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지구력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9초

기구를 이용한 골반 압박이 20대의 요통 경험자와 비경험자의 체간 근지구력과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Pelvic Compression Using Instruments on Trunk Muscle Endurance and Balance Ability in Subjects in Their Twenties With or Without Low Back Pain)

  • 정서영;김선엽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6-164
    • /
    • 2022
  • Background: Low back pain (LBP) is a representative disease, and LBP is characterized by muscle dysfunction that provides stability to the lumbar spine. This causes physical functional problems such as decreased posture control ability by reducing the muscular endurance and balance of the lumbar spine. Pelvic compression using instruments, which has been used during recent stabilization exercises, focuses on the 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of the pelvis and puts pressure on the sacroiliac joint during exercise, making the pelvis more symmetrical and stable. Currently,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on the use of pelvic compression belts and non-elastic pelvic belts; however, few studies have conducted research on the application effect of pelvic compression using instruments. Objec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runk muscular endurance and dynamic and static balance ability levels by applying pelvic stabilization through a pelvic compression device between the LBP group and the non-LBP group. Methods: Thirty-nine subjects currently enrolled in Daejeon University were divided into 20 subjects with LBP group and 19 subjects without LBP (NLBP group), and the groups were compared with and without pelvic compression. The trunk muscular endurance test was performed with 4 movements, the dynamic balance test was performed using a Y-balance test, and the static balance test was performed using a Wii balance board.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LBP group and the NLBP group after pelvic compression was applied to all tests (p < 0.05). In the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y test after pelvic compression was appli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BP group than in the NLBP group (p < 0.05).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pelvic compression using instrum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those with and without LBP and that it has a greater impact on balance ability when applied to those with LBP.

지구력 트레이닝 및 Rosiglitazone 병행 처치가 당뇨병이 유발된 쥐의 골격근에서 PPARs, PGC-1α, GLUT-4 및 p-AMPK-α2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durance Training Combined with Rosiglitazone on The Expression of PPARs, PGC-1α, GLUT-4 and p-AMPK-α2 in The Skeletal Muscle of Diabetic Induced-Rats)

  • 하태균;김재철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1-140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PPAR-α, -β/δ, -γ, PGC-1α, GLUT-4 and p-AMPK-α2 protein in the skeletal muscle of diabetic induced-rats by endurance training combined with rosiglitazone. The expression of PPAR-α, -β/δ, -γ, PGC-1α, GLUT-4 and p-AMPK-α2 protein in red and white gastrocnemius by western blotting. The body weight was higher in diabetic induced-rats compared to the normal rats and after the treatment of exercise combined with rosiglitazon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all group. The levels of blood glucose was higher in diabetic induced-rats compared to the normal rats and after the treatment of exercise combined with rosiglitazon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all group. The expression of PPAR-α, -γ, PGC-1α in skeletal muscle of diabetic induced-rats were increased all groups and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with exercise combined with rosiglitazone. The expression of GLUT-4 and p-AMPK-α2 protein in the skeletal muscle of diabetic induced-rats were increased all groups and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with exercise combined with rosiglitazoneI.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ercise training and rosiglitazone may act as complementary therapies for the treatment of insulin rasistance.

여대생의 건강체력과 비만에 대한 물과 커피 섭취량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water and coffee intake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obesity of women's university student)

  • 이루리;고유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49-658
    • /
    • 2020
  • 본 연구는 여대생 900명을 대상으로 물 섭취량과 커피 섭취량에 따른 건강체력 및 비만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측정은 건강체력요인 체력에 근력(악력, 배근력),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유연성(앉아앞으로굽히기) 심폐지구력(하버드스텝)을 측정하였고, 체성분 측정기기 Inbody를 이용하여 신체조성(세포내액, 세포외액, 단백질, 무기질, 체수분량, 근육량, 제지방량, 체지방량)과 비만(BMI,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비만도)의 각 항목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를 이용하여 이원변량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건강체력과 비만에 대한 물과 커피 섭취량 집단 간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각 독립변인 별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강체력요인 중 체력요인은 물과 커피 섭취량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신체조성(세포내액, 단백질, 무기질, 체수분량, 근육량, 제지방량)에서 물7잔 이상 섭취 집단이 1~4잔 섭취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커피는 3~4잔 섭취 집단이 미섭취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비만요인의 경우 물 섭취량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커피의 경우 비만도에서 3~4잔 섭취 집단이 미섭취 집단에 비하여 비만도가 높게 나타나, 커피는 물과 달리 비만과 관련이 있음을 알았다. 차후 물과 커피와 같은 다양한 음료 섭취에 대한 성별, 연령대별 차이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진다면 보다 나은 건강을 위한 개인별 특성에 따른 수분 섭취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비만 아동의 골격성숙도에 따른 체격, 체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Skeletal Maturation of Obese Children)

