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거이론 방법

Search Result 1,09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ivergence of Grounded Theory : Focused on the Differences of Glaser and Strauss (근거이론의 분기: Glaser와 Strauss의 차이를 중심으로)

  • Kim, In-Soo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2 no.2
    • /
    • pp.351-379
    • /
    • 2011
  • This study explores the divergence of grounded theory focused on the differences of Glaser and Strauss. Grounded theory has been divided into two versions, Glaser version and Strauss version. Two versions are different in research methodology.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us to choose one of these two version. There are many grounded theory researches or qualitative researches by grounded theory approach in Korea. But Theses researches has been studied only Strauss version. Therefore this article introduces the differences of Glaser method and Strauss method in various aspects of research methods: basic logic of research process, core category and basic social process, and coding methods - especially axial coding, selective coding and theoretical coding. Glaser and Strauss argued differently in many aspects of grounded theory method.

A Study of Changes Experienced and Processes of the Participants in Group Bibliotherapy by Grounded Theory (근거이론을 적용한 집단독서치료 참여자들의 변화경험과 과정에 관한 연구)

  • Park, Myung-He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5 no.3
    • /
    • pp.463-48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understand changes experienced by participants in group bibliotherapy. For this purpos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adults who were chosen by the best bibliotherapists through peer nomination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grounded theory, which is one sort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to provide a foundation of understanding of group bibliotherapy by exploring participants' experiences in depth through grounded theory approach and revealing the changes experienced and process of group bibliotherapy.

A Critical Review of Literature: Mid-Range Nursing Theory of Uncertainty in Illness (중간범위 간호이론인 Mishel의 질병에서의 불확실감에 관한 문헌고찰)

  • Kang, Younhee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 /
    • v.15 no.1
    • /
    • pp.146-153
    • /
    • 200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표적인 중간범위 간호이론인 Mishel의 Uncertainty in Illness모델에 관한 연구문헌 고찰이다. 기존의 간호이론에 근거해서 새로운 간호연구가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들의 결과는 또한, 근거이론을 지지 및 수정보완을 통해서 간호이론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강화해왔다. Mishel의 모델에 근거한 불확실감에 관한 연구의 수행에 앞서, 근거이론에 관한 현지식의 상태와 부족한 영역을 탐구하여, 이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계획을 수립하는데 문헌고찰의 주요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문헌고찰은 중간범위 간호이론인 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에서의 주요 개념간의 관계에 대해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불확실감의 선행요소들(antecedents)과 불확실감, 불확실감의 평가(appraisal of uncertainty), 불확실감 모델내에서 건강 통제위(health locus of control)의 역할, 및 불확실감의 결과, 적응(adaptation)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결론: 문헌고찰 결과로서, 불확실감 이론에 관한 현지식의 상태를 확인하였고 이 이론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추후연구에 대한 방향도 제언되었다.

  • PDF

University Students' Cognitive Adaptation types in The Traditional Korean Education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근거 이론(Grounded theory)에 따른 한국 전통 교육에 대한 인식 고찰)

  • Kim, Min-Jung;Kim, Dae-H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7 no.1
    • /
    • pp.105-111
    • /
    • 2012
  • Purpose: This is the study about the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raditional Korean education. Methods and proces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Strauss & Corbin, 1998).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ere conducted with 20 adults who were thought by the researcher as the teacher. They are 21 or 33 years old. This paper had conducted during 14 weeks, Results: The core category of this study is 'university students' adaptation and overcome the conflicts in the every situation. Based on the core category, three types of students' experiences were found. Three types of students are 'negative-cognition', 'positive-cognition', 'indifference'. Conclusions: For making globalizational period, we need the teachers who can understand the traditional Korea education. And we have to change them.

  • PDF

Topological Analysis of the Feasibility and Initial-value Assignment of Image Segmentation (영상 분할의 가능성 및 초기값 배정에 대한 위상적 분석)

  • Doh, Sang Yoon;Kim, Jungguk
    • Journal of KIISE
    • /
    • v.43 no.7
    • /
    • pp.812-819
    • /
    • 2016
  • This paper introduces and analyzes the theoretical basis and method of the conventional initial-value assignment problem and feasibility of image segmentation. The paper presents topological evidence and a method of appropriate initial-value assignment based on topology theory. Subsequently, the paper shows minimum conditions for feasibility of image segmentation based on separation axiom theory of topology and a validation method of effectiveness for image modeling. As a summary, this paper shows image segmentation with its mathematical validity based on topological analysis rather than statistical analysis. Finally, the paper applies the theory and methods to conventional Gaussian random field model and examines effectiveness of GRF modeling.

