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섬유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4초

넙치 근육 및 근소포체 미세구조의 변화에 미치는 전기자극의 영향 (Effects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Ultrastructure of Plaice, Paralichthys olivaceus Muscle and Sarcoplasmic Reticulum)

  • 김태진;김영진;윤호동;조영제;최영준;이근우;김건배;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53-559
    • /
    • 1998
  • 근육의 미세구조는 즉살의 경우, 근섬유의 A대, I대 및 M-line이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나, 전기 자극한 것은 근섬유의 가는 섬유가 굵은 섬유 사이로 미끌어져 들어가 I대가 불분명하였으며. 자극 시간이 길어질수록 Z-line의 연속성은 현저하게 소실되었다. 근소포체의 미세구조는 즉 살의 경우, Z-line을 사이에 두고 원래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전기 자극한 것은 자극 시간이 길어질수록 근소포체가 뭉쳐지거나 파괴된 형태를 보이고 있었으며, 저장 10시간째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근소포체의 $Ca^{2+}$-translocation을 살펴본 결과. 즉살 직후에는 근소포체 내부에 $Ca^{2+}$이 관찰되었으나. 전기자극을 가한 것은 근섬유에 분포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전기자극 시간이 길어질수록 현저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10시간 후에는 즉살에서도 근섬유에 $Ca^{2+}$이 관찰되었다.

  • PDF

도축한우에 있어서 근육지방증 (Steatosis in a Slaughtered Korean Native Cattle)

  • Do, Sun-Hee;Lee, Cha-Soo;Jeong, Won-Il;Chung, Jae-Yong;Jeong, Da-Hee;Noh, Dong-Hyung;An, Mi-Young;Jee, Young-Heun;Lee, Mi-Na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0-352
    • /
    • 2002
  • 2002년 5월 도축중 발견된 거세수소의 근육 병변에 대한 검사 의뢰가 들어왔다. 이 병변의 육안적 소견은 광범위한 근육의 지방침윤이었고,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근섬유가 지방조직에 의해 대치된 것이 관찰되었으며, 기타 염증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증례는 골격근의 광범위한 부분이 지방조직으로 대치된 지방증(steatosis)으로 진단되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전이개에 발생한 유아성 근섬유종 1례 (A Case of Infantile Myofibroma in the Pre-auricular Area)

  • 김덕수;장규호;김정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13
    • /
    • 2016
  • Infantile myofibromatosis is a rare benign neoplasm which is usually found in males. Most cases of the infantile myofibromatosis are discovered before the age of two years and about half of cases are found at muscle, tendon, and soft tissue of head-neck region. However, it is especially uncommon that infantile myofibroma occurs at the pre-auricular area. In current case, we report a twenty two months old male patient with $2.5{\times}1.5cm$ sized pre-auricular mass at right side. It was surgically removed and histologically showed broad bundle of plump myoid spindle cells with eosinophilic cytoplasm and weakly positive smooth muscle actin expression in myoid cells. In three months of follow up, there was no recurrence.

백서에 있어서 incision 중지가 하악두 연골의 성장 및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SS OF INCISAL FUNCTION ON THE GROWTH ACTIVITIES AND ULTRASTRUCTURE OF THE CONDYLAR CARTILAGE IN THE RAT)

  • 배용철;박매자;주강;경희문;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69-586
    • /
    • 1994
  • 성장기 백서에 있어서 상악 및 하악 절치의 제거와 soft diet 투여시에 있어서 하악과두의 후상부와 상부에서의 연골의 성장, 연골층의 두께 및 미세구조 그리고 교근의 천층 및 악이복근의 근섬유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과두연골의 후상부 및 상부에서, 섬유층과 증식층의 두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1), 후상부에서의 감소정도는 상부보다 컸었다. 그러나 성숙세포층, 비대세포층 및 연골 전체의 두께는 대조군에 비해 차이가 없었다. $^3H-thymidine$투여 후 시간경과에 따른 각 층의 세포표지율은 상부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차이가 없었으나 후상부에서는 투여후 1일과 2일 경과군에서는 성숙세포층, 4일 경과군에서는 비대세포층의 표지율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므로서 (p<0.01) 상악 및 하악 절치의 제거와 soft diet투여로 과두 후상부에 가해지는 기계적 부하의 감소로 인해 이 부위의 연골성장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에 있어서, 하악과두는 상부에 비해 후 상부방향으로 더 빨리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근의 천층에서, type IIA 근섬유의 직경은 변화하지 않았으나 type IIB 근섬유의 직경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1). 악이복근의 전복에서, type I 근섬유의 직경은 변화하지 않았으나 type IIA, type IIB 근섬유의 직경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하악과두 연골의 미세구조에 있어서는 증식층, 성숙세포층 및 비대세포층은 모두 후상부와 상부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할 만한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섬유층에서, 상부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차이가 없었으나 후상부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군 후상부의 섬유층에서는 대조군처럼 관절강에 인접한 세포와 증식층에 인접한 세포사이의 미세구조적 차이는 인지되지 않았으며, 흡수기능을 가진 세포에서 보이는 손가락 모양의 많은 세포돌기, 세포막을 따라 나타나는 수 많은 미음소포, 발달된 용해소체, 사립체 그리고 불규칙한 모양의 핵 등과 같은 대조군의 관절강에 인접한 세포에서 많이 나타나는 특징은 미약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세포간 기질을 개조하는 활동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한우 태아기 6, 9개월령 등심 조직의 전사체 분석을 통한 근생성 및 지방생성 관여 유전자 발굴 (Transcriptome Analysis of Longissimus Tissue in Fetal Growth Stages of Hanwoo (Korean Native Cattle) with Focus on Muscle Growth and Development)

