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 고정술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6초

발치와 치조제 보존술 시행 후 식립한 임플란트의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radiographic and clinical analysis of implant survival placed after alveolar ridge preservation)

  • 이성조;장현;신현;박정철;송영균;조인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3호
    • /
    • pp.167-174
    • /
    • 2018
  • 목적: 발치와에 치조제 보존술을 시행한 부위에 식립한 임플란트의 일정 기간의 생존율을 초기고정 값과 방사선학적 계측을 통해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19명의 환자에 sandblasted, large-grit, acid-etched (SLA) 표면을 갖는 단일 제품의 21개의 임플란트를 조사하였다. 임플란트는 치조제 보존술(Alveolar ridge preservation technique: ARP) 시행 후 2 - 3개월의 치유 기간 후 식립 되었으며, 식립 시 및 보철 시행 전 Periotest value (PTV)와 식립 시 및 최종 점검시의 방사선 사진을 통한 Marginal bone level (MBL)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100%로 나타났고 식립 시의 PTV는 평균 $-0.06{\pm}8.33$이었으며 보철 시행 전 PTV는 평균 $-5.75{\pm}1.72$이었다. 근 원심 평균 MBL의 변화는 -0.55 mm에서 1.6 mm의 범위로 평균 $0.19{\pm}0.58mm$를 나타내었다. 결론: 발치와 보존술을 시행한 부위에 식립한 임플란트는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며 안정적인 변연골 유지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치료 실패 후 견관절 치환술 (Shoulder Replacement Arthroplasty after Failed Proximal Humerus Fracture)

  • 박진영;서범호;이승준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10-119
    • /
    • 2019
  • 상완골 근위부 골절은 상완골의 외과적 경부 또는 근위부에 발생하는 골절로 정의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합병증 및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어 그 치료가 매우 까다롭고 견관절 치환술 등의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많다. 상완골 근위부 골절 후 후유증은 Boileau가 제시한 분류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2개의 카테고리 및 4가지의 타입으로 분류할 수가 있다. 카테고리 I은 관절 내 감입 골절로 결절들과 상완골 두 사이에 저명한 해부학적 변형이 동반되지 않아 결절 절골술을 시행하지 않고도 해부학적 치환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로서 결절의 불유합이 거의 없이 두경부의 붕괴(cephalic collapse)나 괴사가 있는 타입 1과 잠김 탈구(locked dislocation) 또는 골절-탈구와 관련이 있는 타입 2로 나눌 수 있다. 카테고리 II는 관절 외 골절이며 결절들과 상완골 두 사이에 육안적인 변형이 있는 경우로서 해부학적 치환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결절 절골술을 시행해야 하며, 외과적 경부의 불유합이 동반된 타입 3와 심각한 결절의 부정유합이 동반된 타입 4로 분류할 수 있다. 각 타입별 치료를 위해서 타입 1의 경우에는 결절 절골술을 시행하지 않고 비구속형 치환술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지만, 타입 1C, 1D와 같이 외반이나 내반 변형이 동반되거나 회전근 개의 지방 변성이 심할 경우에는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 또한 고려해야 한다. 타입 2는 일반적으로 비구속형 치환술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관절와 골 결손이 없으며 회전근 개의 결손이 동반된 경우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 또한 하나의 치료 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다. 타입 3는 견관절 치환술보다는 골쐐기 이식 등을 함께 시행하여 내고정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이며, 최근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의 결과에 대한 보고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마지막으로 타입 4는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의 피질골 지주 중첩 동종골 이식술 유무에 따른 결과 비교 (Periprosthetic Fracture around Tumor Prosthesis, Comparison of Results with or without Cortical Strut Onlay Allograft)

