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육 수축

Search Result 21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저온 브라인 침지에 의한 생선횟감의 어종별 사후 물리적 변화의 차이

  • 박대찬;이기봉;김태진;한인근;조영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50-151
    • /
    • 2001
  • 생선회 맛은 법을 때에 이빨로 느끼는 촉감, 즉 육질의 단단함에 의하여 결정되며, 육질이 단단한 어종일수록 고급 횟감으로 취급한다. 육질의 단단함에는 어종에 따라서 결정되는 고유의 단단함(background toughness)과 근육의 수축에 의한 단단함(actomyosin toughness)으로 나누어진다. 생선회 고유의 단단함은 근육 중의 collagen의 함량 및 분포형태에 따라서 결정되고, 근육의 수축에 의한 단단함은 근육이 수축되면 myosin과 actin의 결합에 의한 actomyosin복합체 형성으로 근육에 장력이 발생하여, 근육의 수축에 의한 육질의 단단함이 상승한다. (중략)

  • PDF

주기적 등척성 수축에서의 국소근육피로 측정을 통한 피로지수의 개발

  • 정소라;정민근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04a
    • /
    • pp.79-87
    • /
    • 1993
  • 등척성 수축에서 국소근육피로의 연구에는 표면전극을 사용한 근전도신호의 스펙트럼분석 이 효과적이다. 많은 연구결과에서 자발적 수축동안 근전도신호의 주파수 성분이 근육의 피로에 의해 낮은 쪽으로 천이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를 근육피로의 지수로 사용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와 유사한 형태의 주기적 작업수행시에 얻어진 근전도신호의 중간주파수 천이양상을 지속적 수축에서 얻어진 중간주파수의 천이양상과 비교하여, 주기적 작업의 피로축적은 지속적 수축에서의 피로축적과 같은 경향성을 지님을 찾아냈으며, 이 결과를 근거로 주기적 수축의 수축지속시간으로 정규화된 개념의 피로지수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피로지수는 정량적으로 제시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설계와 허용한계의 설정등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넙치육의 사후 물리적 변화에 미치는 브라인 온도 및 침지시간의 영향

  • 박대찬;이기봉;김태진;한인근;조영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56-157
    • /
    • 2001
  • 살아있는 근육의 수축 mechanism은 신경전달 체계에 의하여 근소포체내의 $Ca^{2+}$이 세포내로 유리되어 농도가$10^{-5}$M이상일 때 일어나며, $Ca^{2+}$이 근소포체로 되돌아가면서 근육이 이완되는 가역적인 반응으로 단시간에 일어난다. 이런 방법으로 살아있는 활어의 근육수축을 인위적으로 유도하여, 근육이 수축된 상태로 죽게하면, 육질의 단단한 상태가 되므로 더 쫄깃쫄깃한 생선회를 먹을 수 있을 것이다. (중략)

  • PDF

An EMG study of the feature 'tensity' with reference to English and Korean (경음-연음 분류법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 김대원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3.12a
    • /
    • pp.11-11
    • /
    • 1993
  • 현존하는 문헌에 의하면, 입술근육의 수축과 운동시간의 측면에서 영어의 자음을 경음-연음분류를 할 수 있는 음성학적 실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근육운동 측정기를 사용하여 영어와 한국어의 양순 정지음의 발화시 근육(orbicularis oris superior muscle)운동을 측정하였다. 영어의 강세음절에서는 기존의 주장과 같이 /p/와 /b/의 발화시 근육운동에 차이가 없거나 일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무강세음절에는 기존 이론과 달리 근육운동수축에 있어서 /p/가 /b/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중략)

  • PDF

Muscle Length and Shortening Velocity Changes during the Different Types of Vertical Jumps (수직점프 동작시 근육길이와 수축속도 변화)

