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육발생

Search Result 54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xtraction and Analysis of Muscular Area from Ultrasound Images Using ART2-based Quantization (ART2 기반 양자화를 이용한 초음파 영상에서의 근육 영역 추출 및 분석)

  • Kim, Jin-Ho;Lee, Hae-Jung;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10a
    • /
    • pp.398-403
    • /
    • 2007
  • 초음파 영상은 미세한 명암도 차이 등에 의해 분석 과정에서 근육 영역의 위치와 크기를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근육 영역을 파악하는데 주관성이 개입된다. 본 논문에서는 근육영역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ART2 신경망을 적용하여 양자화를 수행한 후, 국부적 영역에서 근육 영역을 추출한다. 초음파 영상에서 히스토그램 평활화와 엔드인 탐색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명암도의 분포와 밝기 값을 보정 한 후, ART2 신경망을 이용하여 유사한 영역을 클러스터링 한다. 그리고 클러스터링 된 각 영역의 크기, 위치 및 명암도 정보를 분석하여 피하지방, 근육 막, 기타 배경 영역으로 분류한다. 최종적인 근육 영역을 찾기 위해 근육 막 내부 객체들 간의 거리, 각도를 이용하여 근육 막 영역에 둘러싸인 근육 영역을 추출한다. 실제 초음파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일반적인 클러스터링 기법을 적용한 방법 보다 ART2 기반 양자화와 제안된 영역 확장 기법으로 근육영역을 추출하고 분석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A Case of Intramuscular Lipoma in the Malar Area (관골부에 발생한 Intramuscular lipoma 1례)

  • Hong, Jung-Soo;Lee, Tae-Hoon;Seul, Jung-Hyun;Choi, Won-Hee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7 no.1
    • /
    • pp.181-185
    • /
    • 1990
  • Lipomas are common soft tissue tumor that are usually located in the subcutaneous tissue. And intramuscular lipomas commonly arise in the upper and lower extremities, where they usually involve the large muscles. Intramuscular lipoma, also referred to as an infiltrating lipoma. is an unusual benign slow growing tumor composed of mature fat cell interdigitating with skeletal muscle. However, intramuscular lipomas are exceedingly rare in the face. We have been experienced a case intramuscular lipoma that located in the malar area. Because of the rarity of these tumors and their propensity to recur without adequate surgery, the case report is presented here. Achievement of surgical margin is essential as the recurrent rate may be as high as 15% to 62.5% without complete excision.

  • PDF

Muscle Length and Shortening Velocity Changes during the Different Types of Vertical Jumps (수직점프 동작시 근육길이와 수축속도 변화)

  • Chae, Woen-Sik
    • Korean Journal of Applied Biomechanics
    • /
    • v.14 no.1
    • /
    • pp.161-172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각기 다른 수직 점프 동작 시 근육의 길이와 근육의 수축속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피험자의 운동학적 변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2대의 고감도 카메라를 (60 Hz, Panasonic AG455) 사용하여 점프 동작을 촬영하였다.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 중간광근, 대퇴이두근(단두), 내측과 외측 비복근의 길이와 근수축 속도는 Brand et al. (1982)에 의해 제시되어진 하지근 기시 정지점의 3차원 좌표값과 동작분석을 통한 하지 분절간의 회전 및 변환행렬을 사용하여 측정되어졌다. 일반적인 근육 길이와 수축속도의 변화 형태는 각기 다른 점프간에 매우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상승기 초기에 대퇴사두근의 길이가 최대인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반해 대퇴이두근과 내외측 비복근은 공중 동작이 발생하는 시점에 근의 길이가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육의 길이 변화 범위는 대퇴직근이 35.9에서 47.5 cm, 외측광근이 29.4에서 38.8 cm, 중간광근이 31.5에서 38.0 cm, 내측광근이 30.9에서 38.6 cm, 대퇴이두근이 21.3에서 39.1 cm, 외측비복근이 31.4에서 33.5 cm, 내측비복근이 30.5에서 33.2 cm인 것으로 나타났다. SQ와 CMJ에서는 대퇴사두근의 최대 단축성 수축 속도와 대퇴이두근과 내외측 비복근의 최대 신장성 수축이 공중동작이 발생하기 바로 전에 이루어졌다. 대퇴사두근의 최대 신장성 수축과 대퇴이두근과 내외측 비복근의 최대 단축성 수축은 일반적으로 피험자가 착지하는 순간에 발생되어졌다. 그러나 HJ와 DJ에서는 대퇴사두근의 최대 신장성 추축과 대퇴이두근과 내외측 비복근의 최대 신장성 수축이 하강기 초반에 발생되어졌다.

Extracting Muscle Area with ART2 based Quantization from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es (ART2 기반 양자화를 이용한 재활 초음파 영상에서의 근육 영역 추출)

  • Kim, Kwang-Bae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6
    • /
    • pp.11-17
    • /
    • 2014
  • While safe and convenient, ultrasound imaging analysis is often criticized by its subjective decision making nature by field experts in analyzing musculoskeletal syst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utomatic method to extract muscle area using ART2 neural network based quantization. A series of image processing algorithms such as histogram smoothing and End-in search stretching are applied in pre-processing phase to remove noises effectively. Muscle areas are extracted by considering various morphological features and corresponding analysis. In experiment, our ART2 based Quantization is verified as more effective than other general quantization methods.