  • 김대훈;윤형기;오세이;이영준;김범준;최영민;송대식;안주호;서동녘;김주원;나규민;오경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594-603
    • /
    • 2020
  • 본 연구는 비만아동의 골격성숙도가 정상 아동들 보다 높고 성조숙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은 것을 문제점으로 삼아 비만아동의 골격성숙도에 따른 체격 및 체력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비만아동의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10세부터 13세의 비만아동 총 243명을 대상으로 생물학적 성숙지표를 나타내는 골격성숙도는 X-ray 촬영 후 TW3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골격성숙도에 따른 미숙집단(n=70), 보통집단(n=128), 조숙집단(n=45)으로 나누었다. 체격은 신장계, InBody 270(Biospace, Korea)을 이용하여 3개 항목을 측정하였다. 체력측정은 총 7개 항목으로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심폐지구력, 평형성, 민첩성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은 Duncan's multiple range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P< .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격성숙도에 따른 신장과 체중의 체격 요인에서 남자와 여자 미숙집단, 보통집단, 조숙집단 간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골격성숙도에 따른 체력 비교에서 남자의 경우 근력, 순발력, 민첩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자의 경우 근력, 평형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골성숙도에 따른 체력 군집화 : 군집분석 중심으로 (A Clustering of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the Skeletal Matur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ed on Cluster Analysis)

  • 김대훈;윤형기;오세이;이영준;조석연;송대식;서동녘;김주원;나규민;김민준;오경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3-73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골연령에 따라 군집화 시켜 각 군집 그룹의 체격, 체력 및 골성숙도를 분석하고 자료 분석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균형적인 발달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8세~13세에 해당하는 22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골성숙도 산출을 위해 X-ray필름을 촬영한 후 TW3 방법 점수 환산표에 적용시켜 골성숙도를 산출했다. 신장계(Hanebio, Korea, 2021)와 Inbody 270(Biospace, Korea, 2019)를 사용하여 총 2개의 체격 요소를 측정하였으며, 체력은 근력(악력), 평형성(외발서기), 민첩성(플랫테핑), 순발력(제자리멀리뛰기), 유연성(좌전굴),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 심폐지구력(셔틀런)으로 총 7개 체력 요소의 종목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SPSS PC/Program(Version 26.0)과 Britics Studio Tool을 이용하여 K-Means 클러스터링 기법,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p< .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숙, 보통, 조숙의 3가지 골성숙도를 사용하여 군집화한 결과, 군집 1(미숙)은 근력, 평형성, 민첩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군집 2(보통)는 유연성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군집 3(조숙)은 근력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개인특성별 군집화에 따른 체격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신장, 체중, 체지방률 모두 군집 3(조숙)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개인특성별 군집화에 따른 체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악력검사(좌, 우)는 군집 3(조숙)이 높게 나타났고 외발서기의 경우 군집 1(미숙)이 높게 나타났으며, 제자리멀리뛰기의 경우 군집 3(조숙)이 높게 나타났다.

흰쥐 골격근의 노화성 위축에 대한 운동훈련의 영향 III.노화 흰쥐에 적용한 단기간의 운동훈련의 영향 (Effect of Exercise Training on Aging Atrophyin Rat Skeletal Muscle III. Effect of Short Term Exercise Training for Senile Rat)

