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관형성

Search Result 18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The Shape of a Canal Prepared With 'TWO-FILE' Technique (Two-File' 방식에 의한 근관 형성시 근관의 형태에 관한 연구)

  • Han-Soo Park;Seung-Ho Baek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6 no.6
    • /
    • pp.507-511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Two File' 방식에 의한 근관형성시 근관의 형태변화 및 전이정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존의 근관형성방법과 비교하고자 하는 것이다. 만곡된 근관을 가진 투명한 레진블럭 상에서 step back방식, crown down방식 및 'Two File' 방식으로 근관형성을 시행하고 이를 똑같은 위치가 재현가능한 고정틀에 위치시킨 후 사진의 이중노출 기법을 이용하여 근관형성 전후의 근관의 형태변화 및 전이정도를 분석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tep back방식의 경우 형성된 근관이 taper하지 못하고 불규칙한 형태를 보였으며 근관의 전이정도도 다른 두 가지 엔진구동 방식에 의한 경우에 비해 유의하게 컸다(p<0.05) 2. crown down방식의 경우 형성된 근관이 taper한 형태를 보였고, 근관의 전이 정도도 step back방식에 의한 경우보다 유의하게 작았다(p<0.05). 3. 'Two File' 방식의 경우 형성된 근관이 taper한 형태를 보였으며 근관의 전이정도도 step back방식에 의한 경우보다 유의하게 작았으나 crown down방식에 의한 경우와 유의할 만한 차이는 없었다(p<0.05).

  • PDF

A Comparison of Three Stainless Steel Instruments in the Preparation of Curved Root Canals in vitro (세 종류의 Stainless Steel File을 이용한 만곡근관 형성 후 근관형태 변화에 관한 비교 연구)

  • Young-Tae Kim;Seung-Ho Baek;Kwang-Sik Bae;Sung-Sam Lim;Soo-Han Yo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6 no.1
    • /
    • pp.9-15
    • /
    • 2001
  • 통상적인 근관형성 과정에서 근관형태의 직선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만곡이 심한 근관에서 이상적인 근관형태를 얻기가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기구들과 근관 성형법들이 개선되고 소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개발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stainless steel file인 RT file과 Flex-R file, K-file을 이용하여 만곡근관 형성 후 최종 근관형태를 비교하여 각 file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실험은 Bramante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술 전의 근관형태와 술 후의 근관형태를 비교하였다. Schneider의 방법을 변형하여 3차원적 만곡을 계산하여 12도에서 36도 이내에 만곡도를 가진 근관을 선택하였다. 49개의 발거된 상악대구치 협측근관이나 하악대구치 근심근관을 3개의 군으로 나누고 레진과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mold에 투명한 교정용 레진으로 매몰하였다. 근첨에서 2.5, 5, 8mm지점에서 절단하여 각 mold에서 재조립한 후 다음과 같이 근관형성을 시행하였다. 제 1군은 SS K-file을 이용하여 step-back 방법 ; 제 2군은 Flex-R file을 이용하여 balanced force 방법 ; 제 3군은 RT file을 이용하여 step-back 방법으로 근관 형성하였다. 술 전과 술 후에 각 시편들을 체현미경으로 사진촬영하여 근관 중심 위치 이동률, 근관형성으로 삭제된 상아질양, 근관형성 후 모양을 Sigma scan/ image software program으로 계산하고 One way ANOVA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RT file이 치근단에서 K-file보다 유의성 있게 근관의 중심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였다. 치아 중앙부에서는 RT file과 Flex-R file이 K-file에 대해 유의성 있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근관형성 후 삭제된 상아질양에서는 치근단에서 RT file이 적게 나왔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3. 근관형성 후 절단면 모양은 원형, 타원형, 불규칙한 형태들이 다양하게 나타났고 각 군간에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 PDF

A STUDY ON THE SHAPE OF A CANAL PREPARED WITH 'THREE-FILE' TECHNIQUE IN A CURVED CANAL ('Three-File' 방식에 의한 만곡 근관 형성시 근관의 형태에 관한 연구)

