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그린캠퍼스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1초

대학가 주변 그린캠퍼스 활성화 방안 (The Way of Activating the Green Campus around the University)

  • 음영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241-242
    • /
    • 2016
  • 본 연구는 학생 주도 하에 대학가 주변 그린캠퍼스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연구한 것이다. 대학가 주변은 주로 학생들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넓은 의미에서 그린캠퍼스에 포함될 수 있다. 자원 및 에너지의 절감 차원에서 볼 때 대학가 주변에 분리 쓰레기통 설치는 필요하다. 그러나 설치와 운영에 따른 비용 문제를 해결해야 가능하다. S대학의 사례는 이에 좋은 사례로 볼 수 있다.

  • PDF

대학 그린캠퍼스 정책과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 미국 AASHE, UNEP & ISCN-GULF 간 비교를 중심으로- (University Green Campus Policy & Evaluation Criteria -Focus on Comparison of Korea, US AASHE, UNEP & ISCN-GULF-)

  • 오준걸;염대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577-586
    • /
    • 2018
  • 대학캠퍼스는 여러 개의 건물로 구성된 하나의 소도시이자 막대한 에너지를 사용하며 많은 학생들이 향후 친환경에 대한 인식과 실천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다. 또 교육시설은 교육이 행해지는 물리적인 공간과 사용자가 동시에 접할 수 있는 건물의 형태라는 점에서 특히 그린캠퍼스는 중요점을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그린캠퍼스의 정책과 평가기준, 미국의 AASHE의 정책과 국제기구인 UNEP, ISCN-GULF의 그린캠퍼스 평가기준과 항목들을 비교분석하여 한국대학의 그린캠퍼스 조성의 활성화와 그린캠퍼스 인증 시행에 대비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그린캠퍼스 평가기준에서 개별 건축물의 경우 현재는 G-SEED에 의존한다. 하지만 인증의 시행을 위해 전체 건축물 총 연면적 대비 G-SEED인증 건축물 연면적의 비율로 평가항목을 마련하여 차등점수를 부여하여야 한다. 둘째, 한국의 그린캠퍼스 평가기준은 캠퍼스별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전체 평가항목의 수를 늘려서 평가항목과 점수를 신청 캠퍼스의 특성에 부합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STARS의 비교에도 나타나듯이 한국은 다른 친환경 건축물 인증과의 차별화를 위해 그린캠퍼스의 교육부문 평가영역에서 대학의 지속가능한 교육과정개발의 피드백이나 결과물의 관리와 이에 대한 명확한 보상을 보장하는 평가항목이 필요하다.

Now ESCO 1 - 2011 ESCO우수투자사례 -강남대학교 그린캠퍼스

  • 김대훈
    • ESCO지
    • /
    • 통권74호
    • /
    • pp.44-47
    • /
    • 2012
  • 2011년 10월 21일 열린 대한민국에너지대전에서 ESCO 우수투자사례 발표가 있었다. 전체 사업의 50% 이상이 에너지효율화와 연계하여 1980년 이후 5000개 이상의 에너지성과보증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온 한국하니웰은 강남대학교와 그린캠퍼스를 위한 산학 MOU를 체결해 캠퍼스 에너지 비용절감에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린캠퍼스 종합 상황실을 구축해 에너지 절감을 위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한국하니웰(주)의 ESCO 성과보증 사례를 소개한다.

  • PDF

그린캠퍼스 운영체계에 대한 사례연구 - 미국 그린캠퍼스 지원기관 및 하버드대학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Green Campus Operating System - Focused on the Green Campus Support Institutions of the United States and Harvard University -)

  • 김동현;이현;전강은;김세용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1-22
    • /
    • 2013
  • The concept of Green campus has recently become an issue with the fact that universities are classified as energy gluttons. This study clearly defines the meaning of domestic green campus, and explores the operating system of green campus and related associations. Then, it draws implications from the case of Harvard University. For the research, reports and research papers of the University are examined thoroughly, and detailed information were confirmed through visiting to the official home page and emails with authorities. The green campus support institutions of the United States are making efforts to integrate overlapping functions and create a synergy effect through internal interchange and information exchange, and substantive collaboration. Also, it is drawing active participation from students and faculties of American universities by publicizing and raising various methods of funding to manage them. The primary factors of Harvard University's success are: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all members, the coordinated oper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vision to be the center of the green campus initiative and the cooperation of each department. Other critical factors of Harvard's success are their fundraising capability, and specialized management institution.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draws applicable implications on domestic Green campus through in-depth analysis, which surpasses introduction of preceding studies.

