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글이해

검색결과 595건 처리시간 0.041초

한국어의 이해와 산출의 심리적 과정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Processes of Korean: A Review on Psychological Research)

  • 이정모;이재호;김영진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4년도 제6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22
    • /
    • 1994
  • 한국어의 이해와 산출의 심리적 과정에 대한 인지심리학적 연구들을 개관하였다. 한국어의 통사적 구분분석처리 과정, 대용어 참조 해결 과정, 덩이글 이해와 지식구조의 활용 과정, 말실수와 글쓰기의 언어 산출 과정 등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를 개관하여 주요 실험적 결과와 이론적 의의를 논하고, 이들이 앞으로의 한국어 이해와 산출 과정에 대한 인지과학적 연구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 PDF

기계공학과 보행분석

  • 박수경
    • 기계저널
    • /
    • 제50권12호
    • /
    • pp.45-49
    • /
    • 2010
  • 이 글에서는 기존의 운동학적(kinematics) 관점에서 주로 수행되어 오던 보행분석을 기계공학적으로 접근함으로써 보행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인 사례들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전기막 담수화에서의 유체역학

  • 곽노균
    • 기계저널
    • /
    • 제57권10호
    • /
    • pp.33-37
    • /
    • 2017
  • 이 글에서는 전기와 분리막을 이용한 전기막 담수화(electro-membrane desalination) 공정을 이해하고,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유체역학적 접근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양자 얽힘과 양자 텔레포테이션

  • 이해웅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27
    • /
    • 2004
  • 양자 텔레포테이션은 다가오는 양자정보시대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본 수단으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양자 텔레포테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꼭 필요한 읽힘의 개념을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양자 텔레포테이션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며 또 실험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양자물리의 기본 원리에 입각하여 양자 텔레포데이션의 현상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DDC의 새로운 이해(4): 제1보조표 표준세구분표

  • 오동근
    • 도서관문화
    • /
    • 제39권4호통권311호
    • /
    • pp.31-42
    • /
    • 1998
  • 이 글은 DDC 제21판의 올바른 이해를 돕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본지 '98년 1ㆍ2월호부터 5ㆍ6월호에 걸쳐 DDC의 일반적인 측면에 대해 연재한 바 있다. 이번 호부터는 DDC 제21판의 보조표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나노물리개론 과목 소개

  • 김경식
    • 기계저널
    • /
    • 제53권12호
    • /
    • pp.45-48
    • /
    • 2013
  • 이 글에서는 현재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의 나노물리개론 교과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최근 첨단 분야로 각광받고 있는 나노테크놀로지를 이해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나노 세계의 기본 개념과 양자역학적인 현상기술들을 기계공학 전공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현재 기계공학 연구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다양한 예를 통하여 알아본다.

  • PDF

개연규칙의 활용: Plot Units의 발견 (Application of Abductive Rules: Detection of Plot Units)

  • 김곤;양재군;배재학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652-654
    • /
    • 2004
  • 개연규칙은 문장 구성성분들의 문장간 개연적 연결상황을 나타내고, 글의 인과성향이나 담화작용을 반영한다. Plot Units는 이야기를 형성하는 줄거리 또는 줄거리에 나오는 여러 사건을 하나로 구성하여 표현한다. 글을 읽고 Plot Units를 파악한다는 것은 그 글의 내용을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Plot Units를 찾는 한 방법으로 개연규칙을 생각하였다. 개연규칙들을 Plot Units와 대응시켜 봄으로써. 개연규칙을 활용하여 글의 Piot Units를 발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