유아기 수학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 Hwang, Jeong-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107-127
    • /
    • 2002
  • 본 연구는 유아기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기초 이론과 수학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제안들을 근거로 유아에게 적절하고도 효과적인 수학 교수-학습 방법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구성주의에 근거한 상호적 접근과 교수-학습을 위한 기타 제안들 그리고 활동중심의 통합적 접근으로 나누어 그 이론적 기초와 구체적인 적용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구성주의에 근거한 상호적 접근은 Piaget와 Vygotsky의 견해와 인지적 도제모형, 상황적 교수 모형, 그리고 인지적 유연성 이론의 세 가지를 포함하였고, 기타 제안들에는 NCTM, NAEYC, Schweinhart Perlmutter, Bloom & Burrell, 그리고 Althouse의 견해를 포함하였다. 그리고 활동중심의 통합적 접근은 수학적 개념 중심의 활동 통합교육과 활동 중심의 수학 통합교육으로 나누어 Web을 구성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알아보았다.

  • PDF

건축물의 내진설계를 위한 구조동력학-제 1부:단자유도 구조물의 지진해석과 응답스펙트럼

  • Lee, Dong-Geun
    • 건축구조
    • /
    • v.13 no.1
    • /
    • pp.46-58
    • /
    • 2006
  • 구조동력학 이론에 기초하여 내진설계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므로 건축물의 내진설계를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구조동력학의 여러 가지 이론들을 먼저 알고 이들이 내진설계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 글은 구조기술자 여러분이 건축물의 내진설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3부로연재될예정이다. 제1부: 응답스펙트럼과구조물의동적해석 제2부: 등가정적해석법과반응수정계수의배경 제3부: 능력스펙트럼법에의한비탄성해석 제1부에서는 단자유도 구조물의 지진해석을 통하여 응답스펙트럼을 작성하는 원리와 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지진해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응답스펙트럼에 근거하여 설계응답스펙트럼을 작성하는 방법과 다자유도 구조물의 지진응답을 알아내기 위한 응답 스펙트럼 해석법에 관하여 소개한다. 제2부에서는 구조동력학 이론에 근거하여 등가정적해석법이 유도된 근거와 반응수정계수를 사용하게 되는 배경을 소개하여 구조기술자들이내진설계에좀더확실한이해를할수있도록할것이다. 마지막으로 제3부에서는 비탄성해석을 좀 더 쉽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능력스펙트럼법의 배경과 이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성능점을 찾는 방법과 구조물의 비탄성 지진응답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함으로써 성능에 기초한 내진설계를 위한 기초 이론을 확실히 이해할수있도록할것이다. 구조동력학에 관한 내용을 여기에 상세히 소개하자면 엄청난 분량이 될 것이므로 여기서는 이 글을 읽는 구조기술자들이 구조동력학에 관한 기초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그러므로 구조동력학에 대한 기초적 이론을 확실히 이해하고 있지 못한분들은이글을읽기전에먼저구조동력학에관한알기쉬운서적을 먼저 읽도록 추천한다.

  • PDF

일상어휘를 기반으로 한 선물 가격 예측모형의 계발

  • 김광용;이승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9.06a
    • /
    • pp.291-300
    • /
    • 1999
  • 본 논문은 인공신경망과 귀납적 학습방법 등의 인공지능 방법과 선물가격결정에 대한 기존 재무이론을 사용하여 일상어취로 표현되는 파생상품 가격예측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모형의 개발은 1단계로 인공신경망이나 기존의 선물가격결정이론(평균보 유비용모형이나 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하여 선물 가격을 예측한 후, 서로 비교 분석하여 인공신경망 모형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귀납적 학습방법중 CART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If-Then 규칙을 생성하였다. 특히 실용적 측면에서 선물가격의 일상어휘화를 통한 모형개발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도하였다. 이러한 선물가격 예측모형의 유용성은 일단 If-Then 규칙으로 표현되어 전문가의 판단에 확실한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활용화 될 경우 매우 유용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선물가격 예측모형의 정확성은 분석표본과 검증표본으로 나누어 검증표본에서 세가지 기본모형(평균보유 비용모형, 일반균형모형, 인공신경망 모형)과 각 모형의 귀납적 학습방법 모형의 다른 3가지 어휘표현방법 3가지를 모형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공신경망모형은 상당한 예측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특히 CART를 기반으로 한 일상어취 기반의 선물가격예측 모형은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Occupational Socialization Patterns of Librarians : A Qualitative Multimethod Study (사서의 직업사회화 경험 유형 - 질적 다방법연구 -)

  • Kim, Kapseo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4 no.1
    • /
    • pp.177-199
    • /
    • 2013
  • Using a qualitative multimethod approach,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substantive theory about occupational socialization of librarians. Through theoretical sampling, 42 participants were in-depthly interviewed at three studies, i. e., phenomenological, ethnographic, and grounded theory approach. These data were analyzed and finally integrated using grounded theory approach. 'Acquiring Social Recognition as Information Professionals' was emerged the core category for describing and guiding the occupational socialization process. Six patterns were discovered: 'the Beliefs', 'the Seeking-Success', 'the Work-Obiligations', 'The Stucked', 'the Self-Pride', 'The Frustrated' Also, it discussed characteristics and socialization strategies of the patte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