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글로벌경쟁력 확보를 위한 건설사의 프로젝트관리 선진화 달성방안  

Gang, Sin-Bong (글로벌프로젝트관리연구소(주), 고려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v.20, no.2, 2019 , pp. 26-32 More about this Journal
Keywor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승철(2011), 특별섹션: 중소기업 생산성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젝트 관리방식의 도입: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프로젝트관리 성숙도 비교, 한국중소기업학회, 제33권, 제21호, pp. 5-21.
2 박주환(2011), PMIS도입을 통한 PM의 성숙도향상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산업통상자원부 기술표준원(2013), KS A ISO 21500:2013 "프로젝트관리 지침".
4 안태준(2012), 프로젝트 리더십 역량이 프로젝트 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이성몽(2011), PMO서비스와 PMO역량이 프로젝트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ISO (2012), ISO 21500: 2012: Guidance on project management, Geneva, Switzeland.
7 Kerzner, H.(1989), "Project Management A Systems Approach to Planning, Scheduling and Controlling", Van Nostrand Reinhold.
8 OPM3(2008), "Organization Project Management Maturity Model(OPM3), 2nd ed.,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Newtown Square, PA.
9 P3M3(2006), Portfolio, Programme and Project Management Maturity Model(P3M3), version 2.1, Office of Government Commerce, United Kingdom.
10 PMI(2018), A Guide to the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PMBOK(R)Guide) 6th Edition.
11 PRINCE2(2009), Managing Successful Projects with PRINCE2, Office of Government Commerce, London, 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