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대디자인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5초

암스테르담 거래소에서 보이는 근대성에 관한 연구 - 베를라헤의 빌라 프로젝트가 암스테르담의 거래소의 디자인에 미친 영향에 관하여 - (H. P. Berlage's Modern in The Amsterdam Exchange - The Amsterdam Exchange and H. P. Berlage's Villa Project between 1892 and 1896 -)

  • 강태웅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4-23
    • /
    • 2006
  • As a proto-modernist work the Amsterdam Exchange has been regarded as a specimen of Structural Rationalist's architecture. Because of its ma]or steel structure, use of geometry, and reminiscence of Gothic the designer of the building was labeled by Kenneth Frampton as one of the apostles of Viollet le Duc. The architect was Hendrick Petrus Berlage. Contrary to above Nicolaus Pevsner claimed that Berlage's architectural discourse was 'Anti-Rational' because of its anachronistic formal language, Expressionism. In terms of structure Berlage's idea is rational, whilst formally 'Anti-Rational'. These polarised view points were due to the legacies of Modern Architecture that was controled by hegemonic figures in terms not only of practical field but of historiography. The hegemonic figures wanted to see Berlage as what they wanted to see. With this idea, this paper is one of endeavours to collect fragmented history in the early modern architecture. The Amsterdam Exchange has a long term story until the opening. Without understanding the story we have to withhold an evaluation of Berlage's architecture.

군산의 근대 창고건물 현황 및 산업유산으로서의 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Warehouse in Gunsan and Its Value as Industrial Heritage)

  • 박성신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6호
    • /
    • pp.21-39
    • /
    • 2011
  •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odern warehouses in Gun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y were the spatial and urban symbol of City of Rice, Gunsa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modern warehouses in the original center of city, to find their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to set up a possibility of reuse. 7 existing warehouse buildings are located at Jangmi-Dong and Jooksung-Dong, and they have been built between 1935 and 1940. The warehouse buildings have a module of 6m and they are generally 12m wide, 24~48m long and 8m high. Their structure is composed of reinforced concrete and wooden truss. All warehouse buildings have a rectangular form. Now the diverse commercial programs occupy the original space. Modern warehouse in Gunsan has the spatial and symbolic value as industrial herit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pect the original value of modern warehouse and to create a reusing space for the current generation. It is also essential to verify restoring possibility of three symbolic warehouse buildings in the harbour that were demolished.

경관 재구조화에 의한 장소의 경제적 가치 재생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대문운동장의 사례- (A Critical Review on Regenerating a Place's Economic Value through Landscape Restructuring: The Case of Dongdaemun Stadium)

  • 정희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1-175
    • /
    • 2009
  • 동대문운동장은 1926년 일제에 의해 건축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근대 공설운동장으로, 수많은 스포츠와 문화행사가 개최되어 한국의 스포츠 산실로서의 상징성과 문화역사성이 담겨진 공간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와 시설의 노후로 기능이 축소됐고, 2005년 청계천이 복원되면서 주변 노점상들을 위한 풍물시장과 주차장이 설치돼 운동장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였다. 서울시는 동대문시장과 그 일대를 디자인 패션 중심 관광 클라스터로 개발한다는 계획 하에 2008년 운동장을 철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대문운동장을 사례로 서울시의 근대문화유적의 철거와 지역개발을 포함하는 자본주의 경관 재구조화의 이면에 담겨져 있는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현재 남아있는 근대문화유적에 대한 보존 또는 철거 정책, 그리고 경관 관리와 관련하여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산업화와 건축 디자인의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ustrialization and the Changes of Architectural Design)

  • 김도식;이희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952-958
    • /
    • 2011
  • 산업화는 근대화 및 근대건축의 탄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산업화에 의한 변화와 그 결과물에 대한 믿음은 건축에 대한 사고와 과정도 산업화와 연관 지으려는 시도로 나타나게 된다. 건축을 산업화 과정에 편입시키기 위해서는 건축을 더 이상 과거의 역사주의적 전통이 아니라 실질적인 과학기술과 직접적으로 접목시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20세기 초 건축을 산업생산물의 일종으로 파악하려는 것은 두가지 의미로서 하나는 건축의 결과물에 대한 인식이며 또하나는 건축의 과정도 산업 생산의 과정으로 이끌어가고자 하는 생각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혁명 이후 근대 초기 까지 이러한 산업화에 의한 건축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그 의의와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바우하우스의 장인과 디자인 민주주의: 예술과 기술의 충돌과 협력 (The Artisan of Bauhaus and Deisgn Democracy: Collision and Collaboration of Art and Technology)

