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전이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3초

위암의 선행화학 요법 (Preoperative Chemotherapy in Gastric Cancer)

  • 홍영선;박조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3호
    • /
    • pp.139-145
    • /
    • 2005
  • 위암은 한국에서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암이며 암 사망원인의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치료법 중에서 수술이 유일하게 완치의 기회를 제공하나, 진행 암에서는 근치적 절제(R0 resection, R0 절제)수술 후에도 약 50%의 환자에서 재발을 보여, 보다 효과적인 치료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선행화학요법은 병소가 급격하게 성장, 팽창하는 것을 막고 내성을 지닌 세포의 출현을 예방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완치의 기회를 늘리고, 암의 국소 조절을 더 잘 함으로서 수술의 범위를 줄여 수술로 인한 부담을 줄이며, 절제 불가능한 암을 절제 가능한 암으로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따라서 치유절제가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던 위암의 병기를 낮추어 R0 절제 후 완치율을 높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계속되는 연구에서 수술로 인한 이환율과 사망률을 높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선행 화학요법에 사용할 수 있는 항암제는 여러 가지이나 가장 높은 효과를 보이는 항암제가 결정되지 않았고 또 항암제를 투여하는 시기, 선행 화학요법 후에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항암제의 복강 내 투여나 방사선 치료의 병용 등이 복막 전이와 국소재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지 등이 향후 시행될 연구에서 규명되어야 하겠고, 또 적절한 수술방법에 관하여도 합의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선행 화학요법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의문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다기관이 참여하는 전향적 무작위 3상 임상연구를 통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좌우 이두근의 근전도 출력에 따른 뇌파의 활성도 변화와 관련성 탐색 (Electroencephalogram(EEG) Activation Changes and Correlations of signal with EMG Output by left and right biceps)

  • 전부일;김종원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727-734
    • /
    • 2019
  • 본 논문은 인간의 의지가 뇌로부터 전달되는 과정에서 근육의 움직임이나 동작이 뇌의 특정 부위에서 유의미한 특징을 나타내는 신호를 찾아낼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뇌파의 발생은 특정한 동작을 유발하고 유발된 동작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신호는 불확실성이 높으며 육안으로 판별하기엔 그 차이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분류에 앞서 어떤 신호를 분석할 것인지 정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뇌파 혹은 뇌전도의 형태는 주파수 대역별로 분류하였을 경우, 알파, 베타, 델타, 쎄타, 감마의 영역으로 나눌 수가 있다. 뇌파의 측정 부위에 따라 활성화되는 주파수의 대역이나 에너지의 차이가 다르기 때문에 이들 신호의 특정한 크기가 정확한 동작이나 의지를 표현한다고 할 수는 없지만, 특정한 영역에서 다른 동작을 했을 경우의 뇌파 활성도를 기준으로 동작을 분류하거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뇌파의 경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차적으로 근육의 좌우 이두근의 근전도가 활성화 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뇌파의 발현형태를 관찰하고, 이후 좌완과 우완의 근육 활성화에 따른 뇌파의 유의미한 차이를 뇌파를 통해 유추할 수 있는지를 검증한다. 근전도의 좌우활성화에 따른 뇌파의 분류기준을 찾을 수 있다면, 뇌로부터 발현된 신호가 각각의 근육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전이된 신호의 형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향후 더욱 복잡한 뇌신호의 발생 유형을 통해 알려지지 않은 많은 뇌파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광학적 방법으로 측정된 양자우물 안의 InAs 양자점의 에너지 준위 (Optical Characteristic of InAs Quantum Dots in an InGaAs/GaAs Well Structure)

  • 남형도;곽호상;;송진동;최원준;조운조;이정일;조용훈;;최정우;양해석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9-215
    • /
    • 2006
  • PL (photoluminescence), PLE (PL excitation) 그리고 근 적외선 투과 분광법을 활용하여 InAsGa/GaAs 우물 내 InAs 양자점 구조의 광학적 특성과 전자 버금 띠 구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투과 스펙트럼과 PLE 스펙트럼으로부터 InAs 양자점 내 세 개의 구속 상태와 InGaAs/GaAs 우물 내에 두 개의 구속 상태가 존재함을 발견하였고, 광전류 스펙트럼에서 관측된 버금 띠 사이 전이들과 연관지어 해석하였다.

