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육두께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18초

청자갈치(Bothrocara hollandi)의 근육에 기생하는 점액포자충Myxobolus aeglefini (Myxozoa: Myxobolidae) (Myxobolus aeglefini (Myxozoa: Myxobolidae) infection in muscles of porous-head eelpout (Bothrocara hollandi))

  • 전찬혁;김정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9-85
    • /
    • 2015
  • 동해안에서 어획된 청자갈치 (Bothrocara hollandi)의 체측 근육에 유백색의 불투명한 시스트를 형성하고 있는 점액포자충이 발견되었다. 시스트를 마쇄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해본 결과, 원형에 가까운 점액포자충의 성숙 포자가 관찰되었다. 성숙 포자의 평균 길이는 $11.9(11.0{\sim}13.5){\mu}m$, 평균 폭은 $11.6(10.7{\sim}13.6){\mu}m$, 평균 두께는 $7.8(6.9{\sim}8.8){\mu}m$이었다. 극낭의 평균 길이는 $4.4(3.2{\sim}5.3){\mu}m$이었으며, 평균 폭은 평균 $3.3(2.4{\sim}4.2){\mu}m$이었다. 감염숙주와 성숙포자의 형태학적 특징, 각 부위의 측정값으로부터 본 연구에서 발견된 점액포자충은 Myxobolus aeglefini Auerbach 1906으로 동정하였다. 또한 18S rDNA sequences를 이용한 계통분석 결과 M. albi와 M. groenlandicus와 같은 분지에 속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각각 97.7%와 96.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양식산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소화관의 형태학적 구조 및 조직화학적 특징 (The Morphological Structure and Histochemical Features of the Alimentary Tract in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 김재원;최세민;백혜자;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5-220
    • /
    • 2004
  • 돌돔, Oplegnathus fasciatus의 소화관은 식도, 위, 장 및 항문이 일련의 관을 이루고 있고,전체적으로 지방 덩어리가 싸고 있다. 어체 체장에 대한 식도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관 길이의 비(relative length of gut: RLG)는 일반적인 잡식성 어류와 비슷한 평균 1.78 (n=30)의 값을 가진다. 식도는 근육층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점막주름의 상피층은 입방상피 또는 원주상피로 구성되고 상피세포 사이에는 다수의 산성 점액분비세포들이 분포하며, 상피세포의 정단부에서 미세융모의 관찰은 어렵다. 위의 근육층은 외부로부터 종주근, 환상근층으로 구성된다. 위의 점막주름은 규칙적인 형태로서 상피층에는 pit, 상피 및 위선이 아주 잘 발달되어 있으며, 점막상피 세포질의 정단부에서는 영양분 흡수계통의 물질들이 관찰된다. 50∼60개의 유문수를 가지는 돌돔 유문수의 점막상피층에서는 원주형의 상피세포와 중성의 점액분비세포들이 관찰되며, 상피세포의 정단면에는 미세융모가 발달되어 있다. 장의 점막상피층에서는 원주상피세포와 중성과 산성의 점액분비세포들이 관찰되며, 종주근층의 두께가 전장, 중장, 후장으로 갈수록 두꺼워진다. 산성의 점액분비세포의 출현빈도는 중장부에서 가장 발달된 양상을 보이며 후장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참굴큰입흡충 표피층의 투과전자현미경적 미세구조 (TEM ultrastmcture of the tegumental layer of Gymnophalloides seoi (Digenea: Gyinnophallidae))

  • Min SEO;Jong-Yil CHAI;Soon-Hyung LE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3호
    • /
    • pp.165-172
    • /
    • 1995
  • 참굴큰입흡충(Gymophazloides seoi)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층(일반 표피. 흡반 부위 및 ventral pit)의 미세구조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피낭유충은 자연감염된 굴에서 분리하 였고. 성충은 실험감염시킨 C3H 마우스에서 획득하였다. 일반적으로 표피층은 합포체의 응기 및 굴곡이 심하지 않았고, 다수의 미토콘드리아와 수많은 작은 공포들이 관찰되었으며. 근육층 아래에 는 표피세포의 핵이 위치하고 있었다. 피낭유충과 성충에서 표피층의 구조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구흡반에는 잘 발달된 근육층이 분포하였고. 복흡반은 구흡반과 비슷한 구조였으나 합포체의 fold수가 구흡반보다 많았다. Ventralpit은 합포체층의 두께가 얇았으며. 많은 수의 microtubule 과 미토콘드리아가 관찰되었다. 주위에는 종주근과 윤주근 다발들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참굴큰입흡충 표피층의 미세구조는 피낭유충과 성충 사이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흡충류의 일반적인 구조와 대체로 일치하였다. 이 흡충의 특징적 구조물인 ventralpit은 괄약근 또는 보조 흡착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 PDF

