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글로벌 소비자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34초

글로벌 디자인을 위한 글로벌 시장세분화 -글로벌 소비자문화 의미 이동을 기반으로- (Global Market Segmentation for Global Design -Based on Movement of Global Consumer Culture Meaning-)

  • 양종열
    • 감성과학
    • /
    • 제7권1호
    • /
    • pp.83-95
    • /
    • 2004
  • 시장의 글로벌화는 시장환경을 급격히 변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부응하여 디자인을 통해 글로벌경쟁우위를 차지하려 노력하는 글로벌 기업들을 위해 글로벌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글로벌 소비자문화의 의미구조와 이동의 관점에서 글로벌 세분시장을 구성하는 글로벌 소비자문화, 글로벌 디자인 및 글로벌 세분시장을 구성하는 소비자간의 순환적 인과구조를 규명하여 글로벌 디자인을 위한 새로운 연구의 틀을 창조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디자인을 위해서 글로벌 소비자문화-기반 글로벌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먼저 글로벌 세분시장과 글로벌 소비자, 글로벌 소비자문화 및 글로벌 디자인을 고찰한다. 그 다음 이들 간의 인과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로서 McCraken의 제품의 문화적 의미구조와 이동에 관한 이론을 적용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연구의 틀을 구성한다. 그리고 글로벌 소비자문화 중 10대 청소년의 글로벌 문화에 대한 2차 자료를 바탕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로서 글로벌 소비자문화-기반 글로벌 디자인 전략을 제안하고 미래 연구를 위한 방향을 논의한다.

  • PDF

브랜드 글로벌성이 브랜드 신뢰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 문화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Brand Globalness on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s' Cultural Intelligence)

  • 유흔;권영철
    • 무역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15-13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브랜드 전략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브랜드 글로벌성과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브랜드 글로벌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브랜드 신뢰도의 매개역할을 분석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브랜드 신뢰도 유형을 브랜드 가치를 따지는 신용도와 감정적 측면이 반영되는 호감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브랜드 글로벌성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는 소비자 개인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문화지능의 조절효과도 분석하였다. 총 207명의 대학생 소비자 집단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예상했던 대로 특정 브랜드에 대해 글로벌성이 높다고 인식하는 소비자 집단일수록 해당 브랜드에 대해 더 높은 신용도와 호감도를 보이고, 이는 결국 더 높은 브랜드 충성도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브랜드 글로벌성이 브랜드 신용도와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자 문화지능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의 문화지능과는 상관없이 브랜드 글로벌성이 높을수록 모든 소비자들로부터 더 높은 신용도와 호감도를 얻을 수 있음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세계시장에서 활약하고 있는 국내기업들에게 글로벌 브랜드 전략의 유효성에 대해 일련의 시사점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내향적 국제화 인식정도가 글로벌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Perceived Inward Internationalization on Global Brand Attitude)

  • 이한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322-331
    • /
    • 2014
  • 국내 콘텐츠 산업의 성장과 함께 글로벌 시장으로써 중국 시장은 여전히 신흥 시장으로서 매력적이다. 그러나 지역적 차이 및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에서는 내향적 국제화와 글로벌 문화수용성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글로벌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도시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편의 표본 추출을 통해 샘플을 추출한 후 PLS를 활용하여 그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의 내향적 국제화 인식정도는 글로벌 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다시 브랜드 태도 및 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기업이 신흥시장으로 진출하는데 있어서 지역의 내향적 국제화가 중요한 확인사항임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국제화 감각이 높은 중국 연안 도시들이 여전히 글로벌 소비층으로서 주요한 타깃이 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중국 내륙까지 포함한 다양한 도시들에서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여 향후 내륙 지역 간 소비자들의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국내의 콘텐츠 기업들은 신흥시장으로 진출 및 타깃 공략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지역의 내향적 국제화 개념을 활용하여야 함을 주장하는데 의의가 있다.

글로벌 디자인 프로세스 구축 (The Development of Global Design Process)

  • 김태호;홍정표;양종열;이유리;오민권;이건표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107-116
    • /
    • 2001
  • 급변하는 시장환경은 기업으로 하여금 국가의 경계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그들의 제품디자인의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글로벌경쟁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은 소비자들의 핵심 가치와 니즈를 철저히 이해하고 거기에 적절히 부응하지 않으면 글로벌 소비자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 중심의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쌍방향 온-라인 디자인 조사·분석 프로그램 개발 및 디자인 데이터 베이스화를 통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구축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수단-목표 사슬이론과 래더링 방법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가치관-혜택-속성의 연계성으로 연구 프레임웍을 구축하였고, 그 프레임웍을 여러 실증 연구를 통해 Global Design Process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디지털 시대에 부응하는 한층 업-그레이드된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 PDF