쪼그려 앉기(Leg Squat) 운동 시 등척성 고관절 내·외전이 내·외측광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sometric Hip Adduction and Abduction on the Muscle Activities of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during Leg Squat Exercises)

  • 고은경;이근희;정도영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61-36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sometric hip adduction and abduction on the muscle activities of vastus medialis oblique(VMO) and vastus lateralis(VL) during leg squat exercises. This study consisted of 21 healthy subjects who had no medical history of anterior knee pain or lower extremity disorders. The ball and belt were used to isometrically adduct and abduct the hip joint during the leg squat exercise, respectively. The surface electromyograms of VMO and VL were analyzed, and the findings were used to calculate the VMO:VL ratio during 3 different quadriceps-strengthening exercises(leg squat, LS leg squat with isometric hip adduction, LSHD leg squat with isometric hip abduction, LSHB). The muscle activities of VMO and VL and the VMO:VL ratios were compared using the paired t-test with Bonferroni adjus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uscle activities of VMO and VL during LSHD were greater than those during LSHB. The VMO:VL ratio was the highest during LSHD. This finding suggests that LSHD using a ball is more effective than LS and LSHB in selectively increasing the muscle activities of VMO. Therefore, we suggest that leg squat exercise with isometric hip adduction using a ball would be useful for maintaining correct patella tracking and for selectively strengthening VMO.

골전이로 인한 장골의 병적 골절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Pathologic Fracture of the Long Bone due to Metastatic Tumor)

  • 신규호;김동수;한수봉;한대용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2-59
    • /
    • 1995
  • Metastatic cancer is the most common tumor of the skeleton. The prevalence of pathologic fracture may increase as patient survival is prolonged by improved cancer therapy. With recent advances in orthopaedic procedure and medical management of terminal cancer patients, it is generally agreed that aggressive treatment should be undertaken for patient with pathologic fracture secondary to metastatic disease, and a team approach should be utilized. The authors have reviewed twenty cases of pathologic fracture of the long bone due to metastatic tumor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April 1989 to April 1994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mean age at surgery was 58.4 years (ranged from 24years to 86years) and among 20 cases, 10 cases were male and the others were female. 2. The most frequent site of pathologic fracture in long bone is femur(15 cases, 75%), and followed by humerus(4 cases, 20%), tibia(1 case). 3. The frequently encountered primary tumors that metastases to long bone are those of the lung(7 cases, 35%), breast(4 cases, 20%), and prostate(2 cases, 10%). 4. The operative procedure was performed by resection of the tumor mass extensively, and we used polymethylmetacrylate for filling the dead space after resection, in all cases. 5. The mean survival period after operation is 9.2 months(ranged from 1 month to 4 years and 9 month). 6. The results of postoperative pain relief status were graded as fair to excellent in 17 cases(85%).

  • PDF

사지에서 전이성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Metastatic Bone Tumor in Extremity)

  • 이한구;이상훈;백구현;이창섭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5-51
    • /
    • 1995
  • The incidence of metastatic bony lesion has been increased recently, with the advanced therapeutic modalities of malignant tum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urgical treatment in impending or established pathologic fractures due to metastasis in extremity. From 1981 to 1992, thirty two patients who had established or impending pathologic fractures in extremity had been treated surgically. The locations of metastasis, were lower extremity in 24 cases(femsral head and neck;5, intertrochanteric;7, subtrochanteric;8, femoral shaft;4) and upper extremity in 8 cases(proximal humerus;2, humoral shaft;6). The method of surgery was excision of tumor mass and rigid internal fixation to allow immediate mobilization, except 2 cases of amputation. The results were analysed by two criteria. The first was the grade of performance status that was made by modification of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New York Heart Association. The second was the degree of pain relief. The performance status was improved at least one grade in all patients and the mean improvement was 1.7 grades. The satisfactory pain relief was achieved in 81% of patients. Postoperatively, most of the patients had only slight to moderate limitation of physical activities and they became comfortable at rest and ordinary activities. The solitary metastatic lesions showed better pain relief(92%) than multiple metastasis(75%). The curative surgery was done in 3 cases, and they showed more than 24 months of disease-free survival.