지지면에 따른 골반 바닥 근육 운동이 20대 여대생들의 최대 들숨 압력, 최대 날숨 압력 그리고 배 근육 두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According to Support Surface on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and Maximum Expiratory Pressure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in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 박한규;김윤희;이시윤;이정인;오수진;황지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1-60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PFME) on an unstable support surface on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MIP), maximum expiratory pressure (MEP),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as a method for effective PFME.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on 22 subjects. They were match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body mass index; the experimental group (EG) performed PFME on a foam roller (n= 11), the control group (CG) performed PFME on a stable support surface (n= 11). Kegel exercise was performed with 10 seconds of contraction, 10 seconds of relaxation, and 4 sets of 10 reps per set. Both of group executed the exercise 3 times a week for 2 weeks. MIP and MEP was measured using a spirometer. Abdominal muscle thickness was measured using ultrasound.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difference on each group and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was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A significance level of α= .05 was used to verify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 The E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P (p<.05). The C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P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p>.05). The E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ternal oblique, internal oblique and transverse abdominis (p<.05). The C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internal oblique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p>.05).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correc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o confirm that PFME performed on a foam roller has a positive effect on respiratory muscle strength and abdominal muscle thickness.

생체전기 저항법에 의한 체지방율과 다른 계측치간의 상관성 연구 (Correlation between Body Fat Percent Estimat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and Other Variable Methods)

  • 염혜원;김수정;황일태;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8호
    • /
    • pp.751-757
    • /
    • 2003
  • 목 적 : 소아에서의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행되기 쉽고 합병증으로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 관상동맥질환, 지방간 등이 초래될 수 있어 비만의 정확한 진단과 함께 예방이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비만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생체전기 저항법과 다른 계측치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7세에서 18세 사이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 1,0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장과 체중을 측정한 후 BMI를 구하였고 상완 둘레는 견갑골의 견봉과 주두의 중간 지점에서 줄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ST 두께는 Holtain/Tanner-Whitehouse skinfold 캘리퍼로 견갑골하 부위와 삼두근 부위에서 피부주름 두께를 측정하였고 생체전기 저항은 InBody 2.0(Biospace, Seoul, Korea) 제품을 사용하여 각 대상에서 근육량, 제지방량(lean body mass), 체지방율, 복부 지방율을 측정하였다. 생체전기 저항법과 체질량지수, 피지 두께법 사이의 상관 관계를 구하였고, 같은 성별과 연령에서 생체전기 저항법에 의한 체지방율 85 백분위수와 95 백분위수 이상인 군을 각각 양성군으로 하였을 때 ST와 BMI가 체지방을 예측할 수 있는 민감도 및 특이도를 구하였다. 결 과 : 1) 생체전기 저항법과 피지 두께에 의한 체지방율의 상관계수는 0.835, 생체전기 저항법과 BMI와의 상관계수는 0.749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2) 같은 성별과 연령에서 생체전기 저항법에 의한 체지방율 85 백분위수 이상을 양성군으로 하였을 때 85 백분위수 이상의 ST가 체지방을 예측할 수 있는 민감도는 69.9%, 특이도는 94.5%이었다. 3) 같은 성별과 연령에서 생체전기 저항법에 의한 체지방율 95 백분위수 이상을 양성군으로 하였을 때 95 백분위수 이상의 피지 두께가 체지방을 예측할 수 있는 민감도는 57.7%, 특이도는 97.6%이었다. 4) 같은 성별과 연령에서 생체전기 저항법에 의한 체지방율 85 백분위수 이상을 양성군으로 하였을 때 85 백분위수 이상의 BMI가 체지방을 예측할 수 있는 민감도는 81.8%, 특이도는 96.9%이었다. 5) 같은 성별과 연령에서 생체전기 저항법에 의한 체지방율 95 백분위수 이상을 양성군으로 하였을 때 95 백분위수 이상의 BMI가 체지방을 예측할 수 있는 민감도는 84.9%, 특이도는 99.3%이었다. 결 론 : 생체전기 저항법에 의한 체지방 측정은 ST와 BMI와 상관성이 높았으며, 생체전기 저항법에 의한 체지방 측정은 객관적이고 정확하고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어 비만 진단에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세가지 도축 종료 시점을 공변량으로 하는 한우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능력 분석모형 (Genetic Analysis of Carcass Traits in Hanwoo with Different Slaughter End-points)

