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금속착체

Search Result 3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lectronic Interaction between Metals Accross Conjugated Hydrocarbon Chain (공액계 탄화수소 사슬을 통한 금속원자간 전자적 상호작용)

  • Kim, Sun-Kyu;Chung,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7b
    • /
    • pp.1037-1041
    • /
    • 2004
  • 공액계 유기가교로서 butadiene을 사용한 이핵 유기금속착체를 합성하였고, 합성된 유기금속착체 화합물에 대한 구조적 특징과 두 금속간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Cp*Fe(CO)_2]_2-({\mu}-CH=CH-CH=CH)$ 착체는 $Cp*(CO)_2$FeK와 cis-3,4-dichlorocyclobutene과의 반응으로 합성하였고, 이 착체에 결합된 CO기는 UV 광반응하에서 $PPh_3$로 치환시켜 $[Cp*Fe(CO(PPh)_3]_2-({\mu}-CH=CH-CH=CH)$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착체에 대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CV 실험결과, 전위차 ${\Delta}E^{\circ}=0.575{\sim}0.605$ V이고 $K_c$값은 $109{\sim}1010$으로 매우 큰 값을 얻음으로서 두 금속간의 상호작용이 탄화수소사슬을 통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수가 있었다.

  • PDF

Poly(t-MBA-co-GMA-L-Pro) 착체를 이용한 리간드 교환막

  • 박정준;박창규;이영무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04a
    • /
    • pp.50-51
    • /
    • 1993
  • 광학활성 물질의 분할은 화학공정에 있어서나 생명과학에 있어서 중요한 분야로, 특히 의약이나 농약등의 생리활성물질에 광학이성질체가 상당수 존재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는 경상체간에 생리활성이 현저하게 다른 것이 상당수 존재한다. 이러한 광학활성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크로마트그래피를 이용한 방법, Diastereomer를 이용하는 방법등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착체막을 이용하여 경상체를 분리하고자 한다. 전이금속착체를 이용한 경상체의 분리는 주로 crown ether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즉 전이금속의 흡착력과 crown ether의 입체구조를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액막에서나 가능한 것으로 고체막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아크릴 계통의 고분자 전이금속 착체막을 이용하여 아미노산 경상체간의 분리를 행하고자 한다. 즉 전이금속의 흡착력과 리간드의 입체구조를 이용하여 경상체를 분리하는 것이다.

  • PDF

개질된 PVA/PAAm 착체막을 이용한 기체의 분리

  • 박창규;최문제;이영무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04a
    • /
    • pp.38-38
    • /
    • 1993
  • 기존의 고분자막의 투과도와 선택성의 상호의존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복합막등에 관한 연구가 이제가지 이루어져왔으나 최근에는 전이금속을 유기고분자와 결합시켜 그 전이금속의 산화환원력을 이용하여 투과도와 선택성을 높이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래에 촉진수송에 자주 이용되는 전이금속을 이용한 고분자 착체막에 있어서 전이금속과 배위자, 그리고 기체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1차로 Schiff base를 배위자로 이용하여 Co을 착제로 만들어 $O_2, N_2$기체를 대상으로 투과실험을 행하였다.

  • PDF

Synthesis and photoproperties of digold conjugated chain (공액계 사슬을 갖는 이 핵 금 착체의 합성과 광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Dong-Hwan;Kim, Hwa-Sun;Ahn, Ho-Geun;Kwak, Ji-Hoon;Lee, Ji-Hoon;Jung, Min-C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6a
    • /
    • pp.455-456
    • /
    • 2006
  • 최근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 받고 있는 유기EL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 본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분야는 유기EL의 발광재료의 개발에 대한 연구이다. 그 분야중 하나가 세계적으로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연구되고 있는 전이금속을 이용한 발광재료의 개발이다. 그 중 본 연구에서는 양 말단 금속을 가교체로 연결한 이 핵 금 착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가교체들은 유기물의 결합 상태에서 나타나는 전자전이외에 금속과 유기물사이의 결합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전자전이 또 한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자전이로 인해 발광재료로서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착체를 합성하기위해 가교체 $H-C{\equiv}C-C{\equiv}C-C-H$$(Cis)H-C{\equiv}C-CH=CH-C{\equiv}C-H$를 이용하여 금과 N-Heterocyclic-Carbene가 배위결합된 양말단의 금속 그룹을 연결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착체는 FT-IR, $^1H$-NMR, $^{13}C$-NMR, UV/VIS/NIRspectrophotometer, Emission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PDF

Crystal Structure of the Three-Dimensional Metal Complex Inclusion Compound Clathrated Nitrobenzene Guest (Nitrobenzene을 guest로 포접한 3차원 금속착체 포접화합물의 결정구조)

  • Park, Ki-Min;Park, Sang-Yun;Lee, Uk;Iwamoto, Toschitake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0 no.7
    • /
    • pp.509-514
    • /
    • 1996
  • The three-dimensional metal complex inclusion compound $Cd(pn)Ni(CN)_4{\cdot}0.5NO_2C_6H_5$(pn: 1,2-diaminopropane=propylenediamine) crystallizes in the orthorhombic space group, $Pn2_1$a, (a=13.868(5), b=26.591(4), c=7.840(1)${\AA}$, V=2891(1)${\AA}^3$, Z=4), R=0.054 for 2800 independent reflections. The host structure of the inclusion compound appears the same one(T-type) of inclusion compound with branched aliphatic-guest molecule. The nitrobenzeneguest molecule attains the stable position in the nodal channel of T-type by placing the polar nitro group between the pn-amino groups at the node and the bulky aromatic ring in the antinodal zone of the channel. The substituted aromatic guest molecule is accommodated in the host structure of metal complex $Cd(pn)Ni(CN)_4$ with channel cavity.

