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속합금

Search Result 1,09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Treatment of Heavy Metal in Wastewater by Redox Reaction of Cu-Zn Metal Alloy and Adsorption reaction of Al-Silicate (Cu-Zn 금속합금의 산화 환원반응과 Al-Silicate의 흡착반응을 이용한 폐수 중 중금속처리에 관한 연구)

  • Lee, Soo-Jeong;Kim, Jong Hwa;Song, Ju Yeo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3 no.3
    • /
    • pp.441-448
    • /
    • 2016
  • Heavy metal removal study is conducted from synthetic waste water by reduction and oxidation(redox) reaction of Cu-Zn metal alloy and adsorption reaction of aluminium silicate. Heavy metal whose ionization tendency is smaller than zinc are reducted in an aqueous solu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ionized zinc is reduced by adsorption reaction. The average diameter of metal alloy micro fiber is about $200{\mu}m$, and the surface area is wide enough to get equilibrium in a single cycle treatment. A single cycle treatment of redox reaction of Cu-Zn metal alloy, could remove 100.0 % of Cr(III), 98.0 % of Hg, 92.0 % of Sn and 91.4 % of Cu respectively. An ionization tendency of chromium is very close to zinc, but removal efficiency of chromium by redox reaction is significant. This result shows that trivalent chromium ion is expected to generate hydroxide precipitation with $OH^-$ ion generated by redox reaction. Zinc ion generated by redox reaction is readily removed by adsorption reaction of aluminium silicate in a single cycle treatment. Other heavy metal components which are not perfectly removed by redox reaction also showed very high removal efficiency of 98.0 % or more by adsorption reaction. Aluminium ion is not increased by adsorption reaction of aluminium silicate. That means heavy metal ion removal mechanism by adsorption reaction is turned out to be not an ion exchange reaction, but an adsorption reaction.

Characteristics of the Brazed Joint between Superhard Alloy Particles and Carbon Steel Using BAg System Insert Metals. (은계(BAg) 삽입금속으로 접합된 초경합금 입자와 탄소강 브레이징부의 특성)

  • Kim, Gwang-Soo;Kim, Sang-Duc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9 no.2
    • /
    • pp.298-302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brazing characteristics of the braze joint between superhard alloy particles and carbon steel. Two types of insert metals that made by mechanical alloying proces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One is composed of Cu, Zn and Ag(MIM-1) and the other one is composed of Cu, Zn, Ag and Cd.(MIM-2)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se insert metals were similar to AWS BAg-20 and BAg-2a system. And the commercial insert metals(CIM-1, CIM-2) were also evaluated for the comparative study. The characterization of the insert metals were conducted by wettability tests, shear tensile test and microstructural analy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ettability tests displayed that MIM-1 and CIM-1 insert metals had the larger wetting angle than MIM-2 and CIM-2 and the wetting angle of the MIM-1 showed higher value than that of CIM-1. However these values are less than $25^{\circ}$ that is recommended for standard value for usual insert metals. The highest value of shear tensile tests was obtained from the brazed joint that made by MIN-1 and the value was $2.29{\times}10^2MPa$. This value is appeared to be higher or same as the commercial insert metals. The microstructures of the inserts metals were composed of Cu-rich proeutectic structure for matrix and Ag-rich eutectic structure. The braze joint between superhard alloy particles and carbon steel produced by the MIM-1(Ag-Cu-Zn) system showed sound joint showing stable microstructures. However there was also some porosities at the interface.

The importance of Pre-treatment in Surface treatment of AZ31 Mg alloy (AZ31B 마그네슘 합금 판재 표면처리에 있어서 전처리 영향)

  • Park, Yeong-Hui;Kim, Hye-Jeong;Seo, Ja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11a
    • /
    • pp.19-19
    • /
    • 2012
  • 마그네슘 합금은 낮은 비중의 경량화 금속 소재이며, 주로 주조 주조재 형태로 상당한 기간 활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포스코에서 AZ31 합금으로 판재를 생산하면서 판재상의 마그네슘 소재의 응용이 본격화되고 있다. 포스코에서 판재로 생산되는 합금은 AZ31합금이 주종이며, AZ61 합금의 경우도 일부 생산되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합금의 판재의 개발이 진행될 예정이다. 마그네슘 합금은 화학적 활성이 커서 내식성 확보를 위한 표면처리가 필수적이며, 내식성의 확보가 상업적 적용을 위하여 필수적이다. 기존의 마그네슘 합금의 표면처리 방법은 주로 AZ91D의 다이캐스팅재에 집중되어 왔으며, 포스코에서 생산되는 AZ31의 스트립 캐스팅재의 표면처리는 합금의 차이로 인하여 새롭게 공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발표에서는 AZ31 판재를 이용한 표면처리에서 전처리 공정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Material composition and change of baekdong alloy in the late Joseon period (조선후기 백동의 재료 구성과 변화)