  • 정태준;정기용;박원철;손주환;박종은;채한화;권응기;안준상;;이지웅;임다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5-57
    • /
    • 2020
  • 동물의 근섬유는 배아기와 태아기를 거치며 형성하게 되며 출생 후에는 상처 치유를 위한 것 외에 근섬유 수를 늘리는 순수한 근섬유 형성은 없으며, 이미 존재하고 있는 근섬유의 비대로 근육의 성장이 이뤄진다. 따라서 태아기의 근육의 성장과 발달이 성체의 근육량 및 조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며 이 시기에 발현되는 유전자 및 기능을 구명하는 것은 최종적으로 육질, 육량에 개선시키기 위한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한우에서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한우 태아기 성장 단계별 근육의 성장과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기 위한 전사체 분석을 수행하였다. 한우 태아기 6, 9개월령 등심 조직 시료에서 생산한 전사체 자료를 대상으로 DESeq2와 edgeR을 활용하여 성장단계별 유전자의 발현량을 분석하여 차등발현유전자군을 추출했으며, 2개 소프트웨어서 공통적으로 추출된 유전자군(6개월령 특이 발현 유전자 913개, 9개월령 특이 발현 유전자 233개)을 차등발현유전자로 구명 하였다. 차등발현유전자군으로 분류하였다. 차등발현유전자군을 활용하여공발현 유전자 네트워크 분석을 구성하였으며, 유사한 발현 양상을 보이는 유전자들을 그룹화하여 6개월령 특이 발현 유전자군 5개, 9개월령 특이 발현 유전자군 2개의 모듈로 분류했다. 각 모듈은 Gene Ontology (GO) 및 KEGG pathway 분석으로 유의한 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한우 태아기 6, 9개월령 특이 발현 유전자 네트워크 중, 근육과 지방생성 대사회로와 관련된 2개의 모듈에 대해 네트워크 내에 허브 유전자를 선정할 수 있었다. STRING을 활용하여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MCC (maximal clique centrality) 점수를 활용하여 상위 10%의 유전자들을 공발현 분석의 모듈내 허브 유전자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6개월령 특이 발현 유전자군의 모듈에서는 axin1(AXIN1) 유전자, 9개월령 특이 발현 유전자군 모듈에서는 succinate-CoA ligase ADP-forming beta subunit(SUCLA2) 유전자가 허브 유전자로 확인되었다. AXIN1 유전자는 선행 연구를 통해 6개월령에서 9개월령으로 넘어가면서 근섬유 수의 증식이 억제되고 지방생성이 활발히 이뤄지는 것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시트르산 회로의 중요 요소인 SUCLA2 유전자는 소의 태아기 지방 조직 성장단계에 따라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된다는 보고에 따라, 지방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임을 알 수 있었다. 추후 한우 태아기 6, 9개월령에 특이적으로 발현된 유전자들을 대상으로 근육 및 지방 형성 관련 기능을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흰쥐 골격근의 노화성 위축에 대한 운동훈련의 영향 III.노화 흰쥐에 적용한 단기간의 운동훈련의 영향 (Effect of Exercise Training on Aging Atrophyin Rat Skeletal Muscle III. Effect of Short Term Exercise Training for Senile Rat)

