • v.9 no.10
    • /
    • pp.114-117
    • /
    • 2010
  •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으로 유네스코 기록문화유산에 등재된 '직지'보다 빠른 활자가 최근 공개됐다. 직지보다 최소 138년 이상 앞서는 최고의 금속활자로 추정하고 있는 활자는 <증도가자>다. 서지학자인 경북대 남권희 교수는 지난 9월 2일 11시 서울 인사동 고미술 컬렉션인 다보성고미술이 소장한 금속활자 100여점을 분석한 결과 이중 12점이 직지보다 훨씬 앞선 13세기 초의 금속활자인 <증도가자>라고 말했다.

  • PDF

The Component and Statistical Analyses of Early-Joseon Metal Types in National Museum of Korea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 전기 금속활자의 조성성분과 통계분석)

  • Shin, Yong Bi;Huh, Il Kwon;Lee, Su Jin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 /
    • v.28
    • /
    • pp.89-108
    • /
    • 2022
  • Among about 500,000 characters in metal types in National Museum of Korea, this study conducts a statistical analysis of 62 metal type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including 33 gabinja (甲寅字) types and 29 eulhaeja (乙亥字) Hangeul types by examining the shape, measuring the specific gravity, and identifying the components based on previously-studied Joseon metal types. Among them, 33 gabinja types and 24 eulhaeja types were made of two-component bronze (copper and tin) (Group A), and four eulhaeja types were produced with three-component bronze (copper, tin and lead). (Group B), and one eulhaeja type was created with two-component bronze (copper and tin) with a high tin content (Group C). By comparing with imjinja (壬辰字) typ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based on multiple statistical analyses of type components, this study confirms that late-Joseon types have low copper content and high zinc and lead content, and therefore it may be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types of early and late Joseon Dynasty.

학술회의 - 고려 금속활자 연구의 흐름과 새로운 변화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v.11 no.5
    • /
    • pp.110-113
    • /
    • 2012
  •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인쇄본 '직지' 등을 만들어낸 고려 금속활자의 세계 인쇄기술사적 의의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최근 개최한 국제학술회의를 통해 다시 한 번 재조명 받았다. 다음은 옥영정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관리학전공 부교수가 발표한 '고려 금속활자 연구의 흐름과 새로운 변화'의 주요 부문을 요약 발췌한 내용이다.

  • PDF

고려의 금속활자 발명 : 인류문화의 진보에 대한 그 역할과 영향

  • Son, Bo-Gi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23
    • /
    • pp.2-2
    • /
    • 1997
  • 청동활자의 혁신은 고려인들에 의해 이뤄졌다. 활자인쇄술의 전파에도 한국인들의 공헌이 부분적으로 있었다. 실용적인 금속활자는 타르비츠를 거쳐 뉘른베르크, 스트라스부르그, 마인츠 등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 PDF

전시회 - 국립중앙도서관, 고전에서 만난 우리 금속활자전

  • Im, Nam-Suk
    • 프린팅코리아
    • /
    • v.14 no.8
    • /
    • pp.108-110
    • /
    • 2015
  • 국립중앙도서관(관장 임원선)은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본관 6층 고전운영실에서 '고전(古典)에서 만난 우리 금속활자' 고문헌 전시를 개최한다. 직지심체요절 등 고려시대부터 조선후기 금속활자본 25종 전시를 통해 금속활자의 변천과정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 PDF

중국.한국.유럽의 초기 금속활자 인쇄술 비교 연구

  • Pan, Ji-Sing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23
    • /
    • pp.4-4
    • /
    • 1997
  • 한국의 고인쇄술은 중국의 경험을 참고로 했음이 증명된다. 비금속활자 인쇄술을 발명한 비셍의 활자 아이디어, 중국에서 도입된 동전주조법이 활자주조에 응용된 점, 밀랍은 비셍의 방법이 사용됐고, 주조를 위한 글자체를 중국 인쇄본에서 본뜬 것 등이 그것이다.

  • PDF

이슈 - 금속활자전수관.근현대인쇄전시관 건립

  • Im, Nam-Suk
    • 프린팅코리아
    • /
    • v.11 no.3
    • /
    • pp.74-75
    • /
    • 2012
  • 현존하는 세계 최고 금속활자본인 직지심체요절이 탄생한 충북 청주에 인쇄를 테마로 한 전통문화예술거리가 조성된다. 청주시(한범덕 시장)는 고인쇄박물관 일원을 특색 있는 전통문화예술 거리로 조성하기 위해 직지문화특구 마스터플랜을 재검토해 실현가능한 사업을 단기 중기 장기계획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청주시는 2014년까지 금속활자 주조 전시관, 근현대 인쇄전시관, 녹색 쉼터 등을 조성한다.

  • PDF

한국이 일본의 인쇄문화에 미친 영향<1>-임진왜란은 활자전쟁이었나

  • 한인섭
    • 프린팅코리아
    • /
    • v.7 no.9
    • /
    • pp.130-132
    • /
    • 2008
  • 충청타임즈 '임진왜란은 활자전쟁이었나' 취재팀은 현존 최고 금속활자본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직지'등 고려시대와 조선초 금속활자 인쇄술이 임진왜란을 통해 일본에 전래된 흔적을 찾아 집중 조명하기 위해 최근 일본 현지취재를 진행했다. 이에 본지에서는 이번 일본 취재 팀장으로 활동한 한인섭 부장의 기고를 통해 한국이 일본의 인쇄문화에 미친 영향을 알아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