  • 박승한;박원학;정형재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1-108
    • /
    • 1996
  • 본 실험은 골격의 위축이 일어난 노화 횐 쥐를 사용하여 단기간동안 트레드밀 훈련과 웨이트 트레이닝을 시켰을 때 골격근에 나타나는 변화들을 고찰하고자 고안되었다. 출생 후 24개월 된 수컷 횐 쥐를 사용하여 대조군과 트레드밀 훈련군, 웨이트 트레이닝군으로 구분하여 각 군별로 4주간 훈련시켜 각 군의 골격근은 조직 및 조직화학, 미세구조 및 세포 화학적 연구 및 입체해석학적 연구에 적용하였다. 각 훈련 기간동안 개체의 체중과 근육의 무게는 큰 변화가 없었고, 근섬유의 분포양상은 트레드밀 훈련군에서는 IIB형과 IIC형이 증가를 한 반면 IIA형은 감소를 하였고 I형의 근섬유 조성은 변화가 없었다 웨이트 트레이닝 후에는 IIA와 IIB형이 증가를 한 반면 IIC형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모든 근섬유 조성의 변화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노화 대조군의 조직구조 및 미세구조의 특징은 노화색소의 출현, 약한 수축대의 출현, 근섬유들의 분할현상 등이 관찰되었다 트레드밀 훈련 후에는 손가락형의 돌출부를 포함한 근초의 불규칙성이 나타났으며, 밝은 띠의 확장으로 인한 Z-선의 불규칙한 배열, 공포화, 장축과 평행한 근섬유의 분할현상이 나타났으며, 웨이트 트레이닝 후에는 많은 용해소체들과 함께 포식소자를 함유한 자가용해소체들이 나타났으며 심한 수축대가 나타났고 근원섬유들의 배열이 와해되는 현상도 나타났다. 조직화학 및 세포화학적인 측면에서 succinic dehydrogenase와 acid phosphatase는 활성도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Mg^{++}$-­ATPase의 활성은 훈련 후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미세구조의 입체해석학적 분석에서는 측량한 구조물들의 체적밀도와 수밀도는 변화가 거의 없었고 사립체 내막의 표면밀도만 트레드밀 훈련군에서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단기간의 지구력 훈련을 실시할 경우는 노화 골격근은 잘 적응하여 골격근의 위축 방지에 효율적이었으나 웨이트 트레이닝은 노화 골격근의 위축방지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 PDF

건강체조 프로그램이 낙상경험 여성노인의 보행능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ealth Exercise Program on Walking ability, Depression and WHOQOL-BREF in the Fall experienced Women Elderly)

  • 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726-3732
    • /
    • 2010
  • 본 연구는 낙상을 경험한 여성 노인에게 적합하도록 구성된 건강체조 프로그램을 12주간 적용하여 노인들의 보행능력, 우울 및 삶의 질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7년 4월에서 6월 동안 낙상 경험이 있는 여성노인 70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대상자에게 적용한 12주간 건강체조 프로그램은 보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및 백분율, paired t-test 등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주간 건강체조 프로그램을 적용한 대상자의 보행능력을 측정하는 지표 중 '의자에서 일어나 앉기(t=2.291, p=.025)', '오른발 한발서기(t=2.236, p=.029)', '전후 보폭(t=4.015, p=.000)'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둘째, 노인의 우울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t=1.044, p=.300)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t=3.528, p=.001)를 보였다. 삶의 질 하부영역에서는 전반적인 삶의 질(t=2.93, p=.005), 신체적(t=3.039, p=.003), 심리적(t=2.481, p=.016), 사회적(t=2.531, p=.014), 환경영역 (t=4.259, p=.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근지구력 및 균형 감각을 향상시키는데 중재법으로 12주간 건강체조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시설노인의 골다공증 관련요인 연구 (A Study of Related Factors in th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 김희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1-44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femoral neck and lumbar bone mineral density with their and related factors. It were measured and deter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bone mineral density, bone mineral content in the lumbar and femoral neck, muscle strength (arm, back, leg), muscle endurance,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IADL), quality of life, cognitive perceptual variables(self efficacy, perceived health status), age, age at menopausal period. The twenty fiv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consisted of twelve males and thirteen females at a C-institution in Chung Buk province.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73.64 year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1993 to September, 1993. The data was analyzed with $x^2-test$, t-test,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using a SPSS pc+ program. 1. The mean femoral neck bone mineral density was $0.636g/cm^2$, 66.7% of young bone mineral density, the mean lumbar($L_2-L_4$) bone mineral density was $0.807g/cm^2$, 79.86% of young bone mineral density. The mean fermoral neck bone mineral content was 2.906g and the mean lumbar bone mineral content was 36.898g. 2. The mean muscle strength was 17.14kg(grip strength), 32.05kg(back lift strength), 17.14kg (leg lift strength) and the mean muscle endurance was 9.92times. 3. Men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p<0.01) in muscle strength and muscle endurance than women, as well as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self 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p<0.05). 4. The femur neck bone mineral densit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p<0.0l) with leg lift strength, back lift strength, and their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s (p<0.05) with arm strength and muscle endurance. Lumbar ($L_2-L_2$) bone mineral densit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p<0.05) with muscle endurance, grip strength and IADL. 5. Wi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for lumbar bone mineral density were IADL,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for femoral neck bone mineral density was leg strength. This study concluded: As the mea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ineral content were low, the aged showed osteopenia. Bone mineral density, muscle strength and IADL were correlated. The aged could pro mote muscle strength, bone mineral density and IADL through Leg Press exercise which was safe and efficient for the aged. This Leg Press exercise contributed to prevention of osteoporosis and promoted the health of the aged.

