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글로벌건설

Search Result 25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Global Construction Business Management (글로벌 건설경영)

  • Shim O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13-18
    • /
    • 2002
  • Foreign construction requires the globalization of management structure and role execution as a global manager. Therefore, this paper prospects the light and shadow of Korea construction business with the consideration about the foreign construction market and Korea's foreign construction. This paper interprets meaning about the foreign construction and analyzes the distinction, strategy, and competitive factor of foreign construction business. On the basis of interpretation and analysis, this paper suggests the innovative change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business manager and management system.

  • PDF

Intercomparison of global water resource model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human activities on the runoff (글로벌 수자원 모형 결과 상호 비교: 기후변화 및 인간활동 영향으로 인한 유역별 유출 변화)

  • Ho, Hyunjoo;Lee, Sang Hyeon;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07-307
    • /
    • 2018
  • 전 지구적으로 댐 건설과 가정, 공업 및 농업 용수의 사용 등 인간의 영향으로 유출량, 지하수, 토양수분 등의 다양한 수문요소가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영향은 기후변화의 영향과 함께 수문요소에 주요한 동인으로, 그 영향을 이해하고 전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Inter-Sectoral Impact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에서 제공되는 이용 가능한 여러 글로벌 수자원 모형의 유출량 결과를 통해 기후변화 및 인간활동의 영향의 상대적 중요성 등을 분석했다. GFDL, HadGEM, IPSL, MIROC5에서 도출된 기후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구동된 글로벌 수자원 모형 결과를 살펴봤으며, 글로벌 수자원 모형은 CLM, H08, LPJml 등을 포함한다.

  • PDF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human activities on the surface water balance with global water resource models (기후변화 및 인간활동 영향으로 인한 글로벌 지면 물수지 변화)

  • Lee, Sang Hyeon;Ho, Hyunjoo;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08-308
    • /
    • 2018
  • 전 지구적으로 댐 건설과 가정, 공업 및 농업 용수의 사용 등 인간의 영향으로 유출량, 지하수, 토양수분 등의 다양한 수문요소가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영향은 기후변화의 영향과 함께 수문요소에 주요한 동인으로 이의 영향을 이해하고 전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Inter-Sectoral Impact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를 통해 이용 가능한 여러 글로벌 수자원 모형의 결과를 분석하여 기후변화 및 인간활동의 영향의 상대적 중요성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GFDL, HadGEM, IPSL, MIROC5에서 도출된 기후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구동된 글로벌 수자원 모형결과를 살펴보고자 하며, 글로벌 수자원 모형은 CLM, H08, JULES 등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증발산량, 토양수분, 유출 등의 시간 및 공간적 변화, 기후변화 및 인간 활동의 영향이 주요한 역할을 하는 지역 혹은 유역을 확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 PDF

Global Building Market Assessment through 2019 Global Insight Analysis (Focusing on architecture) (2019년 글로벌 인사이트 분석을 통한 글로벌 건설시장 평가(건축분야))

  • Han, Jae Goo;Park, Hwan-P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2-213
    • /
    • 2020
  • In this study, the market growth potential for the construction sector and the company's ease of entry were analyzed by using construction scale and risk data among global insight data. The survey was conducted in 74 countries.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whose result can be used as policy-based data for the overseas construction industry.

  • PDF

Hydrologic component analysis using global meteorological data in Awash basin, Ethiopia (글로벌 기상자료를 이용한 Awash 유역의 수문성분해석)

  • Tolera, Mesfin;Chung, Il-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34-334
    • /
    • 2018
  • 에티오피아 Awash 하천유역의 수자원은 경제적, 사회적, 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 지역에 신뢰성 높은 기상자료의 확보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Climate Forecast System Reanalysis (CFSR)의 글로벌 기상자료를 이용한 수문성분해석결과와 기존의 제한된 기상자료를 활용한 결과를 비교하여 향후 두 자료를 적절히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수문모형은 글로벌 적용이 가능한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활용하였고, 상이한 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모형의 성능은 두 지점의 관측 유출량과의 비교를 통해 검토하였다. 매개변수의 보정은 Sequential uncertainty fitting (SUFI-2)방법을 이용하였다. Keleta 및 Melka Kunture 소유역에서의 유출량을 비교한 결과 기존의 가용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구한 결과에 비해 CFSR 글로벌 기상자료를 이용한 결과가 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역면적이 Keleta소유역에 비해 6배가 큰 Melka Kunture 유역에서 CFSR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한 유출량이 더욱 정확한 것으로 나타나 유역면적이 큰 곳에서 글로벌 자료의 활용성은 더욱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글로벌 기상자료의 활용은 아프리카의 대부분 지역과 같이 확보된 기상자료가 부족한 곳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quality control techniques for global climate observations (글로벌 기후 관측자료 품질관리 기법 개발)

  • Lee, Jae-Seung;Kim, Seon-Ho;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4-104
    • /
    • 2019
  • 기후 관측자료의 경우 관측, 가공, 전송 중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글로벌 기후자료는 다양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자료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해당 국가 관측자료보다 품질이 낮다.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기후 관측자료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품질관리 기법을 개발하고 국내 지역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지역으로 국내 대표도시 7 곳을 선정하였으며, 글로벌 기후자료는 NCDC (National Climatic Data Center)의 일 단위 GSOD (Global Surface Summary of the Day) 자료를 수집하였다. 품질관리는 강수와 기온에 대해서 실시하였으며 과정은 크게 이상치 검사, 이상치 및 결측치 보정, 연, 월 단위 기후 자료 산정으로 구분된다. 이상치 검사는 중복성 검사, 내적일치성 검사, 기후범위 검사, 공간동질성 검사를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치 및 결측치 보정은 인접 관측소의 자료를 보간하여 수행하였으며, 보간기법은 4 방향 역거리 가중법을 활용하였다. 연, 월 단위 자료 산정은 자료의 결측률을 고려하여 일 단위 자료를 연, 월 단위 자료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이상치 검사 결과 대부분의 이상치는 기후범위와 공간동질성 검사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복성 및 내적일치성 검사는 이상치 검출 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측치 및 이상치 보간 결과 추정된 자료와 관측값 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활용성이 있었다. 본 연구는 글로벌 자료의 품질관리 기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활용성이 있으며, 향후 품질관리 기법의 검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 PDF

Improvement of Global Construction Engineer Training Program : An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글로벌 건설 엔지니어링 고급인력 양성사업의 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

  • Park, Hyeon;Park, In-Seok;Cha, Yongwoo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7 no.6
    • /
    • pp.31-39
    • /
    • 2016
  • This study aims to give suggestions based on survey to improve the quality of Global Construction Engineer Training Program in line with the government goals.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 has kept shrinking, whereas the global construction market is forecasted to keep expanding in the future. It has become an urgent task to be taken up for construction contractors and engineering firms so as to improve their capacity, in particular, in the fields of planning, management, finance as well as engineering. To deal with the lack of capacity of the domestic engineers and to help them emerge as global players in the competitiv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f the Korean government has designed a program called 'Global Construction Engineer Training Program.' The eligible target of the training program is mid-career professionals who are working for the construction contractors or engineering firms. To draw suggestions for this program, an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implemented by the S University. The S University, along with C University, was selected as an implementation organization of the program in 2014 by the government. Through an email survey, the participating students in the program were asked questions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gainst 17 indicators classified into 5 categories: instruction method, professional knowledge of instructors, contents of program, curriculum, and facility and environment.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students are satisfied with the overall quality of the program, but it was also found that they want the program opens more coursework on practical application of knowledge, case studies, and global networ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