  • 최연호;윤호백;최성복;정흥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703-710
    • /
    • 2005
  • 한우의 성장과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능력 평가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4가지 공분산 모형을 적용하여 후대검정에 공시된 수소와 거세 수소의 자료에 대한 표현형 및 유전자형에 대한 분산-공분산을 추정하였다. 4가지 모형은 검정소와 검정차수로 구분한 동기그룹의 고정효과와 임의효과인 종모우 효과로 구성된 부계 반형매 모형을 적용하였다. 도체형질에 대해서는 4가지 공변량을 추가하였는데 모형 1에는 도축일령의 1차식효과를, 모형 2에는 도축연령의 1차와 2차식 효과를 사용하였고, 모형 3에는 절식체중을 모형 4에는 등지방두께를 각기 1차식 공변량으로 사용하였다. 도축일령의 2차식 효과는 유의적이지 않았으나 도축일령에 대한 회귀로 인하여 4개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 분산-공분산 성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도축 일령을 공변량으로 하였을 때 등지방 두께, 등심단면적, 도체중, 근내지방도와 도체율에 대한 유전력은 각기 0.34, 0.22, 0.24, 0.42, 0.18로 추정되었다. 도체중과 다른 도체형질간에는 정(+)의 유전상관을 보였으나, 등지방 두께와 등심단면적, 그리고 근내지방도와 도체율 간에는 낮은 부(-)의 유전상관을 보였다. 절식체중에 대한 회귀는 도체중에 대한 유전분산과 타 도체형질과의 유전 공분산을 감소시켰으며, 등지방 두께에 대한 회귀는 등심단면적에 대한 유전분산과 등심단면적과 도체중 간의 유전 공분산을 증가시켰다. 절식체중이나 등지방두께를 공변량으로 한 모형으로부터 추정된 분산-공분산 성분은 도축 일령을 공변량으로 했을 때와 상이한 구조를 보였는데, 이들 두 가지 공변량은 골격-근육-지방조직으로 구성되는 신체 부분적 발달 정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우 거세우의 도체 형질간의 관계 (Carcass Traits and Their Relationships in Hanwoo(Korean Native) Steers)

  • 백동훈;호크 M.A.;박형기;정이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593-598
    • /
    • 2002
  • 이 연구는 한우에 있어서 몇 가지 도체형질의 특성을 파악하고 각 형질들 간의 관계를 추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도체중, 등지방두께, 살코기 비율(meat %), 뼈 비율(bone %), 근내지방% 및 배장근단면적의 평균치는 각각 300.27kg, 9.23mm, 58.99%, 12.92%, 28.08% 및 74.00$cm^2$ 이었다. 숙성 전 ($pH_B$) 및 숙성 후 ($pH_A$)의 산도와 조리손실(숙성 전 및 숙성 후)은 각각 5.32, 5.60, 16.43 및 19.21 이었다. 근육의 평점과 지방색은 3.67 및 3.17을 나타내었다. 배장근 단면적과 육량등급은 도체중, 적육% 및 뼈%와 극히 미약한 正의 상관이 존재하는 반면에 근내 지방도와는 負의 상관을 보였다. 등지방두께는 도체중 및 적육량과 正의 상관이었으나 뼈의 % 및 근내지방 %와는 負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酸度는 調理 損失과 숙성전후에 관계없이 負의 상관을 보였다.