지속가능한 대학 캠퍼스정책 및 플랜과 건축의 적용 특성 -UBC의 캠퍼스플랜과 CIRS 건물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University Campus Policy, Plan and it's Architectural Application -Focused on UBC Campus Policy, Plan and CIRS Building-)

  • 최순섭;오준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731-741
    • /
    • 2020
  • 캠퍼스플랜은 대학의 공간적 가치와 특성, 정체성을 포함한다. 세계적으로 친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캠퍼스 정책과 플랜에도 그린캠퍼스 논의와 실행, 인증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캐나다 UBC의 지속가능한 캠퍼스플랜을 통해 그린캠퍼스 인증제와 별도로 UBC가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대학캠퍼스 장책 및 공간, 실천전략으로서 건축적용 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캠퍼스플랜의 지속가능한 방향과 건축의 실천요소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결과, 첫째, 개별 건축물과 전체적인 목표와 부합성이 중요했다. 대학은 지속가능한 캠퍼스를 만들기 위한 목표설정 및 전략적인 실행체계가 필요하다. 둘째, 초기 단계에서 각 분야의 전문가 또는 이해관계자들의 참여형 디자인샤렛을 통한 가이드라인의 설정과 제도적 계획과정이 필요했다. 셋째, 완공 후 건축물의 실시간 에너지 사용량의 비교, 검증 모니터링과 이것의 피드백을 적용하는 선순환 구조체계가 필요했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도시의 리빙랩 개념으로서 캠퍼스정책과 플랜이 필요하다는 의도를 갖는다. 또한, 국내 대학의 상황에 부합하는 지속가능성의 목표와 실행방안 수립 모색에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워터프론트도시 공간조성방안 연구 -워터프론트 대학의 지속가능 캠퍼스를 중심으로 (A Space Making of Waterfront City focused on the Sustainable Campus on the Waterfront)

  • Lee, Kumjin;Chu, Beom;Song, Changge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6-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 통합적으로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학의 잠재적 역량을 발휘하여, 워터프론트에 위치한 캠퍼스의 입지적 장점을 극대화한 캠퍼스를 조성하고 최단기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계획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그린캠퍼스 운동이 주로 물과 에너지 절약, 친환경재료 및 신재생에너지 사용, 녹지공간 조성 등 대학 내 건축물에 대한 이산화탄소 저감을 추진하고 있다면, 워터프론트 대학의 지속가능 캠퍼스 조성은 여기에 더하여 지리적 특성을 반영한 공간계획과 친수, 안전, 건강, 스마트 등 구성원들의 인간적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물리적 계획을 포함하도록 한다.

Analysis of Green Campus Initiatives Led by Voluntary Participants of University Students

  • Cheon, Wan;Koo, Ja-Kon
    • KIEAE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21-32
    • /
    • 2017
  • Purpose: Since 2010, many universities in Korea have been implementing Green Leader Training Programs which are usually run by students themselves. In the last five years of 2015, the Green Leader Training Program under the sponsorship of Korean Association for Green Campus Initiative has promoted the practice of a green campus and many relative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in various fields. Method: We utilized the green campus component index established by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in Korea and have analyzed 480 activities during the years of 2010~2015. Result: We found that many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the environmental field(264, 55.0%). This was followed by university members' participation(130, 27.1%), community engagement(68, 14.2%), and university management(18, 3.7%).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green campus initiatives were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field. The number of universities participating from 2010 to 2015 were 20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15 in the non-metropolitan are. In the metropolitan area, 81.7% of green leader activities were conducted at universities in Seoul, and those in non-capital areas were active in the Middle region(51.3%) and Yeongnam region(48.7%).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activity in the Honam region, and it shows that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tial by regional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