  • Park, Han-Soo;Lee, Min-Koo;Kim, Jong-Jin;Lim, Young-Jun;Jang, Moon-Sung;Lee, Jong-Yeop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5 no.4
    • /
    • pp.494-498
    • /
    • 2000
  • 이 연구의 목적은 'Three-File' 방식에 의한 근관형성시 근관의 형태변화 및 전이정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존의 근관형성방법과 비교하고자 하는 것이다. 만곡된 근관을 가진 투명한 레진블럭 상에서 'Three-File' 방식, crown-down방식 및 스테인레스강 화일에 의한 수동방식으로 근관형성을 시행하고 이를 똑같은 위치가 재현가능한 고정틀에 위치시킨 후 사진의 이중노출 기법을 이용하여 근관형성 전후의 근관의 형태변화 및 전이정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스테인레스강 화일의 경우 근관확대가 가장 컸고 근관의 전이정도도 심하였으며, 형성된 근관이 taper하지 못하고 불규칙한 형태를 보였다. 2. Profile로 crown-down방식에 의해 형성한 경우 taper한 근관형태를 보였고, 근관의 전이 정도도 스테인레스강 화일의 경우보다 작았다(p<0.01). 3. Profile로 'Three-File'방식에 의해 형성한 경우 taper한 근관형태를 보였고 근관의 전이정도도 스테인레스강 화일의 경우보다 유의하게 작았으나(p<0.01), crown-down방식에 의해 형성한 경우와 유의할 만한 차이는 없었다(p>0.01).

  • PDF

A STUDY ON THE DEGREE OF CANAL TRANSPORTATION ACCORDING TO THE APICAL PREPARATION SIZE IN A CURVED CANAL (만곡 근관에서 근첨 형성 크기에 따른 근관의 전이 정도에 관한 연구)

  • Han-Soo Park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6 no.3
    • /
    • pp.200-205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만곡 근관에서 다양한 크기로 근첨을 형성하였을 때 형성 전후의 근관의 전이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만곡된 근관을 가진 투명한 레진블럭 상에서 ProFile .06 taper와 K-flexofile을 이용하여 각각 근관형성을 시행하고 이를 똑같은 위치가 재현가능한 고정틀에 위치시킨 후 사진의 이중노출 기법을 이용하여 근관형성 전후의 근관의 전이정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roFile의 경우 형성된 근관이 taper한데 비해 K-flexofiles의 경우 형성된 근관이 taper하지 못하고 확대가 더 컸다. K-flexofiles의 경우 ProFile의 경우보다 근첨 0~6mm 부위에서 유의하게 더 굵었다(p<0.05). 2. 만곡외측으로의 확대양상은 ProFile의 경우 대체적으로 taper하나 근첨 3~4mm부위가 약간 굵었다. K-flexofile의 경우 만곡외측으로의 확대양상은 taper하지 못하고 불규칙하였다. ProFile에 비해 근첨 0~2mm에서 유의하게 확대가 더 컸다(p<0.05). 3. 만곡내측으로의 확대양상은 모든 군에서 taper하였으나 K-flexofile의 경우 ProFile의 경우보다 확대가 더 컸다. K-flexofile의 경우 ProFile에 비해 근첨 3~5mm부위에서 유의하게 확대가 더 컸다(p<0.05).

  • PDF

The Efficiency of the Ni-Ti Rotary Files in Curved Simulated Canals Shaped by Novice Operators (만곡모형근관에서 초심자가 근관형성시 Ni-Ti 전동파일의 효용성)

  • Park, Se-Hee;Cho, Kyung-Mo;Kim, Jin-Wo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8 no.2
    • /
    • pp.146-155
    • /
    • 2003
  • 여러 가지 장점으로 인해 Ni-Ti 전동 파일을 근관성형에 사용하는 빈도가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지만, 초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심자에서 Ni-Ti 전동 파일을 사용할 때 근관 형성의 효용성을 평가하고, 어떤 방법이 초심자에게 적절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근관형태가 재현된 레진 블록을 이용하여 12명의 초심자와 4명의 숙련자가 근관 형성을 시행하였다. 각 술자는 ProFile, ProTaper, Hybrid (ProFile+ProTaper)를 이용하여 각각의 레진 블록을 세 개씩 근관형성하고, 각 파일 별의 근관 형성 시간을 기록하였다. 근관 형성 전과 후의 digital 이미지를 중첩하여 치근단으로부터 1, 2, 3, 4, 5, 6, 7mm level에서 근관단면의 총길이 변화량, 만곡 외측의 길이 변화량, 만곡 내측의 길이 변화량, 중심이동량, 중심이동율과 치근단에서의 apical transportation을 구하고, 초심자와 숙련자 사이의 차이를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ProFile군의 1, 3, 5, 6, 7mm level과 ProTaper군의 6mm level, Hybrid군의 3mm level에서 초심자의 근관단면의 총길이 변화량이 숙련자보다 많았다. 모든 군에서 치근단으로부터 4, 5, 6, 7mm level에서는 근관 중심이 만곡내측으로 이동하였고, 1 2, 3mm level 에서는 만곡외측으로 이동하였으나, 숙련자가 시행한 Hybrid군의 3mm level과 비숙련자가 시행한 ProTaper 군의 3mm level에서는 만곡내측으로 이동하였다. 모든 군의 3mm level과 ProFile 군의 5mm level에서 초심자의 중심이동율이 숙련자에 비해 컸으며, 초심자가 ProTaper를 사용시 더 큰 apical trans portation을 보였고, 모든 군에서 초심자가 근관형성시 더 많은 시간이 걸렸다. ProFile과 ProTaper를 이용한 Hybrid technique이 초심자에게 추천되며, 초심자들도 충분히 교육받는다면 만곡된 근관의 근관형성에 있어서 Ni-Ti rotary file의 이용이 가능하리라고 사료된다.

