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Search Result 7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Uneven Regional Developments of Global Production Networks in the ICT Parts and Components Industry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의 지역별 불균형 발전: ICT 부품·소재 산업을 중심으로)

  • Lee, Soh Eun;Kim, Jung-Ho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8 no.3
    • /
    • pp.205-229
    • /
    • 2014
  • Global production networks (GPNs) emerged as multinational companies strategically relocated different stages of their value chain over many regions. Since GPNs require moving materials, parts, components and finished products across national borders multiple times, as well as coordinating it efficiently, they are intensified further within an integrated region. Within the region, developed countries which enjoy a comparative advantage in higher value-added tasks specialize in the production of ICT parts and components and exhibit high export RCA indices while developing countries show high import RCA indices. But, as developing countries upgrade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achieve industrial upgrading through participation in GPNs, their level of sophistication improves. East Asian countries have participated in GPNs to a greater degree when compared to countries in other regions because of a variety of factors. They have benefited much as shown by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level of ICT sophistication and export shares, which in turn led to uneven regional developments of GPNs in the ICT parts and components industry.

Determinants of Effective Coordination Mechanisms for Global Operations (글로벌 생산경영을 위한 효과적인 협력.조정 메커니즘의 결정요인)

  • 김보원;이경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93-196
    • /
    • 1998
  • 효율적인 글로벌 생산경영은 각국에 위치한 생산시설을 통제·운영(control)해야 하는 글로벌 기업(다국적기업)에게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각 나라에 위치한 생산시설은 글로벌기업의 생산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효율적인 글로벌 생산경영을 위해서는 이러한 글로벌 생산네트워크가 최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글로벌기업은 협력·조정 메커니즘(coordination mechanism)을 통하여 이를 달성할 수 있다. 글로벌 협력·조정 메커니즘(global coordination mechanism)이란 글로벌 기업의 본사와 해외자회사 모두의 생산활동에 상호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서로 협력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조직적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의 하나이다. 이는 협력·조정의 영역, 방법, 구조 등 세가지 기본 틀을 살펴봄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기본 전제이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 글로벌기업의 본사와 해외 자회사간 협력·조정 활동을 분석하여, 해외 자회사의 생산성과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협력·조정 메커니즘의 결정요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검증한다. (1) 산업의 특성은 협력·조정 메커니즘과 글로벌 생산성과 간의 상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2) 글로벌기업의 특성(예를 들어, 기업의 글로벌화 정도, 규모)은 협력·조정 메커니즘과 글로벌 생산성과 간의 상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3) 산업과 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협력·조정 메커니즘의 구성요소 (협력·조정 영역, 방법, 및 구조) 간의 적합성(fit)이 이루어졌을 때 글로벌 생산성과는 가장 높다.

  • PDF

Tracing the Evolution of the Global Production Network Discourse: An Alternative to the Firm- and Industry-Centered Governance Analysis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담론의 진화: 기업 및 산업 중심 거버넌스 분석을 넘어서)

  • Lee, Jae-You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5
    • /
    • pp.667-690
    • /
    • 2016
  • This paper reviews the evolution process of global production network(GPN) discourse, from its origin to the recent theorization, namely GPN 2.0. In so doing, the discursive formation of global production networks is introduced in comparison with a competing discourse global commodity/value chain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conceptual and analytical lacunae in the latter. This article also outlines how the global production network perspective has become a useful discursive and practical tool that allows the examination of the nexus of global economy, transnational corporations, and regional development. Subsequently, a theoretical dearth in the approach is discussed in reference to key critiques, and in this context Yeung and Coe's recent theorization GPN 2.0, which is centered on casual mechanisms and network configurations is reviewed.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theory adequately addresses the problem of casuality lacking in its precedented conceptual framework, and that it helps exploring the formation and evolution processes of varied production networks(including intrafirm coordination, interfirm control, strategic partnership, and extrafirm bargaining) in connection with competitive dynamics and risky environments. As a result of the theorization, the difference between GPN and the chain approaches has become more apparent, and the idea of extrafirm bargaining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differentiation. Extrafirm bargaining is seen to be a comprehensive networking form inclusive of such GPN 1.0 analytical concepts as value, embeddeness, and power, and research attentive to, and engaging with, the extrafirm networks is expected to help transcending the chain governance approaches' analytical excess of interfirm linkages and industry-centeredness.

  • PDF

웹기반의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구축에 관한 연구

  • 박명국;손기목;이동욱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59-164
    • /
    • 2000
  • 치열한 경영 환경을 돌파하기 위해 제품 생산 기지를 해외에 구축하는 글로벌화가 진행되고 있다. 생산 요소 중 기계나 장비는 쉽게 이전 가능하나, 고참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경험적 지식은 이전하기 어렵다. 그러나 해외 생산 거점을 조기에 안정화 시키기 위해서는 경험자의 생산 지식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기존에는 이를 위해 국내 생산 전문가의 현지 공장 파견 및 현지의 국내 교육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는 한시적인 지원에 불과하며, 좀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 즉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구축이 요구 되어졌다.본 논문에서는 웹기반의 지식관리 시스템 구축 및 이를 활용한 해외 공장 지식 전이 활동에 대한 소개를 담고 있다. 즉 먼저 노하우 및 경험적 지식을 가지고 있는 국내 공장에 지식 고유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활성화시켰다. 국내 경험적 지식은 사례 기반 추론을 활용하여 수집 및 활용되었다. 그리고 일정 수준의 지식이 시스템에 축적되었을 때 해외 생산 법인에 훈련 및 문제 해결 활용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 PDF

