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로

Search Result 26,516,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The Effect of Water Exercise on Muscles of the Low-limbs depend on the Depth (수심차이에 따른 수중운동이 하지 근육에 미치는 영향)

  • Jung, Yeon-Woo;Yoon, Se-Won;Doo, Young-Tae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 /
    • v.5 no.3
    • /
    • pp.351-362
    • /
    • 2010
  • 연구목적 : 수심 깊이에 따른 수중운동이 하지근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신경근골격계 질환이 없는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무작위로 수성 0.7m 그룹과 1.4m 그룹으로 배치하였다. 수중운동은 1회 40분, 주 3회 6주 동안 적용하였다. Ultrasound MyLab25(Esaote, Italy)를 이용하여 하지근육의 우모각과 밀도를 실험전과 후에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 골격근 구조의 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우모각 변화를 비교한 결과 0.7m 그룹의 오른쪽 넙다리곧은근과 왼쪽 넙다리곧은근, 앞정강근 그리고 장딴지근에서, 1.4m 그룹의 오른쪽 앞정강근과 장딴지근, 왼쪽 넙다리곧은근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05), 수심 깊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또한, 질적 특성을 나타내는 근육 영상 밀도 변화를 비교한 결과 0.7m 그룹의 오른쪽 넙다리곧은근, 장딴지근과 왼쪽 넙다리곧은근, 앞정강근, 장딴지근에서 1.4m 그룹의 양쪽 넙다리곧은근, 앞정강근, 장딴지근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특히 1.4m 그룹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나 수심 깊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수심 차이에 관계없이 수중운동 후 근밀도와 우모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mparative Anatomy of the Korean Native Goat 4. Muscles of the Pelvic Limb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비교해부학적(比較解剖學的) 연구(硏究) 4. 후지근(後肢筋)에 관하여)

  • Kim, Yong Keun;Yoon, Suk Bong;Moon, Hi Cheol;Cho, Sa Sun;Lee, Heung Sik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16 no.2
    • /
    • pp.205-219
    • /
    • 1976
  •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 12마리의 후지근(後肢筋)을 절개하여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후지근(後肢筋)에서는 다음과 같은 근(筋)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 소요근(小腰筋) M. psoas minor, 대요근(大腰筋) M. psoas major, 장골근(腸骨筋) M. iliacus, 요방형근(腰方形筋) M. quadratus lumborum, 대퇴근막장근(大腿筋膜張筋) M. tensor fasciae lata, 중둔근(中臀筋) M. gluteus medius, 심둔근(深臀筋) M. gluteus profundus, 둔이두근(臀二頭筋) M. gluteobiceps, 반건양근(半腱樣筋) M. semitendinosus, 반막양근(半膜樣筋) M. semimbranosus, 봉공근(縫工筋) M. sartorius, 박근(薄筋) M. gracilis, 치골근(恥骨筋) M. pectineus, 내전근(內轉筋) M. adductor, 대퇴방형근(大腿方形筋) M. quadratus femoris, 외폐쇄근(外閉鎖筋) M. obturatorius externus, 내폐쇄근(內閉鎖筋) M. obturatorius internus, 쌍자근(雙子筋) M. gemelli, 대퇴사두근(大腿四頭筋) M. quadriceps femoris, 제삼비골근 M. fibularis tertius, 내측지신근(內側趾伸筋) M. extensor digitorum medialis, 장지신근(長趾伸筋) M. extensor digitorum longus, 전경골근(前脛骨筋) M. tibialis cranialis, 장비골근 M. fibularis longes, 외측지신근(外側趾伸筋) M. extensor digitorum lateralis, 비복근 M. gastrocnemius, 가제미근(筋) M. soleus, 천지굴근(淺趾屈筋) M.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심지굴근(深趾屈筋) M. flexor digitorum profundus, 슬와근(膝窩筋) M. popliteus, 골간근(骨間筋) M. interosseus medius. 2. 천둔근(淺臀筋)의 전부(前部)는 대퇴근막장근(大腿筋膜張筋)과 융합된 것 같고, 후부(後部)는 대퇴이두근(大腿二頭筋)과 융합된 것 같다. 그러나 천둔근(淺臀筋)의 후부(後部)와 대퇴이두근(大腿二頭筋)이 결합된 것으로 생각되는 부분에는 완전융합이 일어나지 않고 천둔근(淺臀筋)을 구분(區分)할 수 있을 정도로 표면으로 2근(筋)을 분리(分離)할 수 있었다. 3. 외측지신근(外側趾伸筋)과 내측지신근(內側趾伸筋)의 건(腱)은 부전골의 원위(遠位) 1/3부(部)에서 서로 건막성(腱膜性)띠에 의하여 서로 연결 되었는데, 이 건막성(腱膜性) 띠는 건섬유(腱纖維)의 방향(方向)으로 보아 외측지신근(外側趾伸筋)의 건(腱)에서 분리(分離)되어 나온 한 가지 (branch)가 내측지신근(內側趾伸筋)의 건(腱)으로 이행되고 있었다. 4, 양(羊)에서 볼 수 있는 이상근(梨狀筋) M. piriformis과 장모지신근(長母趾伸筋) M. extensor hallucis longus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Part-time Work in the UK: From Married Women's Work to Universal Flexible Work? (영국의 시간제 근로: 기혼 여성의 일에서 보편적 유연근로로의 변화?)