  • 김용성;조완형;송원석;이규평;전대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42-50
    • /
    • 2021
  • 목적: 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은 안정된 고정의 어려움과 골유합 후에도 골질 약화로 해리 및 재골절 위험이 많다. 피질골 지주 중첩 동종골 이식술을 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에 적용하면 내고정도 쉽고, 골유합 기간도 단축되며, 합병증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는 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 27예(30 골절)의 골절의 양상과 치료 후 재건 술식에 따른 생존율 및 합병증, 중첩 동종골 이식술 추가 여부에 따라 골유합 기간 및 기능적 결과가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절 치료 시 판형 동종골 이식을 한 군 16예와 시행하지 않은 군 14예를 비교하였다. 분석항목은 종양인공관절 치환술부터 골절까지 기간, 골절의 양상, 골유합 기간 차이, 합병증, 및 기능적 결과를 기술하였다. 결과: 골절 양상은 unified classification system (UCS) B형이 21예(70.0%, 21/30)로 가장 많았으며 그 중 B1이 14예(46.7%, 14/30), B2가 1예(3.4%, 1/30), B3가 6예(20.0%, 6/30)였고 C형이 9예(30.0%, 9/30)였다. Kaplan-Meier 법에 의한 30 재건 부위의 5년, 10년 생존율은 각각 84.5%±4.18%, 42.2%±7.83%였다. 전체 30예의 골유합 기간은 평균 5.1개월(범위, 2.0-11.2개월)이었다. 동종골 이식군은 평균 3.5개월(범위, 2.0-6.26개월)로 고식적 고정군의 평균 7.2개월(범위, 4.0-11.2개월)보다 짧았다(p<0.0001). 최종 기능평가상 동종골 이식군은 평균 26.1점으로 고식적 고정군의 평균 20.9점보다 높았다(p<0.0001). 합병증은 4예로 모두 동종골을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 있었다. 결론: 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은 드물고 골유합도 비교적 잘 이루어지나 유합 후 합병증 최소화가 중요하다. 판형 중첩 동종골 이식술은 골유합 기간을 단축, 골질 증가, 해리위험성 감소 효과가 있으며 종양인공관절 주위 골절에 유용한 방법이다.

깨물근을 통한 하악골 관절돌기하부골절의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 (Transmasseteric Approach for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Mandible Subcondylar Fracture)

  • 김학수;김성언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61-168
    • /
    • 2010
  • Purpose: Surgical approaches to the condylar neck and subcondyle area can cause some morbidity such as, facial nerve injury, time-consuming nature and external scar etc. So many surgeons hesitate using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or the treatment of subcondylar fractures. We repor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subcondylar fractures in 13 adult patients via transmasseteric approach. Methods: From 2007 to 2009, 13 adults with subcondylar fracture of mandible were treated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via transmasseteric approach. A preauricular incision was extended downwards in a curvilinear fashion in the cervicomastoid skin crease. Skin flap was elevated above the SMAS layer. Masseter muscle was splitted at the anteroinferior edge of the parotid gland. After the fracture was reduced, fixed with appropriate plates and screws. All operation were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Results: Mean follow-up period was 13.3 months. There were no signs and symptoms of facial nerve injury, difficulty in mouth opening, or malocclusion. Dissection time was roughly within 30 minutes. Conclusion: Transmasseteric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mandible subcondylar fracture can be performed with excellent visualization, and inconspicuous scar. It also offers swift access to the subcondylar area while substatially reducing the risk to the facial nerve and eliminating th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ransparotid approaches.

하악 시상골 절단술 후 고정 방법에 따른 회귀 성향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Skeletal Relapse According to the Fixation Method after BSSRO for Mandibular Setback.)

  • 배진오;이동근;오승환;신기영;장관식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2호
    • /
    • pp.184-190
    • /
    • 2000
  • Objective : To compare two different methods of rigid fixation in postoperative stability after mandibular setback. Material and Methods : 28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were treated by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BSSRO) and mandibular setback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Group A(n=14) had the bone segments fixed with monocortical miniplate on the lateral side of the mandibular body and Group B(n=14) had three noncompressive bicortical screw inserted at the genial area through a transcutaneous approach. Cephalograms were taken preoperatively, postoperatively within 1 weeks and at a follow-up period (mean 8.9 months after surgery) and the amount of setback and postoperative change were measured. Results : Postoperative relapse between two groups was minimal in setback of the mandibl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operative relapse.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both methods of skeletal fixation investigated give comparable postoperative stability and their use in mandibular setback appears to be a fairly stable clinical procedure .