속도가 다른 트레드밀 훈련이 다리 근두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eed Variations in Treadmill Training on Thickness of Lower Extremity Muscles)

  • 박치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63-37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속도가 다른 트레드밀 훈련이 다리 근두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대학생 남녀 36명을 평보군 (n=12)과 속보군 (n=12), 교차보행군 (n=12)으로 나누어 평보군은 평균 속도의 100%의 속도로 훈련을 실시하였고, 속보군은 평균 속도의 130%의 속도로 실시하였으며, 교차보행군은 130%의 속도와 100%의 속도를 각각 교차하면서 보행 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은 6주 동안 시행하였고, 주당 3회, 회당 60분간 시행하였다. 측정은 넙다리곧은근과 가쪽넓은근, 장딴지근, 앞정강근의 두께를 비교하기 위해 초음파영상장치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넙다리곧은근, 가쪽넓은근, 장딴지근에서 시간에 따라 유의한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호작용 또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앞정강근에서는 시간에 따라 유의한 증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평속보다는 속도를 달리한 훈련을 실시하였을 때 다리 근육의 두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연구에서는 신경계나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보행 장애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재활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평발교정용 형상기억합금 초탄성 인솔 설계 연구 (A Study on Design Factor of Insole using Shape Memory Alloy for Pes Planus Correction)

  • 양미경;이상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79-85
    • /
    • 2017
  • 발 질환으로 어려움을 겪는 환자들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교정용 인솔에 대한 연구가 점점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형상기억합금의 특성 중 하나인 초탄성 효과를 이용하여 평발교정용 인솔 설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신발에 인솔을 부착하는 방식을 도입하여 설치된 인솔이 발 구조 중 가장 중요한 근육인 족저근막을 자극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족저근막에서 인솔에 의해 유발되는 접촉압을 유한요소법으로 예측하는 방법을 통해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평발교정용 인솔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솔의 형상을 결정하는 설계 인자로 세 가지 즉, 인솔의 두께, 최고높이, 앞뒤의 비대칭률을 채택하였다. 세 가지 설계 인자의 영향도를 평가하기 위해 다구찌 최적화 기법을 도입하여 각 인자 간 조합에 따른 족저근막에서의 최대 접촉압을 계산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접촉압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많이 주는 설계인자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최고높이, 두께, 비대칭률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접촉압을 실제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인지압으로 변환한 후 교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면서도 족저근막에 무리를 주지 않는 안전 교정 범위를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안전 교정 범위에 드는 가장 좋은 설계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립한 중요인자를 고려한 설계방법은 향후 개인별 맞춤형 교정 인솔을 설계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외측대퇴 유리피판을 이용한 두경부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the Head and Neck Defects Using Lateral Thigh Free Flap)

  • 이내호;양경무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7권2호
    • /
    • pp.146-156
    • /
    • 1998
  • 저자들은 1997년 1월부터 1998년 7월까지 두경부 악성종양 및 반안면왜소증과 같은 선천성 안면기형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던 환자 9명을 대상으로 하여 9례의 외측대퇴 유리피판술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두경부 재건에 있어서 외측대퇴 유리피판은 다른 유리피판술에 비해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공여부 추형이 노출되지 않는 부위이며 동시에 두팀이 수술에 참여할 수 있어서 수술시간이 단축될 수 있었다. 둘째, 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면 피판의 모발은 사라지지만 모공의 과각화증 및 색조 침착이 증가하므로, 외측대퇴부에 모발이 많은 환자는 술후 방사선치료의 여부와 관계없이 미용적인 금기사항에 해당한다. 셋째, 악성종양 절제후에 발생하는 결손의 재건시 피판의 두께가 문제시 되지 않았으며, 피판의 두께는 피판을 도안할 때의 위치, 성(sex), 피하지방층의 제거정도, 근육의 포함 정도, 술 후 피판의 위축정도에 따라 조절 가능하였다. 넷째, 모든 증례에서 정맥이식없이 혈관문합이 가능하였으므로 두경부 재건시 혈관경의 길이는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가능한 피판을 장축으로 길게 도안하여 두 번째 또는 네 번째 관통동맥을 포함시켜 수술 후 발생할지도 모르는 혈류부전에 대비하는 것도 피판의 생존률을 높이는 좋은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