SEM Study on the Anaerobic Bacterial Adhesion to the Dentin of Root Canal (혐기성 미생물의 근관내 상아질 부착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 Sung-Eun Yang;Kwang-Shik Bae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6 no.4
    • /
    • pp.350-359
    • /
    • 2001
  • 목적 - 근관형성시 근관내 상아질벽에는 항상 도말층(smear layer)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아질, 치수조직 잔사, 조상아세포 돌기, 때로는 미생물 등으로 구성되며, 주사전자현미경상으로는 비규칙적이며, 무정형의 구상(granular)구조물로 관찰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말층의 유무에 따른 혐기성 미생물, Prevotella nigrescens의 근관내 상아질 부착정도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사용되었던 실험방법에 비하여 보다 임상적 환경에 가까운 실험방법을 고안, 신빙성 있는 연구결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방법 - 치주질환이나 외상 등의 원인으로 발거된 상, 하악 전치 18개를 사용하였다. 각 치아의 치관부를 백악법랑경계부위에서 절단하고, 1군(5개치아)은 10ml의 생리식 염수를, 2군(5개치아)과 3군(5개치아)은 10ml의 3.5% NaOCl을 근관관주용액으로 사용하여 근관형성을 하였다. 근관형성 완료후 1군과 2군은 10ml의 생리식염수로, 3군은 10ml의 0.5M EDTA용액으로 final flush를 시행하여, 3군의 도말층을 제거하였다. 치근수직절단과 ethylene oxide(EO) gas 소독후 1, 2, 3군의 시편(각군10개시편)을 Prevotella nigrescens가 부유된 Brain Heart Infusion with Yeast estract, Hemin and Menadione(BHIYHM) broth내에 37$^{\circ}C$에서 3시간 동안 incubation했다. 4, 5, 6군은 실험과정을 검증하기 위한 대조군으로써, 4군(1개치아)과 5군(1개치아)은 1군, 2군과 같이 각각 생리식염수와 NaOCl만을 이용한 근관형성으로 도말층을 잔존시키고, 6군(1개치아)은 3군과 같이 NaOCl과 EDTA를 적용하여 도말층을 제거한 후, 치근 수직절단과 EO gas 소독을 시행했다. 모든 시편(1, 2, 3, 4, 5, 6군)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처리한 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관찰, 근관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Prevotella nigrescens의 개수, 모양, 상아세관 및 도말층과의 관계 등을 관찰,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는 t-test와 one-way ANOVA를 통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결론 - 1. 근관형성 후 근관내 상아질 표면 전체는 도말층으로 덮여 있는 양상을 보였다. 2. 3.5% NaOCl과 0.5M EDTA를 적용하여 근관내 도말층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으며, 상아세관 개구부가 확연히 노출되어 있는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도말층이 덮인군에서 미생물의 부착이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4. 근관 형성중 형성되어 근관 상아질을 덮고 있는 도말층이 미생물의 부착을 증가시켜, 근관 재감염의 기회를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CANAL PREPARATION METHODS ON THE APICAL EXTRUSION OF DEBRIS (근관형성법이 근관잔Δ사의 치근단 정출에 미치는 영향)