  • 박승한;박원학;정형재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1-108
    • /
    • 1996
  • 본 실험은 골격의 위축이 일어난 노화 횐 쥐를 사용하여 단기간동안 트레드밀 훈련과 웨이트 트레이닝을 시켰을 때 골격근에 나타나는 변화들을 고찰하고자 고안되었다. 출생 후 24개월 된 수컷 횐 쥐를 사용하여 대조군과 트레드밀 훈련군, 웨이트 트레이닝군으로 구분하여 각 군별로 4주간 훈련시켜 각 군의 골격근은 조직 및 조직화학, 미세구조 및 세포 화학적 연구 및 입체해석학적 연구에 적용하였다. 각 훈련 기간동안 개체의 체중과 근육의 무게는 큰 변화가 없었고, 근섬유의 분포양상은 트레드밀 훈련군에서는 IIB형과 IIC형이 증가를 한 반면 IIA형은 감소를 하였고 I형의 근섬유 조성은 변화가 없었다 웨이트 트레이닝 후에는 IIA와 IIB형이 증가를 한 반면 IIC형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모든 근섬유 조성의 변화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노화 대조군의 조직구조 및 미세구조의 특징은 노화색소의 출현, 약한 수축대의 출현, 근섬유들의 분할현상 등이 관찰되었다 트레드밀 훈련 후에는 손가락형의 돌출부를 포함한 근초의 불규칙성이 나타났으며, 밝은 띠의 확장으로 인한 Z-선의 불규칙한 배열, 공포화, 장축과 평행한 근섬유의 분할현상이 나타났으며, 웨이트 트레이닝 후에는 많은 용해소체들과 함께 포식소자를 함유한 자가용해소체들이 나타났으며 심한 수축대가 나타났고 근원섬유들의 배열이 와해되는 현상도 나타났다. 조직화학 및 세포화학적인 측면에서 succinic dehydrogenase와 acid phosphatase는 활성도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Mg^{++}$-­ATPase의 활성은 훈련 후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미세구조의 입체해석학적 분석에서는 측량한 구조물들의 체적밀도와 수밀도는 변화가 거의 없었고 사립체 내막의 표면밀도만 트레드밀 훈련군에서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단기간의 지구력 훈련을 실시할 경우는 노화 골격근은 잘 적응하여 골격근의 위축 방지에 효율적이었으나 웨이트 트레이닝은 노화 골격근의 위축방지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 PDF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발목관절 각도에 따른 근 수축이 내측 비복근의 근 구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scle Activity on Muscle Architectural of Medial Gastrocnemius in Chronic Stroke Patient Based on Ankle Joint Degree)

  • 김태곤;배세현;김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991-399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발목관절 각도에 따른 근 수축이 내측 비복근의 근 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MAS(modified Ashworth scale) 2등급인 만성 뇌졸중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근육 두께, 우모각, 근섬유속 길이,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MVIC) 측정은 초음파 영상 촬영장치와 동력계로 이완 시(resting)와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 시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근육 두께는 마비측이 정상측에 비해 유의하게 얇은 것으로 나타났고(p<.001), 발목이 저측굴곡 될수록 얇아짐을 알 수 있었다. MVIC에서는 이완 시보다 근육 두께가 유의하게 얇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1). 우모각은 마비측이 정상측에 비해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고(p<.001), 발목이 저측굴곡 될수록 커짐을 알 수 있었다. MVIC에는 이완 시보다 우모각이 유의하게 커짐을 알 수 있었다(p<.001). 근섬유속 길이는 마비측이 정상측보다 유의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고(p<.001), 발목이 저측굴곡 될수록 짧아짐을 알 수 있었다. MVIC에는 이완 시보다 근섬유속 길이가 유의하게 짧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1). 본 연구를 통해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발목 각도에 따른 근 수축이 내측 비복근의 근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만성 뇌졸중 환자의 영상구조적 특성을 평가하는 것은 임상적 진단과 치료에 매우 유용한 자료라 생각된다.

TBTCl 노출에 의한 대복,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외투막의 미세구조적 변화 (Ultrastructural Changes in the Mantle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Exposed to TBTCl)

