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골격계 장기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Occupational risk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oral symptoms in hospital facility Temp·Contract Workers (병원 시설 파견·용역 근로자들의 주관적 구강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 위험 요인에 관한 연구)

  • Hong, Min-Hee;Lee, Jung-Min;Jang, Ki-Wo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7
    • /
    • pp.298-30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ccupational risk factors that affect oral symptoms in hospital facility workers. This study surveyed 627 hospital facility temp·contract workers in the metropolitan area from November 17, 2020 to May 20, 2021.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oral symptoms were higher among workers with high risk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injuries. Also, symptoms of oral mucosa,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nd dry mouth were high in the areas of job insecurity and organizational injustice. As the occupational risk factors and occupational stress of workers increased, the risk of oral symptoms increased. In the futur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oral health policies to better the oral health of hospital facility workers.

Medical review on the First-degree disability cases (1급장해 사례들의 의적 검토)

  • Kim, Yong-Eun
    • The Journal of the Korean life insurance medical association
    • /
    • v.20
    • /
    • pp.53-61
    • /
    • 2001
  • 1999년 1월-1999년 10월까지 당사에서 1급장해로 인해 보험금이 지급된 1,297 건을 대상으로 하여 성별 & 연령대별 분포, 1급장해 각 항의 원인별 분포, 다빈도원인별 1급장해 각 항의 분포상황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1. 1급장해지불건들의 성별분포를 보면 남자가 여자보다1.7배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2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40대 23.7%, 20대 18.6%, 10세미만 17.6% 순서 였다. 2. 1급장해 각항별 점유율을 보면 1급3항이 56.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급4항이 16.0%로 많았다. 3. 1급장해의 원인별 분포를 보면 '교통사고' 및 '교통사고외의 외상'이 597건(40.6%)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기타질병' 256건(19.7%) '뇌혈관사고' 245건(18.7%), '만성신부전' 194건(15.0 %), 그리고 '악성종양' 36건(2.8%)의 순서였다. 1) 1급 1항 : 두눈의 시력을 완전영구히 잃었을 때 원인중 가장 많은 것은 '기타질병' 74건(64%)이었고 다음으로는 '당뇨병' 17건(14.9) 그리고 '교통사고'의 순서였다. '기타질병'에 해당하는 병중에서 눈의 질환들을 더 분류하여 볼 때 '맥락막 및 망막의 장애'가 25건(35.7%)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시신경 및 시각경로의 장애' 20건(28.6%) 그리고 '수정체의 장애'의 순서였다. 2) 1급 3항 : 중추신경계, 정신에 뚜렷한 장해를 남겨서 평생토록 항상 간호를 받아야 할 때 원인으로는 '교통사고' 245건(33.2%)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뇌혈관사고' 215건(29.1%) 그리고 '교통사고외의 외상'의 순서였다. 뇌혈관사고 215건에 대해서 원인별분포를 보면 '뇌내출혈'이 131건(60.9%)로 '뇌경색 ' 57건(26.5%)에 비해 2.3배 정도 많았다. 3) 1급 4항 : 흉복부장기에 뚜렷한 장해를 남겨서 평생토록 항상 간호를 받아야 할 때 원인으로는 '만성신부전'이 215건(86.5%)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기타질병' 14건(6.7%)의 순서였다. 4) 1급 6항 : 두다리의 발목이상을 잃었거나 완전영구히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원인으로는 '교통사고' 41건(41.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교통사고외의 외상' 32건 (32.0%) 그리고 다음으로 '근골격계, 결합조직의 질환' 순서였다. 4. 장해원인별 1급장해 각 항의 분포를 보면 '만성신부전'은 1급 4항, '악성종양'은 1급 3항과 1급2항 그리고 1항의 장해를 주로 일으키고 '당뇨병'은 1급 1항, '뇌혈관사고'는 1급3항과 1급2항의 장해를 주로 일으켰다. 한편 '교통사고'나 '교통사고외의 외상'은 주로 1급3항과 1급6항의 장해를 주로 일으켰다.

  • PDF

Clinical Analysis of Ectopic Kidney in Children (소아 이소성 신장의 임상적 고찰)

  • Yook Jin-Won;Kim Ji-Hong;Kim Myung-Joon;Kim Pyung-Kil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v.3 no.2
    • /
    • pp.196-202
    • /
    • 1999
  • Purpose : When the mature kidney fails to reach its norml location in the renal fossa, the condition is known as ectopic kidney. Presenting symtoms can be various and it generally depend on the associated anomaly. Beside urologic anomalies such as hydronephrosis and vesicoureteral reflux, various anomalous vascular net work, skeletal anomaly or genital anomaly can be observed in this condition. Methods : Sixteen children with ectopic kidney was studied retrospectively to analyse initial presentation, accompanied anomaly and prognosis. Results : 56% of the children were accompanied with other urologic anomalies such as true incontinence and vesicoureteral reflux that required surgical treatment. 31% of children were either diagnosed incidentally during evaluation of other non-urologic disease or during follow-up evaluation of abnormal antenatal renal sonogram. Conclusion : Ectopic kidney can be often misdiagnosed as tumorous condition or as a surgical condition depend on the abnormal location of the kidney. Careful evaluation using abdominal sonogram, DMSA, VCUG and abdominal CT scan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search for associated anomalous condition and for proper manag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