Convergence analysis of pain changes on brain wave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after intervention for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지연성근육통 중재 후 통증의 변화가 뇌파와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융합적 분석)

  • Kim, Kyung-Yoon;Bae, Seahy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2
    • /
    • pp.61-66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anges in pain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brain waves after inducing delayed-onset muscle soreness(DOMS). Based on voluntary participation, 28 participants with induced-DOMS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non-treatment, n=14) and experiment groups(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and kinesio taping, n=14). Intervention was performed from first day to fifth days after the onset of DOM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VAS), Heart Rate Variability(HRV), and brain wave before DOMS induction, 24 hours after, fifth day after, and eighth day after.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when DOMS occurred, the activity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was increased or the activity of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was suppressed, and reduction of pain due to interventions showed the opposite activity. A decreased in alpha was seen during pain, but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will help develop and study pain management and treatment strategies.

Localized Myositis Ossificans of the Temporal and Lateral Pterygoid Muscles- A Case Report for Open Limitation (측두근과 외측 익돌근에서 발생된 국한성 화골성 근염 : 개구제한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의 증례보고)

  • Han, Won-Jeo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7 no.4
    • /
    • pp.227-231
    • /
    • 2012
  • Localized myositis ossificans is a disease with the main feature of formation of heterotropic bone and fibrous tissue involving muscle. It also called traumatic myositis ossificans. Myositis ossificans is likely to occur in the femoral region or brachium but, rarely in the head and neck including the masticatory muscles. It arises from traumatic episodes caused by prolonged mouth opening, surgical procedure, local anesthesia injection. The main clinical feature is the mouth open limitation. The diagnosis of myositis ossificans is usually based on the patient's history, clinical symptoms and on imaging finding. We present the case of patient with localized myositis ossificans of the temporal and lateral pterygoid muscles.

Analysis of Lower Extremity Muscle Force Variations during the Gait Cycle with Optimization Method (보행 시 하지근육 역할에 대한 최적화 기법적 해석)

  • Jeon Eungsik;Kim Young Eun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4 no.6 s.81
    • /
    • pp.509-514
    • /
    • 2003
  • A mathematical model of human gait was developed to calculate the muscle forces of the lower extremity during walking. The musculoskeletal model consisted of 7 segments and 16 lower extremity muscles. The muscle forces variation during the gait calculated with optimization technique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previously reported experimental results, mostly EMG variation. Moreover, the resulting joint torques matched well with those from the kinematic data and the inverse dynamics.

지금은 여성건강시대 - 울퉁불퉁 종아리, 터질듯한 다리통증 '하지정맥류'

  • Park, Jong-Deok
    • 건강소식
    • /
    • v.36 no.10
    • /
    • pp.26-27
    • /
    • 2012
  • 가을은 단풍 산행을 위해 산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계절이다. 등산은 심폐와 온몸의 근육과 인대를 강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운동이지만, 등산 전 몸 상태에 대한 점검 없이 무리한 등산을 할 경우 평소 약해진 다리 혈관이 늘어난 혈액량을 감당하지 못해서 건강을 해칠 수가 있다. 더욱이 등산을 즐기는 중장년층이라면 종아리 근육의 탄력이 약화되어 정맥혈관이 확장되는 정맥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미 정맥류가 있는 경우라면 악화될 수 있다.

  • PDF

미경산 한우에 있어 FSH와 Estradiol Benzoate를 이용한 반복다배란 처리에서 수정란 생산 효율

  • 박성재;손동수;류일선;최선호;이장희;허태영;조상래;윤성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26-126
    • /
    • 2003
  • 유전적으로 우수한 미경산우를 선발하여 조기에 우수한 수정란을 생산하여 이식 후 개량을 촉진한다는 것은 소의 육종개량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일반적으로 경산우에 비해 미경산우는 수정란의 생산효율이 떨어진다는 보고가 있다. 최근에는 다배란 처리시 FSH와 Estradiol Benzoate(EB)를 사용하여 다배란처리 효율을 개선하였다는 보고(Matoba 등, 2002)가 있어 EB의 첨가가 미경산우에 있어 수정란 생산 효율을 개선하는 지를 조사하기 위해 60일 간격으로 반복하여 다배란 유기실험을 수행하였다. 공란우는 11 -15개월령의 한우 16두를 평균 90일 주기로 반복 다배란 처리우로 사용하였으며 발정 주기중 황체 중기 소에게 CIDR plus를 질내에 삽입하고 다음날 EB를 근육주사하였으며, 120시간 후 부터 FSH 50mg을 1일 2회, 4일간 주사하고 마지막 날 prostaglandin제제를 25mg 근육주사한 다음에 48, 60시간 후 인공수정을 반복 실시하였다. 인공 수정시는 배란을 촉진하기 위해 GnRH제(콘세랄)을 50mg을 근육주사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