  • Park, Ju-Myong;Kim, Sung-Ky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4 no.2
    • /
    • pp.399-407
    • /
    • 1999
  • Apical extrusion of canal debris is occurred inadvertently during root canal preparation and this could produce interappointment discomfort or postinstrumentation p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anal preparation methods on the apical extrusion of canal debris by means of comparing the amounts of apically extruded debris with several kinds of instrumentation methods. In the first experiment, 40 inciso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10 each. They were instrumented using one of the four techniques: Step-back, crown-down pressureless technique with stainless steel K-files, engine-driven instrumentation with Quantec series 2000, and Profile .04 taper series 29. Root canal irrigation was done with 2.52% sodium hypochlorite solution. In the second experiment, 80 incisor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of 16 each and instrumented using step-back, crown-down pressureless technique with stainless steel K-files, engine-driven instrumentation such as Quantec SC, Quantec LX, and Profile .04 taper series 29 No irrigation procedure was performed in this second experiment. Extruded debris from each tooth was collected in a container and weighed by the use of an electronic balance after desiccation. With or without canal irrigation, step-back technique produced significantly more amount of apical debris than the other group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rown-down pressureless technique, engine-driven instrumentation with Quantec LX, Quantec SC, or Profile. Therefore, either by hand or engine-driven instrumentation, it is concluded that to minimize apical debris, techniques using reaming motion of files should be applied rather than filing motion.

  • PDF

Change of working length in curved canals by various instrumentation techniques (만곡근관에서 근관형성법에 따른 근관작업장의 변화)

  • Jo, Jeong-Im;Jin, Myoung-Uk;Kim, Young-Kyung;Kim, Sung-Ky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1 no.1
    • /
    • pp.30-35
    • /
    • 2006
  • To evaluate the change of working length with various instrumentation techniques in curved canals, working length and canal curvature were determined before and after canal instrumentation in buccal or mesial canals of extracted human molars. Stainless steel K-files ($MANI^{(R)}$, Matsutani Seisakusho Co. Takanezawa, Japan), nickel-titanium K-files (Naviflex $NT^{TM}$, Brassier, Savannah, USA) , $ProFile^{(R)}$, and ProTaper (Dentsply-Maillefer, Ballaigues, Switzerland) were used to prepare the canals with crown-down technique. In two hand instrumentation groups coronal flaring was made with Gates Glidden burs. Apical canals were instrumented until apical diameter had attained a size of 30. Positional relation between the tooth apex and the $\#10$ K-file tip was examined by using AutoCAD 2000 (Autodesk Corp., San Rafael. CA, USA) under a stereomicroscope before and after coronal flaring, and after apical instrumentation. Degree of canal curvature was also measured with Schneider's method in radiographs. Data of working length and canal curvature chang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one-way ANOVA and Tukey's studentized range test. Working length and canal curvature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each step in all instrumentation groups. Coronal flaring using Cates Glidden burs in hand instrument groups and whole canal instrumentation using stainless steel hand K-files caused significantly more working length change than in ProFile instrumentation group (p<0.05).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ll of the above kinds of instrumentation in curved canals cause reduction of working length and canal curvature at each instrumentation steps, and hand instrumentation causes more working length change than ProFile.

EFFECT OF ANTICURVATURE FILING METHOD ON PREPARATION OF THE CURVED ROOT CANAL USING PROFILE (PROFILE을 이용한 근관형성 시 ANTICURVATURE FILING방법의 영향)

  • Song, Hyun-Ji;Chang, Ju-Hea;Cho, Kyung-Mo;Kim, Jin-Wo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0 no.4
    • /
    • pp.327-334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nticurvature filing method on preparation of the curved root canal using ProFile. Thirty six resin blocks were divided equally into three groups by instrumentation motions: anticurvature filing motion. circumferential filing motion and straight up-and-down motion. Each resin block was sectioned at 8mm level from the apex and at the greatest curvature of the canal and reassembled in metal mold by a modified Bramante technique. All groups were instrumented with the ProFile system. At each levels. image of sectioned surface were taken using CCD camera under a stereomicroscope at $\times40$ magnification and stored. Distances of transportation at the inner and outer area of curvature and the centering ratio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by statistical analysis. along with the assessment of the increase of root canal cross-sectional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ll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mean increase of root canal cross-sectional area. the centering ratio. and the mean distances of transportation at the inner area of curvature at each level. 2. At 8mm level from the apex. the mean distances of transportation at the outer area of curvature decreases in following order anticurvature filing motion. circumferential filing motion. straight up-and­down mot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greatest curvature of the canal among three groups. Effect of anticurvature filing motion using ProFile does not seem to be different from other instrumentation motions at the inner area of curvature in curved root ca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