  • PDF

서혜부에 발생한 유척색종 - 증례 보고 - (Parachordoma of Inguinal Region - A Case Report -)

  • 문상호;김동준;공규민;이수원;심종옥;박진경;김성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8-72
    • /
    • 2008
  • 유척색종은 전세계적으로 소수의 증례만이 보고될 정도로 매우 드문 종양으로서 척색종과 조직학적으로 매우 유사한 소견을 보이지만 구간 골격에 위치하는 척색종과 달리 유척색종은 구간외 골격 조직에 발생한다. 또한 국소적으로 재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2개월 전 서혜부 연부 조직 종양으로 국소 마취하에 단순 절제술을 시행받은 후 재발하여 광범위 절제술을 재시행하였던 유척색종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척색종의 전이를 배제하기 위하여 골주사 검사를 시행하여 골병변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절제된 조직의 종양 세포는 면역조직화학 염색상 Epithelial membrane antigen(EMA), S-100 단백질, vimentin, cytokeratin에 양성반응을 보였다.

  • PDF

사지에 발생한 거대 지방육종 (A Case of Huge Liposarcoma in Thigh)

  • 강신택;황태혁;박범석;김대중;신향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2-197
    • /
    • 2008
  • 지방육종은 연부 조직 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주로 50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사지에서 발생할 경우 근위부에서 발생한다. 저자들은 67세 남자의 좌측 대퇴부의 거대 지방육종을 변연절제술을 이용한 종양 적출술로 치료하였다. 다른 부위로의 전이는 없었으며, 종양은 변연절제에 의해 성공적으로 적출 하였으며, 종양적출 후 6개월간 재발하지 않았다. 환자의 신장은 153 cm이며, 체중은 43 kg인데 반하여 종양은 $34{\times}20{\times}9\;cm$, 2.82 kg이였다. 환자의 신장과 체중에 비하여 종양은 매우 거대하였으며, 조직학적 검사상 잘 분화된 지방육종(well-differentiated liposarcoma)으로 판명되었다. 저자들은 조직학적 분화도와 크기에 관련된 증례가 많지 않고 이에 따른 치료 방법이 명확하지 않다고 생각되어 변연절제를 이용한 종양 적출술로 치료한 잘 분화된 거대지방육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신세포암에 의한 하대정맥 악성 혈전 -치험 4례- (Malignant Thrombi of Inferior Vena Cava from Renal Cell Carcinoma -4 cases reports-)

  • 홍종면;김오곤;이석재;노윤우;이조한;홍장수;김원재;임승운;안재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1호
    • /
    • pp.1097-1101
    • /
    • 1998
  • 신세포암은 환자의 약 5∼10%에서 하대정맥을 침범한다. 이러한 경우 수술적으로 함께 제거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로 되어있다. 최근에는 간정맥 유입로 상부에 위치한 하대정맥내의 종양 혈전 제거술의 경우 체외 순환을 통한 순환 정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교실에서는 근치적 신적출술과 함께 하대정맥내의 종양 혈전 제거술을 4례 치험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간정맥이하의 하대정맥 혈전으로 체외 순환의 도움 없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시행되었으나, 그 중 한 환자에서 간정맥의 유입로보다 상부에 위치한 하대정맥혈전이 재발되어 순환정지후 혈전제거술을 시행하였다. 네 명의 환자 모두 특별한 문제없이 회복되었다.

  • PDF

공격성 섬유종증에서 PTEN 종양 억제 인자의 발현 (Expression of PTEN, Tumor Suppressor Protein, in Aggressive Fibromastosis)

  • 김정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7-83
    • /
    • 2003
  • 공격성 섬유종증은 비교적 드문 연부 조직 종양이지만, 국소 증식 및 침윤성이 강한 종양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종양 증식에 관한 정확한 기전은 아직 보고되어 지지 않고 있다. 한편, 종양 억제 유전자 PTEN은 국소 침윤성과 전이를 보이는 여러 암 조직에서 발현의 감소 또는 돌연 변이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격성 섬유종증에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과 면역탁본법을 통해 종양 억제 유전자 PTEN의 발현의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면역 탁본법과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상 PTEN의 발현은 정상 근막 조직에서는 균일하게 발현되었으나, 공격성 섬유종증 종양조직에서는 발현이 감소하였다. 공격성 섬유종증에서 PTEN발현의 감소는 급속한 증식과 재발 및 주위 조직의 침윤이 특징인 공격성 섬유종증의 병인에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