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그린란드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6초

그린란드 수치표고모델의 수직정확도 검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ccuracy Assessment of Digital Elevation Model in the Greenland)

  • 박호준;최윤수;김재명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59-65
    • /
    • 2014
  • 최근 북극지역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각종개발 및 기후변화 연구 등을 위하여 수치표고모델 수요가 증가되고 있기 때문에 수치표고모델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확도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이 빙하로 덮여 있는 그린란드에 구축된 수치표고모델 중 ASTER GDEM과 GIMP DEM을 검증하였다. 수치표고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토지피복도를 사용하여 그린란드를 내륙빙상지역과 해안비빙상지역으로 나누었으며, 두 수치표고모델과 ICESat 표고값과의 차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내륙빙상지역에서는 GIMP DEM의 정확도가 더 높았으며, 해안비빙상지역에서는 ASTER GDEM의 정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주파수 SAR 영상을 이용한 북극해 그린란드 정착빙 분류 (Classification for Landfast Ice Types in the Greenland of the Arctic by Using Multifrequency SAR Images)

  • 황도현;황병준;윤홍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9
    • /
    • 2013
  • 그린란드 북쪽 정착빙 부근 해빙을 분류하기 위하여 현장 자료, 다중 주파수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 텍스쳐 영상을 사용하였다. 해빙의 유형은 first year ice, highly deformed ice, ridge, moderately deformed ice 총 4개로 분류하였다. K-means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텍스쳐 영상으로 분류한 경우 SAR 영상을 사용했을 때 보다 전체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최대 우도법(maximum likelihood)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을 때 텍스쳐 영상의 전체 정확도는 때에 따라서 높게 나타났다. 단일 영상 및 다중 영상을 사용했을 때 결과를 비교하면, K-means 알고리즘을 사용했을 때는 다중 영상을 이용하는 것이 전체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다. 최대 우도법 알고리즘을 사용했을 경우, 단일 영상을 사용했을 때와 다중 영상을 사용했을 때 클래스별 분류 정확도가 차이가 있어 단일 영상과 다중 영상을 적절하게 사용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텍스쳐 이미지를 이용한 그린란드 정착빙의 분류 (Classification for landfast sea ice types in Greenland with texture analysis images)

  • 황도현;황병준;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89-593
    • /
    • 2013
  • 원격 탐사의 SAR 영상을 이용한다면 구름이나 기상 조건의 변화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영상을 얻을 수 있어 해빙 관측에 적합하다. 해빙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어 이를 분류해서 결과를 관측한다면 종류별 변화를 보다 쉽게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감독분류의 최소 거리(minimum distance) 기법을 이용하여 해빙을 분류하였다. SAR 영상을 이용했을 때와 텍스쳐 영상을 이용한 결과를 비교했을 때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Radarsat-2의 텍스쳐 영상을 사용했을 때 전체 정확도가 가장 높았지만, 대체적으로 SAR 영상을 사용하였을 때 전체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다.

중국 운남성 부근에서 발견된 초기 캄브리아기 청지앙동물군 (Early Cambrian Chengjiang Fauna from Yunnan Province, China)

  • 이창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8-254
    • /
    • 2007
  • 최근 캄브리아기 초기에 해당하는 동물군 화석이 중국 운남성 부근에서 다량 발견되었다. 이 동물군 화석은 5억 2천만 년 전에서 5억 2천 5백만 년 전의 연대를 가진 마오탕샨 셰일에서 산출되며, 캐나다 로키의 버제스셰일동물군과 그린란드의 시리우스파세트동물군보다 약 1천만년 내지 2천만년 더 오래된 동물군으로 판단된다. 청지앙동물군은 아주 다양한 동물 화석으로 구성되며, 몸체의 약한 부분이 잘 보존되어 있다. 이러한 조건은 유수, 생란 작용, 생화학 작용을 받지 않는 환경 즉 반복된 빠른 퇴적작용에 의해서 화석화된 것이다.

제주도 해산 히드라충류(자포동물 문: 히드라충 강: 히드라충 목) (Marine Hydroids(Cnidaria: Hydrozoa: Hydroida) from Cheju Island, Korea)

  • 박정희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2호
    • /
    • pp.261-280
    • /
    • 1993
  • 1993년 6월 28일부터 7월 3일 까지 문섬, 범섬 및 숲섬에서 채집된 히드라충류는 10과 25속 46종/아종으로 동정, 분류되었다. 이 중 뿌리히드라(Rhizocaulus chinenesis), 쌍뾰족혹히드라(Obelia bicuspidata), 사슬화관히드라(Sertularia desmoides), 가시깃히드라(Plumularia spinulosa)의 4종은 제주 미기록종이고, 기생털히들(Hebella parastica), 그린란드종히들 (Campanularia groelandica), 나팔종히드라(Campanularia everta), 나탈테히드라(Sertularella natalensis)의 4종은 한국미기록종으로 밝혀졌다. 문헌기록에 의하면 제주도 해산 히드라충류는 12과 41속 91종/아종이 된다. 제주해역의 우점종은 자색깃히드라(Aglaophenia suensonii)이다. 채집기별 종의 분포를 서귀포에 71종(78%)이 분포하여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고 그 다음이 문섬 43종(47%), 숲섬 26종(29%), 위미리 13종(14%), 범섬 11종(12%)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주해역에만 분포하는 종은 30종(33%)으로 밝혀졌다.