  • Kong, Sanghui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2 no.3
    • /
    • pp.38-5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historical flow of baekdong alloy's usage according to the alloying materials mentioned in document records. For this purpose, we first overviewed the use of copper as a base material for white copper alloys and other types of copper alloys. Baekdong is an alloy of copper and other metals and is currently defined as an alloy of copper and nickel. However, depending on the research subjects and time of the scholars, baekdong may be defined as a metal with over a certain percentage of tin added to copper, or as an alloy of tin, zinc, and lead with copper. There is disagreement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this term. Baekdong, which started to appear in the literatur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has been steadily seen through the Goryeo and Chosun Dynasties to the modern period. It has been u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each age and culture, from the symbol of the office to trading goods, daily life goods, and money. In the literature, baekdong's alloying material is not only copper and nickel, which are currently defined as alloys, but it is the same in that copper is used as the base metal of the alloy, although it varies slightl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addition to copper, tin, zeolite, and emerald, zinc and lead also appeared. It was found that baekdong, which means alloy, and baekdong, which means white metal, were mixed. Nickel, which is the alloy material of baekdong as it is currently defined, is a metal with a relatively high discovery time and is widely used as a material for modern industrial fields. Nickel was introduced into Korea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but its use is not known in detail.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cceptance and use of nickel-based baekdong in articles of modern newspapers and in statistical data. Based on the experience of craftsmen, we estimated the period when nickel-based alloys were used in crafts. Material is a direct factor in the development and deterioration of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the basis for the changing of civilizations and cultur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aekdong with the material of alloys as a starting point.

Joining properties and thermal cycling reliability of the Si die-attached joint with Zn-Sn-based high-temperature lead-free solders (Zn-Sn계 고온용 무연솔더를 이용한 Si다이접합부의 접합특성 및 열피로특성)

  • Kim, Seong-Jun;Kim, Keun-Soo;Suganuma, Katsuaki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72-72
    • /
    • 2009
  • 전자부품의 내부접속 및 파워반도체의 다이본딩과 같은 1차실장에는 고온환경에서의 사용과 2차실장에서의 재용융방지를 위해 높은 액상선온도 및 고상선온도를 필요로 하여, Pb-5wt%Sn, Pb-2.5wt%Ag로 대표되는 납성분 85%이상의 고온솔더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생태계와 인체에 대한 납의 유해성이 보고된 이래, 무연솔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Sn-Ag-Cu계로 대표되는 Sn계 합금으로 대체 중인 중온용 솔더와는 달리, 고온용 솔더에 대해서는 대체합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대체재의 부재로 인해 기존의 납을 다량함유한 솔더로 1차실장이 지속됨으로서, 2차실장의 무연화에도 불구하고 전자부품 및 기기의 재활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금까지 고온용 무연솔더로서는 융점에 근거해 Au-(Sn, Ge, Si)계, Bi-Ag계, Zn-(Al, Sn)계의 극히 제한된 합금계만이 보고되어 왔다. Au계 솔더는 현재 플럭스를 사용하지 않는 광학, 디스플레이 분야 등 고부가가치 공정에 사용되고 있으나, 합금가격이 매우 비싸며 가공성이 나빠 대체재료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Bi-Ag계 솔더 또한 취성합금으로 와이어 및 박판으로 가공하는데 어려움이 크며, 솔더로서 중요한 특성중 하나인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가 나쁜 편이다. 이에 비해, Zn계 합금은 비교적 낮은 합금가격, 적절한 가공성과 뛰어난 인장강도, 우수한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를 지녀, 고온용솔더 대체재료의 유력한 후보로 생각된다.이전 연구에서, 필자의 연구그룹은 Zn-Sn계 합금을 고온용 무연솔더로서 제안한 바 있다. Zn-Sn계 합금은 충분히 높은 융점과 함께, 금속간화합물이 없는 미세조직, 우수한 기계적 특성, 높은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 등의 장점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합금특성상 고온솔더로서 다양한 장점을 지닌 Zn-30wt%Sn합금을 고온용 솔더의 대표적인 적용의 하나인 다이본딩에 적용하여, 접합부의 강도 및 미세조직, 열피로 신뢰성에 대해 분석을 함으로서 실제 공정에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Zn-30wt%Sn을 이용해 Au/TiN(Titanium nitride) 코팅한 Si다이를 AlN-DBC(aluminum nitride-direct bonded copper)기판에 접합한 결과, 양측에 완전히 젖은 기공이 없는 양호한 다이접합부를 얻었으며, 솔더내부에는 금속간화합물을 형성하지 않았다. Si다이와의 계면에는 TiN만이 존재하였으며, Cu와의 계면에는 Cu로부터 $Cu_5Zn_8,\;CuZn_5$의 반응층을 형성하였다. 온도사이클시험을 통한 열피로특성평가에서, Zn-30wt%Sn를 이용한 다이접합부는 1500사이클 지점에서 Cu와 Cu-Zn금속간화합물의 사이에서 피로균열이 형성되며, 접합강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열피로특성 향상을 위해 Cu표면에 TiN코팅을 하여 Zn-30wt%Sn 솔더로 다이접합한 결과, Si다이와 기판 양측에 TiN만으로 구성된 계면을 형성하였으며, TEM관찰을 통해 Zn-30wt%Sn과 극히 미세한 접합계면이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Zn-wt%30Sn솔더와 TiN층의 병용으로 2000사이클까지 미세조직의 변화 및 강도저하가 없는 극히 안정된 고신뢰성의 다이접합부를 얻을 수가 있었다.

