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해

Search Result 532,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한국 근해안강망에 어획된 수산자원생물의 군집구조

  • 황선도;김종식;최용규;양원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94-295
    • /
    • 2000
  • 근해 안강망 어업은 강한 조류를 이용하는 어법으로서 조차가 큰 황해∼동중국해에서 주로 조업이 이루어진다. 특히, 갈치, 조기류, 병어류, 아귀류, 새우류, 두족류 등의 중ㆍ저층에 서식하는 유영생물을 대상으로, 이들 어종을 찾아 이동하며 조업을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근해 안강망 어업은 90톤급 어선이 인천, 군산, 목포, 여수 등지에서 총 650여 척이 허가되어 있는데 이중 80% 정도가 실제 조업을 하고 있다. 이중 군산에 근거를 두고 있는 근해 안강망어업은 90척 내외로 황해∼동중국해를 어장으로 이용하고 있다.(안강망 수협, 미발표자료). (중략)

  • PDF

A Study on the Emergence of Private Shipping Enterprise is Far East Russia and their Impact on Korean Shortsea Shipping (극동지역 러시아 해운사기업의 출현과 한국근해해운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이대우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 /
    • v.16 no.3
    • /
    • pp.43-53
    • /
    • 1992
  • 1992년 전반기에 우리나라에 근해해운기업 3개사가 도산하였으며, 많은 그해해운기업이 심한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한 도산이유를 대별하면 기업 내적요인과 기업 외적요인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업외적 요인의 하나로서 근해지역에 있어서의 선박의 과잉공급과 운임의 덤핑을 상정하고서 최근 소련의 연방해체 이후 극동지역에서 생성되기 시작한 러시아의 해운사기업의 생성배경 및 경영형태를 분석하고, 그러한 러시아의 해운사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선박이 우리나라의 근해해운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뒤 이에 대처하기 위한 우리나라 해운정책의 기본방향을 제시한다. 이 논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현장조사, 그리고 면접법이다. 본 연구는 러시아 해운사기업의 생성근원이 되는 국영해운기업, 실제로 극동지역에서 경영되고 있는 러시아의 해운 기업 및 러시아 연방정부의 교통부산하 해운국을 방문하여 각 조직의 최고 책임자 및 주요 인사를 대상으로 면접과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일본 및 러시아의 해운연구기관의 주요인사와 우리 나라의 해운기업의 최고경영자들도 본 연구의 면접대상에 포함되었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로서는 첫째, 러시아의 해운사기업은 소련연방산하에 이었던 국영해운기업에서 제공된 매운 낮은 용선료의 선박과 우리나라의 근해선사 또는 대리점과의 노우 하우(know-how) 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었으며 둘째, 그러한 매커니즘에 의해서 우리나라 근해지역에 영업활동중인 러시아 선박은 재화중량톤수 약 4천 내지 5천톤에 해당하는 하천.해상형태(river sea type)의 살물선으로서 총 40여척에 달하고 있으며, 셋째, 그러한선박의 용선료는 1992년 3월에 현재 우리나라 근해해운시장에서 형성된 용선료 수준의 50% - 60%에 해당하며, 넷째, 우리나라의 근해화물을 원활하게 확보.수송하기 위하여 일부의 선박은 편의치적국의 선적을 이용하여 운항되기도 한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책적 제언은 경영기술, 자본력, 선박의 질적수준 및 경쟁의 측면에서 일본보다도 취약한 상태에 있는 우리나라의 근해해운을 성장.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정부는 먼저 연안해운에 적용시키고 잇는 면허제도를 점진적으로 개방화시켜 우리나라의 연안해운의 자본력을 증강시키고 경쟁원리에 의한 경쟁력을 제고시켜야 하며, 제 2선적제도의 발달과 해운경영의 국제성에 맞추어 근해해역에서 활동하는 우리나라의 선박에대해서 부분적으로 선박의 국적을 점차 개방시켜 나가는 정책을 검토해야 할 단계라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지난 30여년간 외항해운부문에 중점을 두어온 우리나라의 해운정책은 이제 근해해운정책의 개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전환점에 있다고 할 수있다.

  • PDF

한국 근해 참조기 어장 특성과 어황 예측

  • 백철인;박종화;조규대;황강석;최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77-278
    • /
    • 2000
  • 한국 근해에 분포하는 참조기는 조기류 중에서 산업적으로 가장 가치가 있는 어업자원으로서 동중국해와 황해에서 주로 근해안강망, 기선저인망, 유자망어업 등에 의해 어획되고 있다. 1970년 황해 중앙부의 연평도를 중심으로 한 참조기의 어장은 점차 남하하여 최근에는 동중국해로 이동하였으며 자원의 감소도 심각한 상태에 있다. (중략)

  • PDF

근해안강망어업의 주간어황예측

  • 김진영;황진수;홍승현;연인자;임양재;황학진;김지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44-345
    • /
    • 2000
  • 근해안강망어업에서 주로 어획되는 수산자원은 참조기, 갈치, 아귀등의 저서성어류로서, 겨울에는 월동장인 우리나라 서해남부 및 동중국해 북부해역으로 남하회유하고 봄이 되면 황해 및 중국 연안의 산란장으로 북상이동하는 계절회유를 한다. 따라서 근해안강망어업의 주간어황은 황해 및 동중국해에 서식하는 대상어업자원의 자원량변동의 영향을 받으며, 해황의 변동에 따른 회유경로의 경년변동 및 계절회유에 의한 주 서식처의 변동, 조석의 변동, 어장의 일기등의 영향을 받는다. (중략)