글로벌콘텐츠 만족도 및 호감도가 글로벌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 (Consumer Attitude on Global Contents and the Purchase Intention to Global Products: The Moderating Role of Ethnocentrism)

  • 김병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81-587
    • /
    • 2022
  • 일반적으로 국가, 지역 혹은 문화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콘텐츠 시장이 팬데믹 이후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비자들이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진 글로벌콘텐츠에 대한 태도가 글로벌제품의 구매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의 조절효과와 함께 살펴보았다. 대학생 대상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 분석 결과, 소비자들이 글로벌콘텐츠에 대한 만족도와 호감도가 높아질수록 글로벌제품에 대한 높은 구매의도를 보였으며, 이러한 관계는 소지자의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에 의해 부(-)의 방향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열해진 국내 시장에서의 글로벌 경쟁은 물론,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 마케팅 전략 수립에도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해외 CSR에 대한 모국 소비자의 평가 (Assessing How Foreign CSRs Affect Home Country Consumers)

  • 한충민;손성범;김경애
    • 국제지역연구
    • /
    • 제21권2호
    • /
    • pp.219-24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관점에서 해외에서 수행한 CSR과 글로벌 NGO와의 협력 사업이 모국 소비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를 대상으로 2개 CSR 대상(국내 vs. 해외) ${\times}$ 2개 NGO 기관(국내 vs. 외국)의 모두 4개 유형의 CSR활동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서울 소재 25세 이상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험 조사를 진행하였다. 검증 결과, 첫째, 모국 소비자들은 전반적으로 우리 기업이 수행하는 해외 CSR 보다는 국내 CSR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모국 소비자의 해외 CSR에 대한 평가는 해당 기업의 글로벌성 인식이 높아지면 상대적으로 좋아진다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NGO 유형과 관련하여서는, 모국 소비자들은 국내 기관와의 협력에 대해 다소 호의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구매 의도와 관련하여서는 NGO의 국적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흥미로운 결과로서, 해외 CSR인 경우에는 외국 NGO보다는 국내 NGO와의 협력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국제광고의 메시지 인식 비교를 통한 표현전략 연구 : 한국·중국·미국 현지 대학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A Study of Creative Strategy through the Comparison among International Advertising Message Recognitions: Intended for Local Consumers in Korea, China, and United-States)

  • 이상훈
    •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 /
    • 제18권1호
    • /
    • pp.195-222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미국의 현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각 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동일한 글로벌 브랜드 광고 캠페인의 메시지의 인식의 정도를 조사하여 향후 글로벌 광고 캠페인 메시지 제작에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글로벌 브랜드 국제광고의 동일한 의미를 지닌 메시지 적용에 대한 한·중·미 3개국 소비자가 인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Hofstede와 Trompenaar 등이 제시한 문화차원 중에서 한·중·미 3개국 소비자의 동일한 메시지의 인식과 의미체계의 표준화와 현지화 전략에 대해 현지의 소비자가 인식하는 적합성의 정도는 어떠한가? 현지화와 표준화 전략 중 국제광고의 동일한 의미를 지닌 메시지에 대한 한·중·미 소비자의 인식과 의미체계의 차이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표준화와 현지화 전략의 적합성에 있어서 현지 소비자의 인식은 국가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등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는 한국과 중국 미국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해당 국가에서 시행된 삼성전자의 휴대전화 애니콜 광고물을 함께 제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세 나라의 문화와 시장의 배경의 차이에 따라 동일한 브랜드가 제시하는 메시지의 인식의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의 소비자는 애니콜(삼성)의 광고 메시지는 한국과 중국, 그리고 미국, 3국의 시장에 적용함에 있어서 문화와 관련된 부분의 반영이 미흡하다고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것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현지 문화의 특성과 메시지 적헙성 여부에 대해서는 매우 높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광고 메시지에 감성중심의 메시지 표현이나 논리적인 메시지 전개 부분에서는 부족한 부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차이가 미미하지만 표준화 전략보다는 현지화 전략이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의 소비자는 애니콜(삼성)에 대한 메시지의 일관성과 메시지 내용의 현실성 면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메시지 노출의 현저성이나 메시지에 대한 호감, 메시지의 친숙성 면에서는 중국이 지닌 문화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의견이 개진되었다. 아울러 메시지의 관계 돈독의 목적성이 현지의 문화적 특성과 적합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의 소비자도 마찬가지로 표준화보다는 현지화 전략이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소비자는 광고 메시지에 대한 인식이 한국이나 중국의 소비자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애니콜(삼성)의 광고 캠페인에 글로벌화 전략이 반영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미약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메시지의 친숙성 정도가 낮게 평가됐다는 부분 역시 미국 현지 시장에 대한 전략에 보완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미국의 소비자는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의 견해보다 월등한 수준에서 현지화 전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밖에 메시지의 관계 돈독의 목적성과 메시지의 독특성과 관련된 영역에서도 상호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위와 같은 내용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브랜드의 국제광고 캠페인이 지니는 위상과 이를 수용하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형성된 문제점을 파악하고 표준화와 현지화 전략의 범위를 결정하는 과정에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문화영역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글로벌 브랜드 캠페인 전개시 표준화 전략 보다는 보다 현지의 문화와 시장 상황이 반영된 현지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이 제품평가단서 지각과 정보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s of Consumer's Individualism/Collectivism Disposition on the Perception of Marketing Signals and Information Search Behavior)