  • Woo, Myungsook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17 no.1
    • /
    • pp.325-350
    • /
    • 2011
  • This article examines part-time work in the UK in terms of its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contexts. Part-time jobs developed early due to the UK's liberal market institution and low level of public support for female employment. A large proportion of the employed women (about 40 percent) work part-time. Part-time work has been largely for married women. The expansion of part-time work in the UK was primarily market-driven and led by employers. Married women have worked part-time work primarily to accommodate their family responsibilities.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in labor market regulation in the UK since 1997. The Labor government legislated the Part-time Workers Regluations in 2000 to protect part-time workers. The government has also changed and newly implemented various laws and policies for work-life balance. There has been a real progres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part-time work overall. Nevertheless, we have not seen qualitatively different results in terms of female employment patterns and the qualify of part-time work so far. It has been largely constrained by the government's liberal orienation and voluntarism of labor relations in the UK.

Occupational Injuries in Korea : A Comparison of Blue-Collar and White-Collar Worker's Rates and Underreporting (특집 - 제2회 산업보건학술제 수상 논문 - 한국의 산업재해 : 사무직과 생산직 근로자의 손상률 비교와 낮은 산재 보고율 -)

  • Won, Jong-Uk
    • 월간산업보건
    • /
    • s.260
    • /
    • pp.69-81
    • /
    • 2009
  • $\bullet$ 목적 본 연구는 한국의 생산직 근로자와 사무직 근로자의 직업성 손상 및 질환의 차이를 비교하고 산재보고 축소(underreporting)의 규모를 추정하고자 수행되었다. $\bullet$ 방법 한국의 경인지역에서 구축된 근로자 건강진단 수진자 코호트와 1999-2001년 사이에 재직 중이었던 근로자의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였다. 근로자의 직무내용과 건강진단의 종류(특수건강진단 및 일반건강진단)로 사무직과 생산직 근로자로 구분하였으며, 이들 사이의 근골격계질환과 손상 및 중독에 해당하는 건강보험 이용률의 차이를 신고되지 않은 산재로 추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수율, 산재발생률 및 재해율을 계산하였다. $\bullet$ 결과 생산직 근로자는 사무직 근로자보다 100 인년 당 3.47건 더 높은 건강보험이용률을 보였다. 이를 토대로 추정한 한국의 도수율은 12.57-18.1, 재해율은 2.74-3.29, 산재발생률은 3.62-5.44이었다. $\bullet$ 결론 한국 제조업의 산재발생률은 공식적인 통계보다 2-3배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연구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 PDF

노무연재 ⑳ - 금요일 4시 조기퇴근제도

  • Hong, Su-Gyeong
    • 월간 기계설비
    • /
    • s.322
    • /
    • pp.112-115
    • /
    • 2017
  • 근로기준법상 법정근로간은 1일 8시간, 주40시간입니다. 정부는 4월 14일부터 인사혁신처를 시작으로 금요일 조기퇴근제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주40시간 범위내에서 월~목까지 매일 30분씩 연장 근로하는 대신 한달 중 금 1회 오후 4시에 조기퇴근하는 방식으로 운용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공공기관에서는 이미 유연근로시간제가 실시되고 있는 사업장도 있고 별도 연장 근무 없이 Family day 또는 culture day 등으로 명명하고 월 1회 조기 퇴근하는 제도를 운용하고 있기도 합니다. 기존에 자율적으로 기업형편에 따라 실시되었던 유언근로시간제와 더불어 금 조기퇴근제도는 공기업을 중심으로 좀 더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국가공무원법이 적용되는 공무원과 달리 민간부문에서 유연근로시간제도를 도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근로기준법을 준수하여야 하므로 법률에서 정한 유연근로시간제도의 유형에 따라 취업규칙의 변경 또는 근로자대표와의 서면합의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금요일 4시 조기퇴근제도는 탄력적 근로시간제도의 일 유형이라고 볼 수 있기에 이번 호에서는 탄력적 근로시간제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 PDF

Effects of Cervical Stabilization Exercise on Cranio Vertebral Angle, Deep Neck Flexor Muscle Endurance and Suboccpital Muscle Tonus in Collage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목뼈안정화운동이 전방머리자세 대학생의 머리뼈척추각, 깊은목굽힘근 근지구력과, 뒤통수근 긴장도 미치는 영향)

