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수축시간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nalysis of Muscle On-set Time of Fully Immersive Virtual Reality Motions and Actual Motions in Healthy Adults (정상성인에서의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동작과 실제 동작에서의 근수축 개시시간의 분석)

  • Park, Tae-Sung;Kang, Jong-Ho;Kim, In-Bae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1
    • /
    • pp.173-177
    • /
    • 2018
  • This study compared the muscle on-set time of fully immersive virtual reality motions with that of actual motions to if there difference. The subjects were 30 healthy adults subjects and compared the virtual reality moction group(punch, archery) and actual motion group(punch, archery) muscle on-set time. In this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irtual reality motion group and actual motion group muscle on-set time(p>0.05). Fully immersive virtual reality is deemed to be applicable for use in physical therapy.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ether a fully immersive virtual reality can be applied to patients.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Electromyographic Activity in the Early Hemiparetic Wrist (초기 편마비 환자의 손목에서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지연)

  • Chung, Yi-Jung;Cho, Sang-Hyun;Kwon, Oh-Yun;Lee, Young-Hee
    • Physical Therapy Korea
    • /
    • v.10 no.4
    • /
    • pp.95-103
    • /
    • 2003
  • 본 연구는 초기 편마비 환자의 손목에서 표면근전도 분석을 통해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특성들을 알아보고, 임상적인 치료방법의 기초를 제안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원주기독병원에 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 중 발병 후 3개월 미만인 13명과 원주시에 거주하는 대조군 7명이었다.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지연은 표면근전도를 이용하여 손목굽힘근과 손목펴짐근에서 손목관절의 굽힘과 폄동작 시 3초의 근전도 신호음에 따라 가장 빠르고 강하게 최대 등척성 수축과 이완을 하여 신호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편마비 환자의 환측은 건측과 대조군에 비해 손목관절 굽힘과 폄동작에서 근수축 개시및 종료가 유의하게 지연되었으며, 개시보다 종료가 더 유의하게 지연되었다. 따라서 초기 뇌졸중 환자의 근약화는 근육의 개시 및 종료의 반응시간 지연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운동조절과 연관되어 기능적인 회복을 유도할 수 있는 근수축의 민첩성 훈련과 근섬유 동원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치료방법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Electromyographic and Biomechanical Analysis of Postural Movement Patterns During the Backward Sway (Backward Sway 동안의 자세움직임 형태에 대한 근전도와 생체역학적 분석)

  • You, Sung-Hyun
    • Physical Therapy Korea
    • /
    • v.2 no.2
    • /
    • pp.1-8
    • /
    • 1995
  • 이 논문의 주목적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각기 다른 3가지의 (체중의 1.5 %, 3.0 %, 9.0 %) 부하를 통해서 자세의 불균형을 유발시켰을 때 나타나는 postural movement patterns을 기술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의 허리중심에 체중부하를 주어 균형이 뒤로 이동하게 하여, surface EMG(표면 근전도)를 통하여 Tibialis anterior(Ta), Gastrocnernius(Gc), Quadriceps femoris(Qc), Hamstring(Ha), Rectus abdominalis(Ab)와 Paraspinalis(Pa) 근육들의 motor recruitment pattern(운동회집형태)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비디오 촬영은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의 움직임을 보기 위해 사용하였다. 특히 근전도 (EMG)는 자세반응 검사에 있어 첫 근반응(근수축) 경과시간(FR)과 분절간격간의 (ID)시간을 조사하는데 사용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4가지 중요한 사실을 전해주고 있다. 첫 번째로서, 연구대상자에게 체중의 1.5 %의 부하를 적용하였을 때 Ta가 가장 먼저 수축을 시작하였고(FR:$88{\pm}19.4$ ms) 발목과 대퇴사이의 분절 간격간(ID)의 평균은 +9.3 ms였다. 또한 족관절의 변화가 가장 뚜렷하여 Nashner(1985)의 족기전을 뒷받침하고 있다. 둘째로는 연구대상자에게 체중의 3.0 %의 부하를 주었을 때 Qc와 Ab근육이 원위부에서 근위부 순서로 수축하였고, 첫 번째 근육수축시간은 ($82{\pm}39.2$ ms)였다. 그리고 이때 분절간격의 평균은 +8.3ms 이였고 Ta는 거의 반응하지 않았다. 족관절과 슬관절에 비해 고관절의 변화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났고, 이 또한 Nashner의 고관절 기전과 같은 현상을 보였다. 셋째로 연구 대상자에게 체중의 9.0 % 부하를 허리에 적용하였을 때 근수축은 근위부에서 원위부 순서를 이루어졌다. 즉 Ab,Qc, Ta, Ps순으로 근수축 되었다. Ab가 처음으로 수축하여 첫 반응(FR)은 $73{\pm}3.2$ ms 이였고 슬관절과 고관절의 변화가 가장 뚜렷하였다. 넷째로 연구 대상자에게 체중의 9.0 %부하를 적용하였을 때, 균형을 잡기 위해 뒷걸음치는 것이 관찰되었고 이때 근수축 순서는 Ta,Ab.Ps,Qc,Hs였다. 이 결과는 Nasher의 결과와 불일치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연구대상자의 자세운동형태(postural movement patterns)는 각기 다른 부하 정도와 시간에 따라 합성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여졌다. 특히, 자세운동형태는 부하의 적용위치와 연구대상자의 최근의 경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자세운동형태는 중앙신경계의 제한적(한정적) 명령 시스템에 의해서 움직임(movement)이 발생하기 전에 조직된다는 Nashner의 가설을 뒷받침하였다.