  • PDF

HadGEM2-AO 모델이 모의한 AMOC 수십 년 변동 메커니즘 (A Mechanism of AMOC Decadal Variability in the HadGEM2-AO)

  • 위지은;김기영;이조한;부경온;조천호;김철희;문병권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9-209
    • /
    • 2015
  • 북대서양 자오면 순환(AMOC)은 그린란드 부근에서 고밀도 해수의 침강으로 유도되는데, 이것은 열과 물질을 수송시키기 때문에 기후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이다. 이 연구는 전 지구 기후모델 중 하나인 HadGEM2-AO 모델에서 모의된 AMOC의 특징과 장기변동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AMOC 지수를 이용한 지연 상관 분석을 통해 AMOC의 수십 년 변화는 해양 자체유지 변동으로 간주할 수 있었다. 즉 AMOC의 장기 변화는 남북 수온 경도와 해양 순환의 위상차로 인해 발생하는 불안정성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MOC가 강해지면서 열의 북향 수송에 의해 남북 수온 경도가 작아지고, 따라서 해수의 순환과 열 수송이 줄어드는데, 이와 함께 고위도에서는 냉각이 유도되어 결과적으로 다시 AMOC가 강해지게 된다. 이 메커니즘은 저위도로부터 이류되는 열의 양에 따라 고위도 지역의 밀도 변화가 결정되기 때문에 AMOC의 변동을 염분 유도가 아닌 열적 유도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온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을 이용한 눈 시료의 이온성분 측정자료의 불확도 산출 (Uncertainties of ionic species in snowpit samples determined with ion chromatography system)

  • 홍상범;허순도;김선미;홍성민;정지웅;강남구;강창희
    • 분석과학
    • /
    • 제25권6호
    • /
    • pp.350-363
    • /
    • 2012
  • 이온크로마토그래피(IC) 시스템을 이용하여 눈 시료의 이온성분을 측정하기 위해 IC 시스템의 성능평가, 시료 병의 세척법, 필터 적용에 따른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온성분 측정자료의 불확도 산출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IC 시스템 검출한계는 양이온의 경우 0.01~0.26 ${\mu}g/L$, 음이온 성분들은 0.02~0.26 ${\mu}g/L$로 나타났다. 그리고 양이온과 음이온의 재현성을 나타내는 변동계수는 각각 0.4-17.4%, 0.1-27.6%로 조사되었다. BCR$^{(R)}$-408을 이용한 측정자료의 정확도 조사 결과 양이온과 음이온의 상대오차는 각각 4.5-12.0%, 1.3-5.6%로 나타났다. 시료 병에 대한 실험실 바탕시험 결과 유기음이온을 포함한 일부 성분들($CH_3CO_2{^-}$, $HCO_2{^-}$, $NH_4{^+}$)의 경우 다른 성분들에 비해 오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NO_3{^-}$ 성분의 바탕시험 결과는 시료 병 세척과정에 사용된 $HNO_3$의 잔류에 따른 오염영향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눈 시료 용융액의 불용성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필터를 사용할 경우 일부 이온 성분들은 필터로부터 직접 용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사용 전에 증류수(~ 6 mL)로 세척하는 것이 필요하고 지역별로 눈 시료의 농도 특성을 고려하여 선별적으로 필터를 적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그린란드 북서부 내륙의 NEEM 캠프의 풍상 지역에서 채취한 눈 시료의 이온성분 측정 자료의 불확도를 산출하기 위해 이온 성분 가운데 $F^-$ 측정 자료에 대해 불확도를 결정하였다.

전지구 해양·해빙예측시스템 NEMO-CICE/NEMOVAR의 북극 영역 해빙초기조건 특성 분석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ea Ice Initial Conditions for a Global Ocean and Sea Ice Prediction System, the NEMO-CICE/NEMOVAR over the Arctic Region)

  • 안중배;이수봉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2-89
    • /
    • 2015
  • 전지구 해양 해빙 예측시스템인 NEMO-CICE/NEMOVAR의 해빙 초기조건의 특성을 2013년 6월부터 2014년 5월까지 북극영역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측 자료와 재분석 자료를 모델의 초기조건과 비교하였다. 모델 초기조건은 관측에서 나타나는 해빙 면적과 해빙 두께의 월 변동을 잘 보이는 반면, 분석 기간 동안 관측과 재분석 자료보다 북극의 해빙 면적을 좁게, 해빙 두께를 얇게 나타내었다. 모델 초기조건의 북극 해빙 면적이 좁은 것은 해빙의 경계 지역에서 해빙 농도 초기조건이 약 20% 정도 재분석자료보다 낮기 때문이다. 또한 북극 평균 해빙 두께가 얇게 나타나는 이유는 연중 두꺼운 해빙이 유지되는 그린란드 및 북극 군도와 인접한 북극해 영역에서 모델의 초기조건이 약 60 cm 정도 얇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