  • PDF

Preparation of Polymer-Metal Complexed Membranes using Ethylcellulose and Metal salt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Gas Separation. (Ethylcellulose와 금속염을 이용한 고분자-금속 착체막의 제조 및 기체투과특성)

  • 변홍식;서성호;박병규;홍병표;백승욱;박영규
    • Membrane Journal
    • /
    • v.13 no.3
    • /
    • pp.200-209
    • /
    • 2003
  • Polymer-metal complexed membranes were prepared by solvent evaporation method using ethylcellulose, platinum(II)acetylacetonate, and rhodium(III)acetylacetonate. The various composition of metal salt(0.3-4.0 wt%) were employed to obtain the optimum performance of final membrane. EC-metal complexed membranes were characterized by FTIR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 to observe the morphology and the performance of oxygen, nitrogen, carbon dioxide, and methane gases was tested. It was shown that the metal salts enhanced the permeability of all gases without decrease of selectivity. However, it was found that Pt had more effects on the permeability of oxygen and nitrogen gases while Rh had more effects on the permeability of carbon dioxide and methane gases. EC-Pt complexed membrane(Pt 1.0 wt%) even showed the enhanced selectivity of oxygen/nitrogen(37%) due to the affinity characteristic of Pt to oxygen.

Enantioselective Phenolic Kinetic Resolution of Epoxides Catalyzed by New Chiral Salen Complexes (새로운 구조의 키랄 살렌 촉매상에서 페놀유도체에 의한 에폭사이드의 광학선택적 개환반응)

  • Rahul, B. Kawthekar;Lee, Kwang-Yeon;Kim, Geon-Joong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18 no.6
    • /
    • pp.630-635
    • /
    • 2007
  • New chiral Co-salen complexes with one $C_3-^tBu$ group in the structure have been synthesized and applied as a chiral catalyst. A dimeric chiral salen having aluminum group metal salts such as $AlCl_3$ displayed very high catalytic reactivity and enantioselectivity for the asymmetric ring opening of epoxides to synthesize optically pure ${\alpha}$-aryloxy alcohols via phenolic kinetic resolution. The salen complexes immobilized on the inorganic support were also used as effective catalysts in that reaction. The identity of metal salts in the new chiral salen complex has proved to be important in the enantioselective reactions.

공액계 벤젠고리를 갖는 배위자에 의해 합성된 발광착체

  • Hwang, Hea-Eun;Kim, Dong-Ho;Bae, Jong-Bum;Ahn, Bong-Hee;Chung, Min-Che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51-15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배위자로 공액계 벤젠고리로 연결된 중심금속이 이리듐인 착물화합물과 합성하여 인광재료로서의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새로운 이리듐착물화합물의 화학적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1H$-NMR, $^{13}C$-NMR,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였으며, 광 물리학적,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한 측정은 spectrofluorometer, cyclic voltammetry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이리듐 단핵 및 이핵착체는 589~598nm의 영역에서 발광파장이 확인되었으며, DMSO[$5{\times}10^{-5}$]용액에서 양자효율이 단핵 착물화합물의 경우 0.1, 이핵착물화합물의 경우 0.13으로 나타났다. 이핵 이리듐착물화합물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energy gap은 2.45eV, optical band gap은 2.58eV로 계산되었다.

  • PDF

Studies on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s and the Inhibitory Effects on ACE Activity of Several Flavonoids (각종 Flavonoids의 라디칼 봉쇄능과 ACE 활성 억제능에 관한 연구)

  • 강진훈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2 no.8
    • /
    • pp.1318-1322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biophysical utility of bioflavonoids by the determination of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n the ACE activit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All flavonoids experimented greatly inhibited the linoleic acid oxidation from the early period of oxidation, and the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also greater in genistein and daidzein than other flavonoids, generally showing donating ability. Rutin has the metal-chelating ability with C $u^{2+}$ and $Mg^{2+}$, which means to have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promotive oxidation of lipid by metal ion. All flavonoids experimented inhibited th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activity, which was greater in genistein and daidzein than other flavonoids.s.

짧은 실록산사실을 가지는 폴리아조메틴의 합성 및 산소선택투과성

  • ;Aoki, Toshiki;Itoh, Katsuhito;Oikawa, Eizo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04a
    • /
    • pp.38-39
    • /
    • 1996
  • 우수한 산소선택 투과막 소재를 얻기 위하여 높은 산소투과계수를 보이는 짧은 실록산 사슬과 금속이온과 착체를 형성할 것으로 기대되는 피리딘 고리를 번갈아 가지는 폴리 아조메틴을 합성하여 얻어진 막의 산소투과성을 검토했다. 또 같은 방법으로 합성한 폴리아미드의 한소투과특성과의 비교도 시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