  • PDF

Comparison of Kinetic Variables and Muscle Activity of Ankle Joint During Walking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Diabetic Plantar Ulcers (보행 시 정상인과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의 족관절 운동역학적 변수와 근활성도 비교)

  • Kwon, Oh-Yun;Choi, Kyu-Hwan
    • Physical Therapy Korea
    • /
    • v.8 no.4
    • /
    • pp.45-61
    • /
    • 2001
  • 본 연구는 보행주기 동안 정상인과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의 족관절 운동역학적 변수와 족관절 근육들의 근활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당뇨병성 족부궤양이 있는 환자 9명(남자: 6명, 여자: 3명)과 성, 연령, 체중으로 짝짓기(matching)시킨 대조군 9명이었다. 3차원 동작분석기, 힘판,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보행주기 동안 족관절의 관절가동범위, 모멘트(moment), 일률(power), 그리고 내측가자미근, 전경골근, 비복근의 근수축 개시시간(onset time)과 종료시간(cessation time)을 측정하였다. 정상군과 비교하여 당뇨병성 족부궤양군의 보행속도는 느렸고, 입각기 기간이 길었으며, 족관절의 가동범위가 적었고, 족관절 최대 족저굴곡 모멘트와 일률이 정상군에서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보행주기에서 당뇨병성 족부궤양군에서 내측 가자미근과 비복근의 근수축 개시시간은 유의하게 빨랐으며, 전경골근과 비복근의 근수축 종료시간은 유의하게 지연되었다.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군의 족관절 근육에서 동시수축(co-contraction)이 증가되고, 보행속도가 느리며, 입각기 기간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보행특성의 차이는 족부 감각손실에 따른 보행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행전략 때문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이러한 비정상적인 보행특성이 당뇨병성 족부궤양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족저부 압력분포과 족부궤양 발생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Muscle Sizes from Ultrasound Images and Endurance Time with/without Experience of Low Back Pain : Pattern of Recruiting Trunk Muscles (요통경험 유무에 따른 초음파 영상에서 측정된 근육크기와 근지구력 시간과의 관계: 유지 시간에 따라 동원된 체간근육 특성)

  • Kim, Hye-Yeon;Kim, So-Yeon;Lee, Hae-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4
    • /
    • pp.235-243
    • /
    • 2011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thickness of the trunk muscles ie. external obliques (EO), transversus abdominis (TrA), and multifidus and the trunk endurance strength in order to determin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low back pain (LBP) and the size of trunk muscles. Data were obtained from 50 subjects, aged between 19-29 years. Participants had no experience of spinal problems that had resulted in a restriction of normal activity or time-off work and no current spinal symptoms. Measurements of muscle thickness of the trunk muscles were collected at rest, contraction and 15 seconds of post contraction during endurance strength tests. Background information was obtained followed all physical measure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experience of LBP. In draw-in maneuver,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rA was observed in all participants while EO was decreased at contraction in group 1 and increase in group 2. Only subjects in the group 2 had TrA increased during the flexion endurance test. In the side-bridge endurance test, the thickness of the right TrA was also observed differently between groups.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may suggest that a function of specific muscle should be addressed for training persons with LBP.

