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관세정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1초

근관세정 방법에 따른 수산화칼슘 제재의 제거 효율 비교 (A COMPARISON OF THE IRRIGATION SYSTEMS IN CALCIUM HYDROXIDE REMOVAL)

  • 은재승;박세희;조경모;김진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6호
    • /
    • pp.508-514
    • /
    • 2009
  • 이 실험의 목적은 근관 내에 충전된 수산화칼슘의 제거 시 치근단 1/3에서 기존의 근관세정법과 $EndoActivator^{(R)}$, $EndoVac^{(R)}$ system의 세정 효율을 비교하고, 근관 세정 중 치근단공 개방 확인의 영향에 대해 평가하고자 함이다. 60개의 단근치를 사용하였고 ISO #35까지 근관성형 후 수산화칼슘을 충전하였다. 근관 세정법과 치근단공 개방 확인 유무에 따라 6개 실험군으로 나누어 세정하였다. 실험 치아를 양분하여 치근단 3 mm에서 근관 면적에 대한 잔존 수산화칼슘 면적의 백분율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EndoActivator^{(R)}$, $EndoVac^{(R)}$군이 기존의 근관 세정법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냈으며 (p<0.05), 치근단공 개방 확인 유무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실험 결과에 따르면 기존의 근관세정법으로 효과적인 세정이 불가능했던 근관의 치근단 1/3부위에서 $EndoActivator^{(R)}$, $EndoVac^{(R)}$ system과 같은 근관 세정법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근관치료 시 초음파 세정 기술을 이용한 잔사 제거의 효율성 (The efficacy of ultrasonic irrigation technique on debris removal during root canal treatment)

  • 김정현;김진우;조경모;박세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2호
    • /
    • pp.97-105
    • /
    • 2017
  • 목적: Passive irrigation (PI)과 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PUI)의 상아질 잔사 제거 효율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16 mm 길이로 표준화된 하악 소구치 치근을 근관 확대 후 종단으로 이등분 하였다. 분리된 한쪽 상아질벽에는 길이 4 mm, 너비 0.2 mm, 깊이 0.5 mm의 표준화된 구를 형성하였고, 반대쪽에는 직경 0.3 mm, 깊이 0.5 mm인 3개의 반구 형태의 함요를 형성하였다. 각 구와 함요에는 NaOCl과 혼합된 상아질 잔사로 채우고, 퍼티 인상재를 사용하여 재조합하였다. Group 1은 PI를 이용하고 Group 2는 PUI를 이용하여 각 근관내를 세정하였다. 현미경과 디지털카메라로 절편의 근관벽을 촬영하고, 구와 함요에 잔존하는 상아질 잔사의 양을 scoring system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근관의 중앙 1/3에서 group 1이 group 2에 비해 잔사를 더 많이 제거하였지만, 치근단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하악 소구치에서 근관에 기구가 닿지 못하는 부위를 세정시, 근관의 중앙 1/3에서 PUI를 사용하는 것이 PI에 비해 상아질 잔사의 제거 효율이 우수했지만, 치근단부에서는 PUI와 PI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감염근관에서의 apical preparation size (APICAL PREPRATION SIZE IN INFECTED ROOT CANALS)

  • 금기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1호
    • /
    • pp.1-4
    • /
    • 2010
  • 감염근관에서의 주치근단 파일의 크기는 학자들마다 많은 논란이 되고 있지만 최근 여러 연구 결과들은 감염근관의 효과적인 세정을 위해서는 근단부 확대 크기가 증가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임상가는 감염근관의 치료 시 새로운 개념에 맞는 치료 전략을 가지고 근관치료에 임해야 한다.

CBCT와 치과용 현미경을 이용한 C형 근관을 가지는 하악 제1소구치의 근관치료 (Endodontic management of mandibular first premolar with C-shaped canals by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nd dental operating microscope)

  • 장훈상;김민정;이석련;홍성옥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4호
    • /
    • pp.324-328
    • /
    • 2014
  • 한국인에서는 하악 소구치의 변이가 매우 드물게 나타나며, 변이는 하악 소구치 근관치료시 성형과 세정으로 자극원의 제거를 어렵게 하여 근관치료의 실패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C형의 드문 근관 형태를 가지는 하악 제1소구치를 CBCT를 촬영하여 복잡한 치아의 내부 형태를 확인한 후, 치과용 현미경을 사용해 확대된 시야와 개선된 조명하에서 성공적으로 근관치료 하였다.