  • 유승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61-72
    • /
    • 2015
  • 대부분의 근대예술영역에서 시도된 자본주의적 저항운동은 예술과 기술의 융합, 즉 상징적 경계의 새로운 형성을 통해 진행되었다. 러스킨과 모리스로 대표되는 이러한 저항운동은 수공예 장인의 부활을 통한 장인적 예술의 복원이 목표였지만 결과적으로 예술의 계급화를 초래하게 되었고 자율적인 노동을 배제하게 되는 탈장인적인 예술이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인적 노동의 복원을 위한 노력으로서 유일하게 기계제대공업이 가져온 조건을 적극 활용하는, 즉 '기술과 예술 그리고 기계와 산업의 융합'을 통해 상징적 경계의 해체와 새로운 융합을 시도하였던 바우하우스에 주목하여 그것의 '행위자들actors'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16세기 르네상스 예술부흥운동, 19세기 미술공예운동, 그리고 바우하우스의 예술적 사조가 역사적으로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생산으로서의 장인적 예술, 예술소비로서의 민중의 권리, 표현방식으로서의 근대기술>의 교량역할을 수행했던 바우하우스 실천가들과 그들 사이의 협력과 갈등에 대한 고찰을 통해 바우하우스가 디자인 민주주의 이념을 구현하려 하였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더 나아가 현대 메타기술의 시대가 디자인과 기술의 융합을 통한 민주주의로의 이행을 추동하고 있어 바우하우스의 '협력과 갈등'그리고 '위기와 해체'로부터 반면교사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근대산업유산 재생을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특성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Design for Modern Industrial Heritage's Reproduction)

  • 정민주;이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57-168
    • /
    • 2014
  • In buildings on the street, indiscriminate redevelopment are being made by overlooking th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landscape to create their own unique meaning, due to industrialization progressed rapidly with human needs of longing for something constantly. Selection and methods of two plans,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should be required, considering heritage values on industrial buildings which are being lost and aged in this redevelopment higher. The attempt for the use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becomes a hot topic, and several experimental challenges are being made. However, there are rather many cases of causing industrial buildings' depreciation and one-size-fits-all reproduction performance as it applies other examples as standards by recognizing the reproduction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as one trend, not focusing on the trend of the times or paradigm, what the times want. To minimize these problems, we focus on how to utilize industrial buildings beyond the importance of industrial buildings' reproduction, considering the quality of local residents' life as well as the expected effect obtainable due to security of local identity and reproduction of buildings, focusing on the concept of community design that offers and forms a way of community life as the design of shares based on unspecified individuals' common life. Community design's core can be called to have diversity rather than undifferentiated unity by pursuing whole unification, since local residents become those who plan design and all people participate in it. In addition, community design achieves integration with other fields as an enlarged design area without limiting in an environmental area, by making indigenously natural characteristics combined with cultural factors in one context so that people may understand the flow of the place. The importance of effects acquired from modern industrial heritage's reproduction has well-known, and the attempt for utilizing aged heritage as a new value and a function has constantly been made. Now, it's time to focus on how long it lasts through this method, rather than modern industrial heritage's reproduction itself. There can be a significance in this study in proposing methodological solutions on modern industrial heritage's reproduction, not to cause depreciation of industrial buildings by recognizing contemporary trends and uniform regeneration performance, multifaceted research is needed for creative, effective development on modern industrial heritage which will occur constantly.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 공간 표현특성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Deformable Art Pavilion Spat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 두보위;홍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3-34
    • /
    • 2019
  • 근대 이전의 공간이 고정적이고 폐쇄적이었다면, 근대 이후에 지어진 공간의 특성은 융통성과 개방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공간 컨셉을 기반으로 현대 예술 전시관 또한 점차 건축물 내부 공간에서 실외 공간으로의 변화를 추구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외부 아트 파빌리온이라는 개념이 탄생하게 되었다. 전통예술 전시관과 비교했을 때, 파빌리온은 현재 건축공간의 질서에서 벗어났을 뿐 아니라 창의적인 공간형태를 실현하였다. 따라서 많은 전문가디자이너들은 이를 통해 인간과 자연 사이의 장벽을 깨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최근의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을 분석하고자한다.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의 표현특성을 고찰하고 사례를 분석하여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의 디자인 원칙과 원리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될 기본적인 설계의 방향과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가변형 공간의 이론을 고찰하여 가변형 공간의 특성과 개념 범주를 파악한다. 둘째, 아트 파빌리온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그 표현특성을 정리한다. 또 문헌연구를 통해 아트 파빌리온을 표현특성별로 구분하였다. 셋째, 가변형 공간 형태와 가변형 공간의 특성이 반영된 사례를 통해 연구를 진행한다. 사례분석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각 아트 파빌리온의 변형방식과 공간특성의 표현방식 상의 차이와 그 나타나는 원인을 파악한다. 본 연구는 가변형 공간의 변형방식을 선별하기 위한 기준 근거를 제시하고, 또 미래 건축공간 디자인측면에서 공간개념의 변화와 공간 의의의 범주를 확장시킬 수 있다.