Studies on the ATpase Activity , Relaxing Activity and Calcium Uptake of Rabbit Skeletal Muscle Microsomes (골격근 microsome 의 ATMase 의 활성, 골이이오나용, 및 Ca 흡수작용에 관한 연구)

  • 하두봉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10 no.2
    • /
    • pp.1-8
    • /
    • 1967
  • 토끼의 골격근 homogenate에서 23,000$\times$G, 60 분간의 원심분리와 얻은 근 microsome의 ATPase 활성, 근수축에 대한 이완작용, 및 Ca 의 흡수작용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ATPase 활성은 Ca++ Mg++ 양 이온의 존재에 의하여 활성화되며 , 5 mM Mg++ 의 존재하에서는 Ca++ 의 최적농도는 0.1mM이다. Oxalate의 존재하에서는 1 mM 의 Ca++ 이 최적농도이므로 oxalate의 작용은 불용성 Ca-oxalate의 작용은 불용성 Ca-oxalate를 microsome vesicle so 및 medium 내에 침전시켜 유리 Ca++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Microsome의 이완작용은 조제후 120 시간까지 시간에 따라 감소되어 가나, 그이 ATPase 활성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Ca++ + Mg++ -의존성 ATPase 는 이완작용에는 직접 관련이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Oxalatedmlwhswo는 microsome의 Ca++ 흡수량을 현저히 증대시키며 동시에 흡수포화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킨다. Oxalate의 이러한 효과도 Ca-oxalate의 형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Microsome 내에 축적되는 Ca 의 량은 ATP 농도가 커질수록 많아진다. 그러나 축적된 Ca 의 량과 ATP 농도사이에 화학정량론적 관계는 없는 것같다.

  • PDF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Color of Mungbean Sprouts Affected by Water Supplying on the Harvest Day (수확당일의 관수 유무에 따른 숙주나물의 형태 및 색상 변화)

  • Hong, Dong-Oh;Jeon, Seung-Ho;Lee, Chang-Woo;Kim, Hong-Young;Kang, Jin-Ho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3 no.1
    • /
    • pp.28-33
    • /
    • 2008
  • Traditionally mungbean (Vigna radiata L.) sprouts has been stored after dehydration to decrease their decay. The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 of watering for final 12 hours of harvest day on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color of mungbean sprouts. The seeds of cv. Zhong Lu 1 were soaked in 50 ppm BA solution immediately before 4 hour aeration and then cultured for 6 days, when water-supplied for final 12 hours or not. After packaged with PE envelops, the sprouts stored 5 days at $8^{\circ}C$,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s, fresh and dry weights, and colors were measured everyday. Compared to non-water supplied, water supplied sprouts had thicker hypocotyl diameter in middle part, and higher total fresh weight due to increment of cotyledon and hypocotyl ones although the two sprouts did nearly same in other characters. Only nonwater supplied sprouts showed higher color b value in hypocotyl than water supplied ones although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in other color-related characters, meaning that the latter ones were more rapidly decayed during their storage. In non-water supplied sprouts, number of lateral roots, hypocotyl and root lengths, total fresh weight, brightness of hypocotyl and root was decreased since 3 days after storage but cutting resistance of hypocotyl was done since 5 days.

A Study on the Changes in Motor Unit Action Potential, EMG Power Spectrum, and Pressure Pain Threshold of Masticatory Muscles during Sustained Fatiguing Contraction (피로를 유발하는 지속적인 근수축 동안 저작근의 운동단위전위, 근전도 power spectrum, 압력통각역치 변화에 대한 연구)

  • Kim, Cheol;Kim, Young-Jun;Kim, Kyung-Ny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3
    • /
    • pp.261-276
    • /
    • 2001
  • 본 연구는 구강안면동통 중에서 빈번히 나타나는 근육성 동통의 주 원인인 저작근의 과활성으로 유발된 근육의 피로 시에 운동단위전위, 압력통각역치, 근전도 power spectrum의 변화 양상과 이들 척도간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두개하악장애의 병력 및 현증이 없고 정상적인 구치부 교합관계를 가진 평균연령 25.8세인 36명의 정상 성인(남자 26명,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교근과 전측두근의 지속적인 등길이 수축 전후의 압력통각역치 및 운동단위전위를 측정하였고 인내시간까지의 근수축 동안 근전도 power spectrum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지속적인 등길이 수축 후 교근과 전측두근의 압력통각역치는 수축 전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압력통각역치는 수축 전과 수축 후 모두에서 전측두근이 교근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으나 성별간의 차이는 전측두근의 수축 후 압력통각역치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3. 지속적인 등길이 수축말기의 중간주파수는 수축초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전측두근의 수축초기 중간주파수와 수축말기 중간주파수 모두 교근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4. 교근은 지속적인 등길이 수축 전에 비하여 수축 후의 운동단위전위의 지속시간,진폭, 면적, 상의 4가지 척도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전측두근은 진폭을 제외한 나머지 3가지 척도, 즉 지속시간, 면적, 상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5. 교근과 전측두근의 지속적인 등길이 수축 전의 압력통각역치와 운동단위전위 척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교근에서는 수축 후의 압력통각역치와 운동단위전위의 지속시간, 진폭, 면적, 상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위의 실험결과를 통해 근육피로 검사에 압력통각역치, 근전도 power spectrum 검사 외에 근육수축의 기능적 최소 단위인 운동단위전위의 분석 또한 유용할 수 있고 추후 만성으로 진행된 근막동통환자와 정상 대조군간의 운동단위 수준에서의 비교연구와 근피로에 더욱 민감한 운동단위전위의 다른 척도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A Study of Postural Control Characteristics in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