  • Chae, Woen-Sik
    • Korean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 /
    • v.14 no.1
    • /
    • pp.161-172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각기 다른 수직 점프 동작 시 근육의 길이와 근육의 수축속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피험자의 운동학적 변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2대의 고감도 카메라를 (60 Hz, Panasonic AG455) 사용하여 점프 동작을 촬영하였다.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 중간광근, 대퇴이두근(단두), 내측과 외측 비복근의 길이와 근수축 속도는 Brand et al. (1982)에 의해 제시되어진 하지근 기시 정지점의 3차원 좌표값과 동작분석을 통한 하지 분절간의 회전 및 변환행렬을 사용하여 측정되어졌다. 일반적인 근육 길이와 수축속도의 변화 형태는 각기 다른 점프간에 매우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상승기 초기에 대퇴사두근의 길이가 최대인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반해 대퇴이두근과 내외측 비복근은 공중 동작이 발생하는 시점에 근의 길이가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육의 길이 변화 범위는 대퇴직근이 35.9에서 47.5 cm, 외측광근이 29.4에서 38.8 cm, 중간광근이 31.5에서 38.0 cm, 내측광근이 30.9에서 38.6 cm, 대퇴이두근이 21.3에서 39.1 cm, 외측비복근이 31.4에서 33.5 cm, 내측비복근이 30.5에서 33.2 cm인 것으로 나타났다. SQ와 CMJ에서는 대퇴사두근의 최대 단축성 수축 속도와 대퇴이두근과 내외측 비복근의 최대 신장성 수축이 공중동작이 발생하기 바로 전에 이루어졌다. 대퇴사두근의 최대 신장성 수축과 대퇴이두근과 내외측 비복근의 최대 단축성 수축은 일반적으로 피험자가 착지하는 순간에 발생되어졌다. 그러나 HJ와 DJ에서는 대퇴사두근의 최대 신장성 추축과 대퇴이두근과 내외측 비복근의 최대 신장성 수축이 하강기 초반에 발생되어졌다.

Measurement Method for Changing State Which is Generated from the Course of Continuous Muscle Contraction (지속적인 근 수축과정에서 발생하는 상태변화 계측방법)

  • Cheon, Woo-Young;Park, Hyung-Jun;Yoon, Yang-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11c
    • /
    • pp.567-569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골격근의 지속적인 수의 수축시에 발생하는 근육의 수축상태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심리 변화와 생리변화를 계측하여 이들의 해석방법을 제안하였다. 지금까지는 근육의 수축상태를 근전도의 변화로부터 정상상태와 피곤상태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심리적 변화를 기초로한 생리 신호 해석 방법에서는 근육수축 상태가 정상상태, 피곤상태, 아픈상태의 3단계 변화를 한다는 사실을 얻었다.

  • PDF

Double Threshold Method for EMG-based Human-Computer Interface (근전도 기반 휴먼-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위한 이중 문턱치 기법)

  • Lee Myungjoon;Moon Inhyuk;Mun Museong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5 no.6
    • /
    • pp.471-478
    • /
    • 2004
  • Electromyogram (EMC) signal generated by voluntary contraction of muscles is often used in a rehabilitation devices such as an upper limb prosthesis because of its distinct outpu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bio-signals. This paper proposes an EMG-based human-computer interface (HCI) for the control of the above-elbow prosthesis or the wheelchair. To control such rehabilitation devices, user generates four commands by combining voluntary contraction of two different muscles such as levator scapulae muscles and flexor-extensor carpi ulnaris muscles. The muscle contraction is detected by comparing the mean absolute value of the EMG signal with a preset threshold value. However. since the time difference in muscle firing can occur when the patient tries simultaneous co-contraction of two muscle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patient's intention is co-contraction. Hence, the use of the comparison method using a single threshold value is not feasible for recognizing such co-contraction motion. Here, we propose a novel method using double threshold values composed of a primary threshold and an auxiliary threshold. Using the double threshold method, the co-contraction state is easily detected, and diverse interface commands can be used for the EMG-based HCI.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real-time EMG processing showed that the double threshold method is feasible for the EMG-based HCI to control the myoelectric prosthetic hand and the powered wheelchair.

