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금강계만다라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금강계만다라 애니메이션을 위한 상징성 분석 (Symbolization Analysis for a Diamond World Mandala Animation)

  • 김경덕;김영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586-59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금강계만다라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금강계만다라의 상징성 분석에 대하여 기술한다. 금강계만다라는 여타의 만다라와 비교하여 자체로서 특별한 의미와 심미적 요소로 인하여 불교 문화원형으로서 높은 가치를 가진다. 지금까지 불교 문화원형 콘텐츠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가 문화자산의 복원과 콘텐츠 산업화에 대한 추상적인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불교 경전의 의미를 소재로 하여 이를 직접 전달하기 위한 콘텐츠 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원론적인 개발당위성에서 좀 더 나아가 본격적으로 금강계만다라에 내포된 개념과 등장 요소의 상징적인 의미를 분석하고, 만다라 애니메이션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한다. 인류의 지적 유산인 무형문화를 구현한 애니메이션의 응용 분야로는 불교 교리의 교육, 불교문화에 대한 용이한 접근성을 통한 문화 서비스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팔엽심련만다라(八葉心蓮曼陀羅)의 의미분석과 시각화 (Semantic Analysis and Visualization on The Palyupsimryun Mandala)

  • 김경덕;김영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668-67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전통문화유물 중 고도의 정신세계를 나타내는 팔엽심련만다라의 특징과 구조적 의미를 분석하고 시각화를 기술한다. 다양한 국외 만다라에 대한 연구가 소개되고 있으나, 현존하는 한국의 만다라에 대하여 그 의미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미진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팔엽심련만다라의 종자를 형상 위주의 만다라에서 나타난 존상과 매칭하여 시각화하고, 이런 과정을 통하여 우리 고유의 종자(種字)만다라가 기존 금강계만다라와 태장만다라가 융합된 만다라로서의 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보인다. 응용 분야로는 만다라의 캐릭터화, 디지털 스토리텔링, 게임 등이다.

금강계만다라 37존의 전개에 따른 시각화 (Visualization pursuant to Developing 37 Honoured Ones within The Diamond World Mandala)

  • 김경덕;김영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1241-1250
    • /
    • 2015
  • In this paper, we describe visualization pursuant of developing 37 Honored Ones within the Diamond World Mandala. “The 37 Honored Ones” are a collective term for 5 Buddhas and 32 Bodhisattvas that were built on the basis of Vajrasekhara Sutra. Also, as core values of Buddhism, they represent ideas of Esoteric Buddhism systematically and symbolically. “The 37 Honored Ones” are completed by the development of 4 Buddhas from Vairocana and their interaction with 16 Great Bodhisattvas and 16 Offering Bodhisattvas that were also developed from Vairocana. So, in this paper, we analyze and visualize the development of “37 Honored Ones.” This line of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it aims to convert narrativ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Buddhism scriptures into various types of digital contents. Also, applications of the implemented visual digital contents can be as follows; educational service for Buddhist doctrines, development of the various Buddhist cultural contents,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