  • PDF

Nanocrystalline structure of electroformed Fe-Ni alloy thin foil (전주성형한 Fe-Ni 합금 극박재의 나노결정질 조직에 관한 연구)

  • Im, Tae-Hong;Lee, Heung-Ryeol;Gu, Seu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04a
    • /
    • pp.27-28
    • /
    • 2007
  • 전주는 표면코팅을 목적으로 하기보다 금속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금법과 유사한 기술이다. 다양한 조성의 Fe-Ni 합금들을 전주성형하여 극박형상으로 제조하였다. 2원계 Fe-Ni 합금의 결정립 크기는 10 nm 정도였으며 P 첨가에 의해 결정립 크기를 더욱 미세하게 할 수 있다. 전주한 2원계 Fe-Ni 합금들의 비저항은 전형적인 나노결정질 소재의 특성을 나타낸다.

  • PDF

다공성 금속 합금 폼 표면의 향상된 촉매 분산을 위해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inter-layer의 도입

  • Lee, Yu-Jin;Gu, Bon-Yul;Baek, Seong-Ho;Park, Man-Ho;An, Hy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5.08a
    • /
    • pp.97-97
    • /
    • 2015
  •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의 고갈 및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에는 수소 에너지, 자연 에너지(태양열, 지열 등), 바이오 매스 에너지 등이 포함된다. 이 중 수소 에너지는 지구상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있는 물과 탄화수소로부터 얻어지며, 연소 시에도 다시 물을 형성하여 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차세대 무공해 에너지원으로써 주목을 받고 있다. 수소 제조를 위한 공정에는 수증기 개질 공정(steam reforming), 부분 산화(partial oxidation) 및 자열개질(autothermal reforming) 등이 있으며 실제로 생산되는 대부분의 수소는 탄소/수소비(1:4)가 높은 메탄($CH_4$) 가스를 이용한 메탄 수증기 개질 공정(steam methane reforming)을 통하여 제조된다. 이 때 수소 제조의 고효율화 및 저비용화를 위해서는 반응물에 대한 높은 선택도, 고활성도 및 높은 안정성을 갖는 촉매가 반드시 필요하며, 대표적으로 Ni, Pt, Ru 등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촉매들은 대부분 세라믹 pellet 형태로 제작되어 왔으나 열전도도가 낮고 물리적 충격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촉매의 활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공성 금속 합금 폼을 촉매 지지체로 도입하였다. 또한, 다공성 금속 합금 폼 표면에 촉매의 분산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지체와 촉매 사이에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하여 inter-layer를 도입하였다. 이들의 구조, 형태, 및 표면의 화학적 상태는 주사전자현미경, EDS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가 탑재된 주사전자현미경, X-선 회절, 및 X-선 광전자 분광법을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더하여 정전압-전류 측정법 및 유도 결합 플라즈마 분광 분석기을 이용하여 전기 화학 반응을 유도하고, 반응 후 전해질의 성분분석을 통해 촉매와 지지체 간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따라서 본 결과들은 한국진공학회 하계정기학술대회를 통해 좀 더 자세히 논의될 것이다.

  • PDF

Recent Research & Development Trend on Friction Stir Welding and Friction Stir Processing (마찰교반용접(FSW) 및 마찰교반처리(FSP)의 최신 연구개발 동향)

  • Lee, Kwang-Jin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31 no.2
    • /
    • pp.26-29
    • /
    • 2013
  • The latest research & development trend on friction stir welding and friction stir processing technologies presented in the international symposium, 'Friction Stir Welding & Processing VII'. Papers and presentations about high temperature materials such as advanced high strength steel, stainless steel and titanum alloy shoot up this year. Papers on modeling of metal flow and control of process parameters also increased. The FSP technologies for manufacturing of carbon materials reinforced metal matrix composites were reported, t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