  • PDF

제 12 흉추체에 발생한 일차적 연골 육종 (증례 보고) (Chondrosarcoma of Thoracic Spine - A case report -)

  • 이승구;김기원;김정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1-136
    • /
    • 1997
  • 가톨릭 의과대학 정형외과에서는 32세 여자 환자의 제 12 흉추체에 발생한 발생 빈도가 드문, 일차성 연골 육종을 전방 도달법으로 추체 절제후 금속판 내고정과 함께 늑골 및 자가 해면골 이식술을 병행하여 치료후 42개월을 추적 관찰한 결과 국소재발 소견없이 정상생활 중이어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새로운 고온백금저항온도계의 설계 및 제작 (Fabrication of a Novel High Temperature Platinum Resistance Thermometer)

  • 감기술;박종철;장충근
    • 센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4-32
    • /
    • 2001
  • 합성사파이어 단결정을 센서틀, 절연디스크 및 보호관으로 사용한 새로운 형태의 고온백금저항온도계를 설계, 제작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작된 온도계를 고정점에서 시험한 결과 국제온도눈금 (ITS-90)에서 규정한 내삽계기용 고온백금저항온도계의 조건을 만족하였으며, $500^{\circ}{\sim}1500^{\circ}C$영역에서 2차식의 온도-저항특성을 보였다. 구리응고점에서의 재현성 측정결과 ${\pm}19.2\;mK$이었다. 온도계의 절연저항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시험최고온도인 $1500^{\circ}C$에서는 $63\;k{\Omega}({\sim}31.5\;mK)$을 보였다.

  • PDF

견관절 오구돌기 골절의 고정 후 발생한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 - 증례 보고 - (Subcoracoid impingement After the Fixation of the Fractured Coracoid Process -A Case Report-)

  • 구정회;조형래;조수현;황태혁;박만준;최재혁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2-195
    • /
    • 2010
  • 상완골두의 전상방부와 전방 오구견봉 궁 사이의 비정상적인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은 견관절 전방부 동통을 유발하는 비교적 드문 질환이다. 이는 견관절부의 수술적 치료로 인해 오구돌기와 소결절 사이의 해부학적 관계가 변형되어 견갑하근과 점액낭을 포함한 주변 연부조직의 충돌을 유발 하게 된다. 저자들은 오구돌기 골절을 유관나사를 이용해 고정한 환자에서 오구돌기하 공간의 협소화로 인해 견갑하건 파열을 동반하는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을 경험하였다. 관절경하에서 유관나사 제거 및 견갑하건 봉합 시행 후 술전 환자의 증상은 소실되었다. 오구돌기하 충돌증후군은 견관절 수술 후 지속적 견관절 동통을 유발하는 원인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 PDF

경추부의 후관절 나사못 고정술에서 단피질삽입법과 양피질 삽입법 간의 특성에 관한 비교 (Comparisons of Unicortical and Bicortical Lateral Mass Screws in the Cervical Spine : Safety vs Strength)