초음파 세정 프로토콜에 따른 근관 내 잔사 제거의 효율성 비교 (Debris removal efficiency depend on different ultrasonic irrigation protocols)

  • 허건;김진우;조경모;;이은혜;박세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2호
    • /
    • pp.104-111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PUI) 적용 강도 및 적용 횟수에 따른 상아질 잔사 제거의 효율성 비교에 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48개의 하악 소구치를 표준화하고 이등분 한 후, 한쪽 상아질벽에는 치근첨에서 1, 3, 5 mm의 거리에, 반대쪽 상아질벽에는 2, 4 mm의 거리에 함요를 형성하였다. 각 함요에 NaOCl과 혼합된 상아질 잔사를 채웠다. 치아는 PUI 적용 강도에 따라 'Weak'과 'Strong'의 2개 그룹으로 나누고(n = 24), PUI 적용 횟수에 따라 '1회', '2회', '3회'의 3개 그룹으로(n = 8) 다시 나누었다. 근관 세정 과정 이후 함요에 잔존하는 상아질 잔사의 양을 평가하였다. 결과: Weak 그룹과 Strong 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Weak 그룹 내에서 PUI 적용 횟수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 역시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Strong 그룹에서 PUI를 2회, 3회 적용하였을 때, 1회의 경우보다 유의하게 낮은 상아질 잔사의 양이 관찰되었다. 결론: PUI 적용 강도에 따른 상아질 잔사 제거의 효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Strong 그룹에서 PUI를 다회 적용시, 1회 적용할 때 보다 근단 1/3 부위의 세정 효과가 증가한다.

최신 근관 세척 방법과 기구에 대한 고찰 (Review of root canal irrigant delivery techniques and devices)

  • 유연지;신수정;백승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3호
    • /
    • pp.180-187
    • /
    • 2011
  • 서론: 근관 치료의 성공을 위해 근관계 내에 남아있는 조직 잔사와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충분한 근관 형성과 근관 세척을 하더라도 근관의 복잡한 형태로 인하여 근관 내 박테리아의 biofilm이나 괴사된 치수 조직이 남아 있게 된다. 근래 보다 효과적으로 근관 세척을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과 근관 세척을 위한 기구들이 개발되었다. 본 종설에서는 근관 치료 영역에서 사용되는 근관 세척 방법과 기구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본론: 아래와 같은 기구와 방법이 논의된다. - syringe-needle irrigation, manual dynamic irrigation, brushes - sonic and ultrasonic irrigation, 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rotary brush, RinsEndo, EndoVac, Laser 결론: 최근 근관 세척을 위한 기구와 세정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syringe와 needle을 이용한 근관 세척법과 ultrasonic을 이용한 근관 세척법을 제외하고는 새로 개발된 많은 기구들의 임상적 치료 결과의 향상에 대한 근거 중심 연구가 아직은 부족하며, 어떠한 기구나 장치도 근관 내 잔사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는 없다. 효과적인 근관 세척을 위해서는 적절한 근관 세척제의 선택과 함께, 근관 세척제를 근관장까지 충분한 양이 도달할 수 있도록 적절한 근관 세척 기구와 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EDTA의 세정시간에 따른 근관 내 smear layer의 제거효과에 관한 연구 (TIME-DEPENDENT EFFECTS OF EDTA APPLICATION ON REMOVAL OF SMEAR LAYER IN THE ROOT CANAL SYSTEM)

  • 이자경;박상혁;최기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3호
    • /
    • pp.169-178
    • /
    • 2006
  • 본 연구는 EDTA용액의 적용 시간에 따른 도말층의 제거 효과를 비교하여 EDTA용액의 최적 적용 시간을 알고자 시행되었다. 단근치 35개를 NaOCl 용액 하에서 근관 형성 후 대조군은 NaOCl 용액 5 ml로 2분간, 실험군은 30초군, 1분군, 2분군으로 세분하여 17% EDTA 용액 5 ml로 각각 30초, 1분, 2분간 세정하였다. 세정이 끝난 치근의 도말층 제거 정도와 상아 세관의 erosion 정도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조군: 도말층이 전혀 제거되지 않았다. 2. 실험군 1) 중간$\frac{1}{3}$: 세 군 모두에서 도말층이 거의 완전히 제거되었고, EDTA적용 시간이 증가할수록 erosion발생 빈도가 증가하였다. 2) 치근단$\frac{1}{3}$: 2분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도말층 제거 정도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erosion 발생을 최소화면서 도말층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17% EDTA 용액을 2분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MTAD의 치근단 누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기화학적 연구 (The effect of MTAD on the apical leakage of obturated root canals: an electrochemical study)