  • Lee, Hyoung Soo
    • 재활복지
    • /
    • v.14 no.3
    • /
    • pp.225-256
    • /
    • 2010
  •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the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y designing new framework of the features of postural control for the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or this, the study investigated what sensations the schoolchild are using to maintain posture by selectively or synthetically applying vision, vestibular sensation and somato-sensation, and how the coordinative sensory system of the schoolchild is responding to any sway referenced sensory stimulus. The study intended to prove the limitation of motor system in estimating the postural stability by providing the cognitive motor task, and provided the features of postural control of the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y measuring the onset times and orders of muscle contraction of neuron-muscle when there is a postural control taking place due to the exterior disturbance. Furthermore,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schoolchild and the intellectually disabled schoolchild, this study provided an optimal direction for treatment planning when the rehabilitation program is applied in the postural control ability training program for the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aking gender and age into consideration, 52 schoolchild including 26 normal schoolchild and 26 intellectually disabled schoolchild were selected. To measure the features of postural control, CTSIB test, and postural control strategy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experiment is as followed. First, the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different feature in using sensory system to control posture. The normal schoolchild tended to depend on somato-sensory or vision, and showed a stable postural control toward a sway referenced stimulus on somato-sensory system. The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ended to use somato-sensory or vision, and showed a very instable postural control toward a sway referenced vision or a sway referenced stimulus on somato-sensory system. In sensory analysis, the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lower level of proficiency in somato-sensation percentile, vision percentile and vestibular sensation percentile compare to the normal schoolchild. Second, as for the onset times and orders of muscle contraction for strategies of postural control when there is an exterior physical stimulus, the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a relatively delayed onset time of muscle control, and it was specially greater when the perturbation is from backward. As for the onset orders of muscle contraction, it started from muscles near coax then moved to the muscles near ankle joint, and the numbers and kinds of muscles involved were greater than the normal schoolchild. The normal schoolchild showed a fast muscle contracting reaction from every direction after the perturbation stimulus, and the contraction started from the muscles near the ankle joint and expanded to the muscles near coax.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special feature of the postural control of the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s that they have a higher dependence on vision in sensory system, and there was no appropriate integration of swayed sensation observed in upper level of central nerve system. In the motor system, the onset time of muscle contraction for postural control was delayed, and it proceeded in reversed order of the normal schoolchild. Therefore, when use the clinical physical therapy to improve the postural control ability, various sensations should be provided and should train the schoolchild to efficiently use the provided sensations and use the sensory experience recorded in upper level of central nerve system to improve postural control ability. At the same time, a treatment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processing ability of central nerve system through meaningful activities with organizing and planning adapting reaction should be provided. Also, a proprioceptive motor control training program that can induce faster muscle contraction reaction and more efficient onset orders from muscularskeletal system is need to be provided as well.

The Effect of Motor Imagery on Onset Time of Leg Muscle and Ankle Injury Score of Patien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상상운동이 기능적 발목관절 불안정성 환자의 하퇴 근육 근수축 개시시간 및 발목손상 척도에 미치는 영향)

  • Lim, Hyoung-Wo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v.24 no.1
    • /
    • pp.7-14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or imagery on the onset time of the leg muscle and ankle injury score of patien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Methods: The study included 16 patients with ankle instability after their ankle sprains. Motor imagery was performed 3 times a week for 4 weeks. The onset time of leg muscles was measured by using the surface EMG in one leg standing position on tibialis anterior, peroneous longus and medial, lateral gastrocnemius.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was measured by using the ankle injury score. Data was analyzed by a paired t-test. Results: The onset time was reduc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order of muscle recruitment was changed. Anke injury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motor imagery (p<0.05).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motor imagery was effective by showing delayed onset time of peroneal muscle in patien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In future studies, various conditions and disorders should all be considered for the effective analysis of motor imag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