  • PDF

과체중 및 비만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체중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Weight Management Program for Overweighted or Obese Office Workers)

  • 한세리;유옥경;변문선;박태선;차연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608-1617
    • /
    • 2013
  • 본 연구는 과체중 및 비만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체중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체중감량 및 체지방의 감소, 혈액생화학적 변화, 영양지식 및 운동 능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라북도 내 공공기관의 BMI 23 이상 과체중 및 비만인 직원 39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여 6개월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남자그룹에서 삼두근 피부두겹 두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남녀 그룹 모두에서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혈액 생화학적 검사에서는 남자그룹에서 총콜레스테롤(P<0.05)과 LDL-콜레스테롤(P<0.01)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복부 컴퓨터단층촬영 결과에서는 남자그룹에서 복부피하지방조직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1), 영양소 섭취 조사결과 여자 그룹에서 철, 비타민 B2와 나이 아신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영양지식 점수는 남자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운동능력 검사에서는 근지구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직장인들의 건강증진뿐만 아니라 근무 능률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업장에도 건강 및 비만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교육 후에도 비만개선의 긍정적인 변화가 지속될 수 있도록 근로 현장과 국가차원의 프로그램이 개발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국민 건강관리 및 체력증진을 위한 스마트 1RM 시스템 개발 및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mart 1RM System Development and Effect Verification for Health Improvement and Management of National Healthcare)

  • 우경민;신미연;유창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3-6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풀리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운동 형태에서 정량적인 1RM 측정이 가능한 국민건강관리 및 체력증진을 위한 스마트 1RM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훈련 시 그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휴대용 근력 측정 장치, 블루투스 통신 기반 휴대폰 데이터 전송 및 회로도,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몸체로 구성된 디지털 풀리 기반 스마트 1RM 측정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피험자는 신체 건강한 20대 성인남녀 30명을 대상으로 15명씩 무작위로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훈련을 수행하는 그룹과 수행하지 않는 그룹으로 나뉘었다. 피험자는 스마트 1RM 시스템을 이용하여 팔꿈치, 요추, 무릎관절 신전/굴곡 운동을 10회씩 5세트를 수행하였고, 실험 기간은 주 3일, 총 8주간 진행되었다. 개발된 시스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위해 주관절, 요추관절, 슬관절의 최대근력을 BIODEX System 3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운동 모드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위해 호흡가스분석을 평가하였다. 또한 개발된 1RM 시스템의 최대근력 평가 결과 값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위해 기존 검증된 시스템인 등속성 근기능 측정 모듈인 Biodex system3 결과 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훈련그룹에서 최대근력 증진 운동 전 후 주관절, 요추관절, 슬관절의 최대 근력이 유의하게 모두 증진되는 결과를 얻었다. 1RM 운동모드 중 산소섭취량은 근력강화 운동이 근지구력강화 운동 보다 약 10.91% 더 많은 산소소비량을 나타냈다. 또한 개발된 스마트 1RM 최대근력 측정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 Biodex system3 데이터와 신뢰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뢰도는 0.895(*p<0.00)로 매우 높은 신뢰 수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향후 국민 건강관리 및 체력증진을 보다 정량적으로 활용하고 또한 고령자나 재활환자들의 조기 재활치료에 적용 가능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