  • 박동성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2호
    • /
    • pp.119-124
    • /
    • 2006
  • 본 연구는 새로이 개발된 근관세정제 (MTAD)가 근관 충전이 이루어지고 난 치근단 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인 방법의 근관 성형과 세정 그리고 충전을 시행하는데 있어 실험군 들에서는 NaOCl만, NaOCl과 EDTA, NaOCl과 MTAD를 사용하였고 10일 동안 표준전극과 시편 근관 내에 위치시킨 실험전극 사이의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시간에 따른 치근단 누출의 변화를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측정 시간 30분에서 7일 사이에서 smear layer 제거한 군들 (Group 4와 5)에서 제거하지 않은 군(Group 3)에서 보다 적은 치근단 누출을 보였지만 통계학적인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실험군들 사이에서 모든 시간 대에 걸쳐 치근단 누출의 유의성 있는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수산화칼슘 제제의 제거 방법이 치근단 누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기화학적 연구 (Effect of two different calcium hydroxide paste removal techniques on apical leakage: an electrochemical study)

  • 박찬제;전경아;권호범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3호
    • /
    • pp.186-191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근관내 약제로 사용되는 수산화칼슘의 제거방법이 근관충전 후 치근단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70개의 발거된 단근치를 엔진구동형 ProFile로 근관형성한 후 수용성 수산화칼슘 제제를 1주일간 적용하고 두 군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방법으로 제거하였다. A군은 NaOCl로 근관세정만을 시행하였으며, B군은 근관형성 시 사용된 file보다 한 단계 큰 크기의 ProFile을사용하여 근관을 재형성한 후 NaOCl로 세척하였다. 근관충전 후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24일 동안 치근단 누출을 측정,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산화 칼슘 제거를 위한 두가지 방법은 근관충전후 치근단 미세누출에 있어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C-shaped canal의 절단면 분석을 통한 근관형태의 변화와 근관과 치아외벽간의 최소거리 분석에 관한 연구 (CROSS-SECTIONAL MORPHOLOGY AND MINIMUM CANAL WALL WIDTHS IN C-SHAPED ROOT OF MANDIBULAR MOLARS)

  • 송병철;조용범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1호
    • /
    • pp.37-46
    • /
    • 2007
  • C-shape 근관은 주로 하악 제 2대구치에서 보이는 해부학적 변이 형태로서, 그 특징은 각 근관을 연결하는 fin이나 web이 존재한다. 이런 해부학적으로 복잡함은 근관치료시에 세정과 성형 및 근관충전을 방해하며, 과다한 기구 조작시에 뜻하지 않는 천공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C-shape 치근을 가진 하악 제2 대구치의 해부학적인 형태와 치근의 위치에 따른 최소 근관벽 두께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발거된 하악 대구치중 C-shape 치근을 가진 치아를 30개 선별하여 방사선 사진 및 협측, 설측, 치근단 부위를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자가 중합형 교정용 레진 (Orthodontics resin, Densply/Caulk, U.S.A)을 이용하여 치관부를 제거한 치아를 매몰한 후 각각의 시편을 Accutom-50 (Struers, Denmark)에 고정시켜 1 mm 간격으로 절단, 연마한 다음 절단면을 수술용현미경에 연결된 디지털 카메라 (Coolpix 995, Nikon,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각각의 상을 촬영하였다. 30개 치아에서 촬영한 197개의 치아단면을 Root thickness gauge program을 이용하여 근관형태의 변화를 분류하고 부위별 근관과 치아외벽 사이에 존재하는 상아질의 최소두께에 대해 연구 분석하였다. 1. 근관입구에서 C I이 가장 많이 (73%) 관찰되었으나 치근단부로 갈수록 근관 형태의 다양한 변화를 보여 C II와 C III의 근관형태가 많이 관찰되었으며, 11 개의 (36%)치아에서는 근관입구에서 치근단부까지 근관형태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근관입구에서 단지 2개의 치아에서 나타난 C III type은 치근단부로 갈수록 높은 발현빈도를 나타내었다. 2. C-shape 근관은 근관입구 부위에서는 continuous 나 semicolon canal을 가지나 치근단부로 갈수록 2개나 3개의 근관을 갖는 경우가 많다. 3.평균적인 근관과 치질사이의 최소거리는 근첨부의 설측부위에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