  • Mi-Seon Ko;Jin-Wook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05-307
    • /
    • 2023
  • 본 연구는 전방머리자세 대학생을 대상으로 목뼈안정화운동이 머리뼈척추각, 깊은목굽힘근 지구력 및 뒤통수밑근 근긴장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 결과 CSEG에서 CVA, DNFET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뒤통수근 근긴장도에서는 경직도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목뼈 안정화운동은 목뼈의 중립자세를 유지하면서 깊은목 굽힘근 활성화되고 근지구력이 향상되었으며, 턱을 당기는 동작으로 튀통수근의 경직이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지구력 증가시키고 근 긴장도에 감소는 통증을 조절함에 있어서도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목뼈안정화운동은 깊은목굽힘근과 뒤통수근의 개선을 위한 중재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전방머리자세 예방하기 위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 of the Height of Occlusal Appliance on Masticatory Muscles in Various Body Postures (다양한 자세에서 교합장치의 두께가 저작근에 미치는 영향)

  • Park, Kye-Ra;Suh, Bong-Ji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6 no.1
    • /
    • pp.51-58
    • /
    • 2001
  • 다양한 자세에서 교합장치의 두께가 저작근에 미치는 영향을 근전도학적으로 평가하고자, 측두하악장애의 징후와 증상이 없고 정상교합을 가진 성인 8명을 대상으로, 교합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와 4.3, 6.0, 8.1mm 두께를 가진 교합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직립위, 식사위 그리고 앙와위에서 최대 이악물기 상태의 좌, 우측 교근 몇 전측두근의 근활성도를 채득,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측두근에서는 교합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보다 교합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근활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0.05), 교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2. 직립위에서 전측두근의 근활성은 교합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보다 8.1mm 두께의 교합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3. 식사위에서 전측두근의 근활성은 교합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보다 8.1mm 두께의 교합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4. 앙와위에서 전측두근의 근활성은 교합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보다 4.3, 6.0, 8.1mm 두께의 교합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 PDF

The Analysis of Balance and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Stair Height Gait Training in Adult Hemiplegia (성인 편마비환자의 계단 높이에 따른 보행훈련시 균형 및 근활성도 분석)

  • Choi, yoon-hee;Kim, 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81-182
    • /
    • 2012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성인 편마비 환자의 계단 높이에 따른 보행 훈련을 통하여 균형과 근활성도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편마비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5cm, 10cm, 15cm 높이의 계단 보행 훈련군으로 나누어 계단 보행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임상적 균형능력 측정도구인 Berg Balance Scale(BBS), Timed up and go(TUG), Functional Reach Test(FRT)와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균형변화에서는 세 군간 계단 보행 훈련 전과 후의 균형 변화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5), 10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가장 큰 변화량을 보였다. 근활성도변화에서는 계단 오르기시 10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장딴지근, 15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모든 근육들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계단 내리기시 근활성도 변화에서는 5cm 높이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앞정강근와 장딴지근, 10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모든 근육들이, 15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장딴지근이 통계학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따라서, 높이에 따른 계단 보행 훈련은 편마비 환자의 임상적 균형 능력과 근활성도를 변화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10cm 높이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는 다른 높이의 계단 보행 훈련군에서 보다 약간 상대적인 증가를 보였다.

  • PDF

The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 and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Mediating Effect of Intention to Continue Work (장애 임금근로자의 근로환경과 업무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속근무 의도의 매개효과)

  • Lee, Hyou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347-34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장애 임금근로자의 근로환경, 업무특성, 지속근무 의도, 직무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을 통해 장애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자료는 장애인고용패널 2차웨이브 6차년도 패널데이터 중 15세이상 임금 장애근로자 1,582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장애 임금근로자의 근로환경은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지속근무 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장애 임금근로자의 업무특성은 지속근무 의도와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장애 임금근로자의 지속근무 의도는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 임금근로자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 사이에 지속근무 의도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섯째, 장애 임금근로자의 업무특성과 직무만족도 사이에 지속근무 의도는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The Effect of STM using Instrument or Manual Therapy on Muscle Activity (도구나 수기를 이용한 연부조직 가동술이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Kim, Chung-Yoo;Kang, Jong-Ho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9
    • /
    • pp.200-205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strument-assisted soft mobilization (IASTM) and manual myofascial release (MFR) on the muscle activity of the biceps brachii.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0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3 days and measured muscle activity of the upper forearm muscles. On the first day, the muscle activity value was measured before the intervention, and the remaining two days were measured for muscle activity after the intervention of each manual therapy in a random order. All muscle activity valu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dependent t test and the independent t test. The before and after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values before and after each intervention was verified by performing the dependent t test and comparing the values of muscle activity between groups between each intervention after intervention by performing an independent t 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both interven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muscle activity of the biceps brachii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values between groups after intervention. Therefore, both manual therapy (IASTM, MFR) are though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neuromuscular control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