A Study on the Effects of Muscle Membrane in Tension Development by Computer Image (컴퓨터 영상으로 장력발생이 근육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hin Seung-Soo;Kim Duck-So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5 no.4
    • /
    • pp.71-77
    • /
    • 2005
  • On contraction of the muscles, marked changes in X-ray reflections are observed, suggesting that conformational changes of contractile molecules and the movement of myosin heads during muscle contraction. It was found that the successive twitches decreased not only the time needed to the peak tension after the onset of stimulation but also the time needed to the maximum change of the X-ray intensity. However, the difference of the time between the peak tension and the maximum intensity change$(T_i-I_i)$ is nearly the same at any twitch.

  • PDF

A Study on the Recovery of EMG Power Spectrum and Pressure Pain Threshold of Masticatory Muscles after Sustained Isometric Contraction (저작근의 지속적인 등척성 수축후 근전도 power spectrum과 압력통각 역치의 회복에 관한 연구)

  • 이병철;김은숙;김영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3 no.4
    • /
    • pp.433-445
    • /
    • 1998
  • 본 연구는 정상인의 저작근에서 지속적인 등척성 수축후 근전도 power spectrum과 압력통각 역치의 회복 특성을 구명하기위해 시행되었다. 악안면 영역의 동통과 긴으장애의 벙력 및 현증이 ㅇ벗고 정상적인 교합관계를 가진 26명의 정상인(남자 14명, 여자 12명) 을 대상으로 최대근활성도의 70% 수준에서 인내가능 할 때까지의 등척성 수축과 수축후 회복기 동안의 근전도 power spectrum과 압력통각 역치를 컴퓨터를 이용한 근전도 시스텀과 전자식 압력통각계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지속적인 등척성 수축 시작 시점의 중간주파수에서 남녀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철되지 않았지만, 근육간 비교에서는 전측두근에서 교근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2. 지속적인 등척성 수축전 암력통각 역치는 전축두근에서 교근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01), 남성에서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3. 지속적인 등척성 수축시 중간주파수와 압력통각 역치의 변화량은 성별간, 근육간에 우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4. 지속적인 등척성 수축말기 중간주파수는 수축초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01), 이의 회복은 모든 근육에서 60초와 120초 사이에서 이루어 졌다. 5. 지속적인 등척성 수축후 압력통각역치는 수축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01), 수축전 수준으로의 회복은 여자군의 전측두근과 교근에서는 30분후에 남자구느이 전측두근과 교근에서는 50분 후에 이루어졌다. 6. 지속적인 등척성 수축후 주관적인 동통이 소실된 시각은 여자군의 전축두근에서는 28분, 교근에서는 42분으로 남자군의 전측두근에서는 30분, 교근에서는 40분으로 나타났다.

  • PDF

Positive and Negative Covariation Mechanism of Multiple Muscle Activities During Human Walking (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복합 근육 활성의 양성 및 음성 공변 메커니즘)

  • Kim, Yushin;Hong, Youngk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
    • /
    • pp.173-184
    • /
    • 2018
  • In human walking, muscle co-contraction which produces simultaneous activities of multiple muscles is important in motor control mechanism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positive and negative covariation mechanism of inter-muscle activities during walking. In this study, we measured electromyography (EMG) in leg muscles. To identify motor modules, we recored EMG from 4 leg muscles bilaterally (the tibialis anterior, medial gastrocnemius, rectus femoris and medial hamstring muscles) and performed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NMF) and principa component analysis (PCA). Then, we computed covariation values from various combinations between muscles or motor modules and used two-way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to identify significantly different covariation patterns between muscle combinations. As the results,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variation values of muscle combinations (p < 0.05). muscle groups within the same motor modules produced the positive covariations. However, there were strong negative covariation between motor modules. There was negative covariation in all muscle combination. Stable inter-module negative covariation suggests that motor modules may be the control unit in the complex motor coord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