  • PDF

Minimizing Machine-to-Machine Data losses on the Offshore Moored Buoy with Software Approach (소프트웨어방식을 이용한 근해 정박 부이의 기계간의 데이터손실의 최소화)

  • Young, Tan She;Park, Soo-H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8 no.7
    • /
    • pp.1003-1010
    • /
    • 2013
  • In this paper, TCP/IP based Machine-to-Machine (M2M) communication uses CDMA/GSM network for data communication. This communication method is widely used by offshore moored buoy for data transmission back to the system server. Due to weather and signal coverage, the TCP/IP M2M communication often experiences transmission failure and causing data losses in the server. Data losses are undesired especially for meteorological and oceanographic analysis. This paper discusses a software approach to minimize M2M data losses by handling transmission failure and re-attempt which meant to transmit the data for recovery. This implementation was tested for its performance on a meteorological buoy placed offshore.

Derivation of an Asymptotic solution for a Perfect Conducting Wedge by Using the Dual Integral Equation, Part II : H-Polarized Plane Wave Incidence (쌍적분 방정식을 이용한 완전도체쐐기의 점근해 유도, II : H-분극된 평면파 입사시)

  • Ha, Huen-Tae;Ra, Jung-Wo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D
    • /
    • v.36D no.1
    • /
    • pp.22-28
    • /
    • 1999
  • An exact asymptotic solution for a perfect conducting wedge with H-polarized plane wave incidence is analytically derived by substituting the exact boundary fields of the perfeet conducting wedge, the well known series solution, into the dual integral exquation in the spectral domain. The validity of the derivation is assured by showing that the analytic integration gives the null fields in the complementary region. The merits taking the dual integral equation for derivation of an asymptotic solution for a perfect conduction wedge is discussed.

  • PDF

해양중층부이(ARGO)를 활용한 북동아시아 근해의 혼합층 깊이의 시공간 변동성 분석

  • Lee, Eun-Yeong;Park, Gyeong-Ae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37-137
    • /
    • 2010
  • 해양 혼합층은 해양-대기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기후 변화 뿐만 아니라, 식물성 플랑크톤 분포와 같은 생물학적 측면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단기 기후변동에 많은 영향을 주는 북동아시아 근해 내에서의 혼합층 깊이의 시공간 변동을 분석하였다. 기존에 해양 관측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점을 극복하기 위해 2000년부터 전구 해양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기 시작한 해양중층부이(ARGO) 자료를 활용하였다. 지금까지 제시되어 온 다양한 해양 혼합층 결정 기준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Levitus et al.(1997)의 기준을 적용하여 북동아시아 근해의 혼합층 깊이를 산출하였으며, 그 변화를 위도, 경도, 해안으로부터의 거리, 계절 등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계절적 변화에서 겨울철 해양 혼합층 변화의 역전이 나타나는 지역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추후 해양 혼합층 깊이 결정 방법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Ocean Surface Winds Over the Seas Around Korea Measured by the NSCAT(NASA Scatterometer) (NSCAT (NASA Scatterometer)에 의한 한국근해의 해상풍)

  • 이동규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4 no.1
    • /
    • pp.37-52
    • /
    • 1998
  • The NSCAT(NASA Scatterometer) carried by the japanese Advanced Earth Observing Satellite(ADEOS) was the first high resolution(25 km) device for the direct wind measurement over the ocean. Even it was ceased to operate in lune of 1977 because of the power failure, it gave the first opportunity to the marine meteorologists to study the direct measured ocean wind during its 9 months of operation, especially around Korea. This study is to show monthly mean ocean wind and wind stress curl fields around Korea from January, 1997 to June, 1997. Mean ocean winds in January are predominantly northwesterly and the strongest wind(12 m/s) is found near Vladivostok. The winds in the western East Sea are strongly inf1uenced by the mountain range in Korea and these topographically influenced winds make about five times larger wind stress curl fields than previous estimates based on the weather maps. The calculation of Sverdrup transport in the East Sea shows the possibility of the directional change of the East Korean Cold Current from southward to northward direction caused by the winter wind. The downwelling area near North Korea has maximum estimated speed of 45 m in january and this wind induced downwelling makes good condition for the formation of Intermediate East Sea Water together with vigorous mixing by the strong wind.

1997년 하계 울산 근해의 조석과 조류

  • 김대현;이재철;김정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34-135
    • /
    • 2003
  • 한국 남동 해역은 대한해협을 통과한 대마난류가 연중 연안을 따라 북상하며 계절적인 변동과 함께 하계의 용승 현상 등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 지역에 대한 장기간의 해류 관측이 이루어진 일이 거의 없으며, 최근에 Jacobs et al. (2001)의 장기 관측에서도 유일하게 실패한 곳이 울산근해였다. 본 연구에서는 1997년 하계에 해류와 조석을 장기간 관측하여 조류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Cyclopid Copepods of Genus Oithona in Korean Waters (한국 근해에 분포하는 Oithona속의 요각류)

  • 유광일;임동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9 no.2
    • /
    • pp.91-102
    • /
    • 1993
  • The genus Oithona was investigated taxonomically in samples collected from 10 regions of the Korean waters. In result, 18 species of the genus Oithona were identified, and a key table on 18 species was given. Of these following nine species were new records for Korean waters: Oithona atlantica, 0 . attenuata, 0 . davisae, 0. hamata, 0. longispina, 0 . oculata, 0 . simplex, 0. tenuis, 0. vivid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