유기적 특성을 활용한 워터프론트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ganic Characteristics of Waterfront Design Elements)

  • 조용수;김기수;이정재;도근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5-111
    • /
    • 2004
  • 본 연구는 수변공간의 친환경적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는네 목표를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대의 기계론적 가치관에 대하여, 최근 과학 분야에서 새로운 발전 또는 친환경적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유기적 세계관의 특징에 주목하여 워터프론트의 개발 방향성을 총체성ㆍ복합성ㆍ역동성ㆍ상보성 등 4가지로 설정하였다. 한편 구체적인 워터프론트 디자인 요소를 도시ㆍ건축의 장소적, 의장적, 시각적 특성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친환경적 수변공간의 유기적 개발 방향성과 구체적 디자인 요소간의 상관관계 및 사례 제시를 통하여 유기적 특성을 활용한 워터프론트 디자인 요소를 제시하였다.

재생디자인을 활용한 한옥의 재구축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of Restructuring Hanok by the Restoration)

  • 박상현;박찬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6-26
    • /
    • 2010
  • In recent, as rediscovery of the modern value is developed through the support by the government and the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a Korean-style house(Hanok) also becomes an object of interest. Among these various viewpoints to see the Korean-style house, the necessity of a new spatial design approach to contain the types and functions of the architectural space of the Hanok appropriate to the modern society is raised which is not a passive approach to preserve the existing cultural assets. Out of the methods of the new spatial design of the Hanok which reflect the paradigm of the times,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make an approach from the viewpoint of 'Restoration design'. As the 21 st century started, the recycle design whose active discussion and performance is made largely by Europe and Japan can be called a design method in the hardware part which enables continuous adaptive use of a building by applying a new use purpose and method to a building which doesn't use the recycle design or has low efficiency. In that meaning, it can be considered to be a very important architectural activity historically, archltecturally and spatially. Based on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cycle design, this study largely divides the types of recycle into coherent recycle and imagery recycle and dedto s detailed methods of space, consinto ion and material and wardrobe used for each case to analyze the methods of concrete recycle design through the methodological analysis of recycle cases of the existing modern buildings. For the objects of recycle cases of the Hanok made recently based on the design methods acquired here, it was examined how the architectu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Hanok can be reconsinto ed through what kinrecycmethods. The approach of the recycle design is considered to be a cornerstone to show a new architectural and spatial value in the viewpoint of the Hanok existence in modern times.

스웨덴 국립 디자인 대학의 시각 디자인 교육 (A Study on the Graphic Design Education at Konstfack in Sweden)

  • 강현주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
    • /
    • pp.165-172
    • /
    • 1996
  • 스웨덴 국립 디자인 대학은 150여 년의 역사를 가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디자인 교육기관의 하나로 스칸디나비아 디잔인 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콘스트 팍(Konstfack)이라 불리워 지는 이 학교는 바우하우스의 영향을 받아 근대적인 모습으로 탈바꿈했으며 1970년대에 이르러 오늘날과 같은 실험적인 교과과정과 독특한 교육방식을 완성했다. 이 학교의 상징 엠블 렘에는 'Insight och Flit'라는 말이 새겨져 있는데 이것은 창조적인 직관과 끊임없는 노력을 중시하는 콘스트 팍의 정신을 그대로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나라와 스웨덴은 정치, 경제, 사회제도나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다르다. 1800년대 후반의 스웨덴은 유럽 내에서 가장 늦게 산업혁명을 겪은 변두리 국가로서 경제적으로도 매우 낙후된 국가였다. 문화적으로도 영국이나, 프랑스, 독일 등의 유럽의 강국들과 비교하면 열세였고 국가적인 정체성도 채 확보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그러나 1900년대 초반의 스웨덴의 지식인들은 스웨덴 적인 것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로 고민하였고 이들의 그러한 노력은 1950년대에 와서 스칸디나비안 그레이스, 스웨디쉬 모던이라고 하는 스타일을 만들어 내게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스웨덴 국립 디자인 대학은 스웨덴 디자인 협회, 디자인 전문잡지 <스벤스크 포름>등과 함께 스웨덴 디자인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해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