  • 박정준;김석렬;박명애;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13-221
    • /
    • 2011
  • TBTCl에 36주 동안 노출된 대복, Gomphina veneriformis 의 미세구조적인 변화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대복의 외투막은 가장자리에 4개의 주름을 가지며, 내부와 외부상피층이 단층의 원주형 상피세포, 섬모세포, 분비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 상피층은 혈림프동이 존재하는 결합조직층을 둘러싸고 있었다. 대복의 외투막은 TBTCl 노출 12주째 내부상피층에 존재하는 섬모의 수가 감소하였으며, 혈림프동의 확장과 함께 격막의 파괴가 관찰되었다. 노출 20주째 세포질내의 공포형성, 핵응축과 같은 변화가 관찰되었고, 결합조직층에서는 근섬유다발의 분절이 부분적으로 관찰되었다. 노출 28주째 상피층의 부분적인 붕괴, 섬모의 변화 및 섬모세포에 존재하는 미세구조가 괴사되었다. 결합조직층에 존재하는 다수의 근형질막은 팽창되었으며, 막의 내부에는 근섬유들이 대부분 파괴되어 막 주변에 근섬유 잔여물들이 관찰되었다. 노출 36주째에는 섬모들은 모두 탈락되고, 핵 응축되고, 이형소체의 증가가 나타나는 퇴행성 상피세포가 나타났다. 외부상피층의 상피세포들이 괴상되어 핵이 파괴되고, 세포질 내에는 다수의 용해소체들이 가득 차 있었으며, 미세융모들은 대부분 소실되었다. 따라서 만성적인 TBTCl 노출은 대복의 외투막은 각장성장 및 생리적인 기능의 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회성 유산소운동 후 쥐의 골격근에서 toll-like receptor4, IL-6, TNF-α 및 suppressor of cytokine signaling-3의 근섬유 형태 특이적 발현 (Fiber Type Specific Expression of Toll-like Receptor4, IL-6, TNF-α, and Suppressor of Cytokine Signaling-3 after Acute Exercise in Rat Skeletal Muscles)

  • 이원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59-126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일회성 유산소 운동이 TLR4, IL-6, TNF-${\alpha}$, SOCS-3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쥐의 골격근에서 살펴보는데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일회성 운동의 영향이 근섬유 형태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지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었다. 실험은 Balb/c 수컷 쥐(male: 7주령, 몸무게 $22.78{\pm}0.27g$) 13마리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조군과 운동군으로 무선배정되었다. 운동은 일회성으로 지칠 때까지 트레드밀 운동(경사도 $10^{\circ}$, speed 17 cm/sec 10 min, 33 cm/sec 10 min, 50 cm/sec)을 실시하였으며, 운동 후 24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가자미근과 족저근을 적출하였다. 가자미근과 족저근의 TLR4, IL-6, TNF-${\alpha}$, SOCS-3 mRNA 수준 변화는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일회성 유산소 트레드밀 운동은 가자미근에서 TLR4 mRNA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지만, 족저근의 TLR4 mRNA 발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IL-6, TNF-${\alpha}$, SOCS-3 mRNA 발현은 가자미근에서 일회성트레드밀 운동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하지만 족저근에서 이들 유전자의 mRNA 발현은 일회성 운동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TLR4, IL-6, TNF-${\alpha}$, SOCS-3와 같은 면역관련 유전자의 발현 수준은 일회성트레드밀 운동에 의해 근섬유 형태 특이적으로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백서의 총담관 결찰에 의한 간 섬유화의 초미세구조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Ultrastructur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Hepatic Fibrosis after the Lig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in Rats)

  • 문경래;노영일;서우철;박영봉;김만우;서재홍;박상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권2호
    • /
    • pp.185-193
    • /
    • 1999
  • 목 적: 답즙 정체를 주 소견으로 하는 만성 간질환의 대부분에서 담소관의 증식과 간섬유화가 관찰된다. 특히 간외 담도 폐쇄증에서 가장 현저하다. 그러나 섬유화의 병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총담관 결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담소관의 증식과 간섬유화의 진행과정 및 간섬유화에 대한 Ito 세포의 역할을 형태학적으로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방 법: 건강한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대상으로 총담관을 결찰한 후 15일, 21일, 24일, 28일째에 도살하여 담소관의 증식과 간 섬유화의 진행과정을 smooth muscle act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과 전자현미경적 검사를 하였다. 결 과: 1) 총담관 결찰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간문맥 중심으로 담소관의 증식과 결체조직의 증식이 증가하였다. 2)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에서 활성화된 Ito 세포는 smooth muscle actin에 양성반응을 보였고, 총담관 결찰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담소관주위와 동모양혈관 주의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3)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총담관결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Ito 세포가 증가하였으며, 지방적의 수가 감소한 근섬유모 세포를 닮은 Ito 세포와 근섬유모 세포의 수가 증가하였다. 결 론: 총담관 결찰후에 볼 수있는 간 섬유화는 활성화된 Ito 세포의 증가와 Ito 세포가 교원질을 분비하는 근섬유 모세포로 변형되기 때문에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