글로벌생산체계에서 중국 동관(東莞)지역의 역할과 IT·전자산업클러스터의 발전

  • Lee, Sang-Bin
    • Korea and Global Affairs
    • /
    • v.1 no.1
    • /
    • pp.153-176
    • /
    • 2017
  • 중국 경제성장에 핵심적 역할을 해왔던 광동성(廣東省) 동관시(東?市)는 지리적으로 근접해 있는 홍콩을 이용하여 줄곧 경제발전을 추구해 왔다. 1980년대 초반은 홍콩으로부터 가전산업 관련 중소 다국적 기업이 동관지역에 진출하여 생산 공장을 세우고, 그 후 1990년 중반에는 대만의 PC제조업체의 진출이 잇따르면서 현재 동관에는 정보통신산업과 PC부품 및 전자산업 중심으로 지역 산업클러스터가 발전해 왔다. 동관시 산업클러스터 사례는 개혁개방이후 중국 제조업 산업의 발전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대에 해외직접투자와 아시아지역 후-후발산업국가에서의 지역경제의 성장 및 산업발전과정의 연구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지역적 사례 중의 하나다. 본 연구는 광동성 동관시 지역산업클러스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론적으로는 지역산업발전의 내생적 성장요인 분석(NMID) 혹은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와의 외부적 연계성을 기초로 하는 산업의 지역적 분화(GPN)에 대한 이 두 관점을 상호 비교하고, 글로벌 생산체계에서 공간적으로 현재 동관시 지역이 가지고 있는 산업클러스터의 위치와 역할을 설명하였다. 또한 산업적인 측면에서 생산네트워크 접근틀과 제도적 역량이라는 이론적 관점을 활용하여 중국 동관시 지역산업과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대적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Research on Korean Cultural Industry Based on Global Production Networks Theory (한국 문화 산업의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 Ziliang Chen;Julian Schwabe;Sung-Cheol Le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4
    • /
    • pp.408-420
    • /
    • 2023
  • As the cultural industry might be regarded as the most intimate industry to the general public, it is relatively easy to be widely accept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not only people in various countries have been closely connected, but production networks around the world might also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This article will use data and case studies to clarify how global production networks operate in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By taking the relatively novel point of contact of connection between global production networks and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it summarizes the development models of the film, television and music sectors in the Korean cultural industries. The study found that the development model of the film, television and music industry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could be divided into four phases, and most firms are now in the outsourcing and expansion phase. Relying on the huge production networks, these two industries are likely to be improving their popularity and added value through global cooperation.

행사 - 중소.중견기업 글로벌화 세미나

  • Im, Nam-Suk
    • 프린팅코리아
    • /
    • v.12 no.5
    • /
    • pp.72-73
    • /
    • 2013
  • 한국수출입은행과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4월 2일 오후 2시 중소기업중앙회 그랜드홀에서 중소 중견기업 글로벌화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내수시장의 성장 둔화, 신흥시장의 빠른 성장 및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확대 등에 따라 중소 중견기업들도 글로벌 경쟁패러다임 도입이 시급하다는 인식하에 기획됐다.

  • PDF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Global Automotive Production Network using the OECD Trade in Value Added Data (OECD 부가가치 기준 교역자료를 이용한 자동차산업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의 특성 분석)

  • Jeong, Jun Ho;Jo, Hyung J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3
    • /
    • pp.491-511
    • /
    • 2016
  •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dynamics of global value chains in the auto industry using the OECD TiVA 2015 edition on the bilateral foreign value added in exports over the period 1995-2011 and employing the techniques of social network analysis such as the computation of network measures and visualization of value added trade flows. It is shown that there has been a tendency towards increasing production fragmentation both within and across regions. The automotive value-added network is found to have small-world properties with a hierarchical, clustered and dense structure. The differences among the US, Germany and China as major suppliers of foreign value added in global automotive value chains are remarkably revealed. Although the fragmentation of production has been developed on a global scale, a dichotomous tension between center and periphery and domestic and foreign capital lies behind it.

  • PDF

Global Production Network and Coupling Strategy of IT Industrial Clusters in Dongguan, China (중국 동관 IT 산업 클러스터의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및 커플링 전략)

  • Lee, Sang-Bin;Sung, Eul-Hyun;Yeom, Myung-Ba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7
    • /
    • pp.39-46
    • /
    • 2017
  • Dongguan City of Guangdong province, one of the core areas of the Pearl River Delta, has also pursued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the geographical advantage close to Hong Kong. In the early 1980s, small and medium-sized multinational corporations related to home appliances industry from Hong Kong invested to the Dongguan area and set up a production factory. In the mid-1990s, as Taiwanese PC manufacturers invested, local industrial clusters have developed in Dongguan with core of the IT, PC components and electronic industries. The case of the IT industrial cluster in Dongguan is a typical example of the development of Chinese manufacturing industry after the reform of China. This paper focused on the coupling strategy case of Dongguan City industrial cluster in Guangdong province, and theoretically compared the endogenous growth factor analysis(NMID) of regional industrial development with the regional differentiation of industry based on external linkage with global production network(GP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