  • 황윤용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3권4호
    • /
    • pp.59-89
    • /
    • 2001
  • 본 연구는 글로벌 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주요 제품평가단서로서 이용되고 있는 브랜드, 가격, 물리적 특징, 판매점과 관련된 정보내용(합의정보와 속성정보)에 대하여 소비자의 문화적 지향성이 정보탐색원천과 정보탐색 유형별로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탐색해 보았다. 연구 결과 양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 내용은 개인주의 성향을 가진 소비자들은 타인의 태도가 반영되지 않고 소비자들에게 스스로 판단하도록 하는 속성정보를 더 선호하였으며, 반면에 집단주의 성향을 가진 소비자들은 타인의 태도가 반영된 합의정보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주의 성향을 가진 소비자들은 비인적 정보원천에서 속성정보를, 반면 집단주의 성향을 가진 소비자들은 인적정보원천에서 합의정보를 주로 더 이용하였고, 정보탐색 유형에서는 지속적 탐색보다 구매전 탐색에서 합의정보와 속성정보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양 국가의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차별적 결과도 제시되었는데, 개인주의 성향을 가진 한국 소비자들은 속성정보와 더불어 합의성 정보도 병행하여 이용하였으나 중국 소비자들은 주로 비인적 정보원천을 활용한 속성정보를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주의 성향을 가진 한국 소비자들은 주로 판매원을 통한 합의정보를 선호하였으나 중국 소비자들은 판매원과 더불어 친구나 동료의 구전정보도 평상시에 많이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려는 국제 마케터들은 공통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 표준화된 마케팅단서의 활용과 더불어 양 국가간의 문화적 차이에 기초한 차별적인 마케팅 믹스도 동시에 수행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 PDF

OTT를 통한 글로벌 콘텐츠 경험이 글로벌 지향성 및 글로벌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Global Content Experiences through OTT on Global Orientation and Global Brand Attitude)

  • 홍기석;김병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031-1038
    • /
    • 2023
  • 최근 들어 팬데믹과 더불어 급격하게 성장한 국내외 OTT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콘텐츠를 보다 편리하게 경험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경향은 점차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소비자들이 OTT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콘텐츠를 경험한 정도와 내용이 개별 소비자들의 글로벌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과 글로벌 브랜드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OTT를 통한 글로벌 콘텐츠의 주된 소비계층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글로벌 콘텐츠 경험노출도와 경험다양성이 증가할수록 글로벌 소비 지향성과 글로벌 정체성으로 살펴본 글로벌 지향성이 높아지며, 이는 글로벌 브랜드 태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디자인을 위한 연구 모델 구축 (The Development of a research model for Global Design)

  • 양종열;이유리;이건표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2-113
    • /
    • 2000
  • 시장의 글로벌화(globalization)는 오늘날 기업들이 직면한 가장 큰 도전이다$^1$). 국가경계의 급속한 붕괴, 지역간 통합(유럽 연합 [EU], 북미 자유 무역 협정, 동남 아시아 연합 등), 제조 기술의 표준화, 글로벌 투자와 글로벌 제품전략, 세계 여행의 확대, 교육과 지적 수준의 급속한 증가, 개발도상 국가들의 도시화, 국가간의 정보(월드 와이드 웹), 노동, 자본 및 테크놀로지의 자유로운 유통, 소비자 욕구와 구매력의 증가, 텔레커뮤니케이션 테크놀러지의 진보, 그리고 글로벌 미디어의 출현등은 각 국의 개별시장을 하나의 글로벌 시장으로 통합시키는 경향을 가속화시키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