  • 박춘근;황장회;지철;이재언;성재훈;최승진;이상원;;박성찬;조경석;박춘근;강준기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0호
    • /
    • pp.1210-1219
    • /
    • 2001
  • 서 론 : 후방 경유 경추 융합을 위한 후관절 금속판 고정술은 외상성 및 퇴행성 불안정성의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후관절 금속판 고정의 안정성은 여러 가지 인자에 의해 결정된다. 이중 하나가 나사못의 삽입깊이이다. 이 방법이 처음 소개될 때에는 양피질골성 삽입이 이용되었다. 외과의사의 관심은 어떻게 안전하면서 생역학적으로 강력한 고정을 얻느냐에 있다. 목 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사체에서 단피질성과 양피질성 나사못 삽입술을 시행한 후 안전성, pull-out 강도, 방사선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나사못의 삽입에 대한 교육 훈련의 수준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다. 방 법 : 평균 나이 78.9세인 21구의 사체에 대하여, Magerl의 기술을 변형하여 C3-C6(n=168)까지 3.5mm AO 나사못을 양쪽 후관절에 삽입하였다. 수술중 방사선 사진영상은 사용되지 않았다. 오른 쪽(단피질성 삽입)은 14mm 나사못(11mm의 유효 길이)을 이용하고, 왼쪽은 양피질성 삽입을 시도하였다. 각 사체는 3개의 군으로 나누어 척추 수술 수련의 수준이 다른 받은 3명의 척추 외과 의사들(전임 강사, 임상 강사, 수석 레지던트)이 수술을 시행했다. 수술 후 경추를 떼어내어 나사못의 위치를 육안적으로 확인하고 방사선학적으로 안정성과 삽입 위치 (1,2,3)를 평가하였다. 척수, 후관절, 신경근과 척추 동맥에 대한 나사못의 위치를"만족할 만한","위험한", 그리고"직접적인 손상"으로 구분하였다. materi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모든 나사못에 대해서 Pull-out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 대다수의 나사못(92.9%)은 만족할 만한 상태였다. 전예에서 척수에 대한 위험성은 없다. 오른 편(단피질성 : 14mm) 나사못의 98.9%는"만족할 만한"에 속했다. 그리고 왼쪽 편(양피질성)의 68.1%는"만족할 만한"에 속했다. 양피질성 나사못 군에서 5.8%의 척추 동맥에 대한 직접적인 손상이 있었고 신경근의 직접적인 손상 발생율은 17.4%였다. 반면에 단피질성 나사못 군에서는 이들에 대한 직접적인 손상은 없었다. 양피질성 나사못에서 보인"직접 손상"의 거의 대부분은 외과 의사의 경험 부족으로 발생하였다. 나사못의 안정성과 삽입 위치 사이에는 특별한 관련이 없었다. 모든 나사못의 pull-out 강도는 $542.0{\pm}296.6N$였다. 단피질성에 있어서의 pull-out 강도($519.0{\pm}289.9N$)와 양피질성($565.2{\pm}306N$) 나사못에는 아무런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p>0.05). 나사못 삽입위치와 pull-out 강도 사이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이번 연구는 경추 후관절 나사못 고정술시 단피질성과 양피질성 나사못의 안정성과 효능을 집중적으로 알아보았다. 명백한 것은 14mm의 나사못(효과적인 길이는 11mm)이 보다 긴 양피질성 나사못 보다 손상의 위험이 훨씬 낮고 거의 동등한 pull-out강도를 갖는다는 것이다. 또한, 수술시 방사선 영상을 사용할 수 없을 때, 훈련과 축적된 경험에 의해 나사못 삽입의 정확성과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 PDF

개에서 발생한 외상성 견관절 내측 탈구와 견갑골 골절의 외과적 교정 1 례 (Surgical Stabilization of Traumatic Medial Luxation of Scapulohumeral Joint and Scapular Fracture in a Dog)

  • 장하영;이보라;남궁효선;윤헌영;한현정;김준영;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6-278
    • /
    • 2009
  • 1년 4개월령의 수컷 푸들견이 외상으로 인한 우측 전지의 통증과 들림 파행증으로 내원하였다. 정형 검사와 방사선 검사상에서 내측 견관절 탈구와 견갑골 골절이 확인되었다. 이두근의 힘줄을 작은 결절로 전위시켜 상완골에 고정시켰다. 이 교정은 잠재적인 관절의 퇴행성 변화의 원인이 될 수 있으나 본 환축에서는 3 년 이상의 관찰기간 동안 좋은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