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그린디자인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2초

제4회 그린패키징 공모전 수상작 (4th Green Packaging Contest)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260호
    • /
    • pp.87-97
    • /
    • 2014
  • 한국환경포장진흥원이 친환경 포장기술 및 녹색 포장디자인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매년 개최하고 있는 제4회 그린패키징 공모전 시상식이 11월 5일 엘타워에서 열렸다. 포장에도 녹색의 생명력 부여한다는 기치 아래 열리고 있는 그린패키징 공모전은 올해 일반 부분 17개 기업에서 25점, 학생 11개교 83점 등 총 108점의 작품이 응모되는 등 3회에 이어서 포장관련 업체 관계자 및 전공 학생들의 많은 관심 속에 실시됐다. 일반부문 대상인 환경부 장관상에는 LG생활건강, (주)서원케미칼, 한국 요꼬가와 일렉트로닉스 매뉴팩처링(주)이 선정됐으며, 최우수상인 한국환경포장진흥원 이사장상에는 삼성전자(주), 씨제이 제일제당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 외에도 우수상인 한국환경포장진흥원 원장상에는 (주)휴먼아이디비, 진일패키징에서 출품한 제품포장이 수상을 했다. 한편 학생부문에도 한양대학교 시각디자인과 최물결 양,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배찬웅 군이 대상을 수상하는 등 총 48점의 작품이 수상작품으로 선정됐다. 환경포장진흥원은 친환경포장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관심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기업 및 학생들의 많은 참여가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제4회 그린패키징 수상작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그린 제품의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Direction for Green Products)

  • 정현선;김관배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3호
    • /
    • pp.113-124
    • /
    • 1998
  • 고도의 경제 성장, 산업화, 그리고 과학 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생활에 많은 편리함과 이익을 부여하는 반면에, 그러한 생활을 꾀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자연 생태계가 파괴되고 많은 양의 자원과 에너지를 소비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세계 각국에서는 환경을 보존하려는 시도가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도 이에 동참하는 환경 보호 운동이 각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환경과 자원 보호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품 디자인 분야에서도 그런 제품에 관한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환경 보호에 대한 홍보를 통하여 환경 오염에 대한 심각성이 소비자들에게 점점 인식됨에 따라 그린 제품의 중요성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런 제품은 환경과 생태학적 측면에서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그의 비중이 높아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환경 오염에 대한 세계 각국의 환경 보존 운동의 실태를 고찰하고, 그린 제품의 현황과 사례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그린 제품의 개발을 위한 바람직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 PDF

해외건축동향: 미국 - 파라메트릭 디자인XI (Overseas - Parametric DesignXI)

  • 성우제
    • 건축사
    • /
    • 통권572호
    • /
    • pp.118-121
    • /
    • 2016
  • 저번 회에서는 Barclays Center의 그린루프의 디자인 과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소음 저감의 목적으로 인하여 도출되었던 두 가지의 변수(새로운 루프의 중량과 두 겹의 루프사이에 위치하는 빈 공간)및 기존의 바클레이 센터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인 특성(파라펫 및 기존 루프의 형상)을 고려하여 design surface를 설정하였고, 중량에 대한 조건 및 주변의 고층 주거빌딩들로 인해 일반적인 루프와는 다른 미적인 특이성을 고려하여 그린 루프라는 큰 방향을 제시하고, 양방향 곡면의 특성을 가지는 루프의 지오메트리와 시공 상의 복잡함과 공기의 단축을 위해 모듈로 이루어진 시스템을 제안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회에서는 루프의 디자인을 진행함에 있어서 어떠한 제약 조건이 있었으며 그러한 제약 조건들이 최종적인 루프 디자인 및 패턴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파라메트릭 툴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어서 다음 회에서는 디자인 측면에서가 아닌 pre-construction의 측면에서 시공상의 시행착오를 줄이고 공기를 단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파라메트릭 툴의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했던 과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PDF

그린 어메너티의 공간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2016년~2018년 메종 & 오브제(Masion & Objet) 세계 박람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Space Design of Green Amenity)

  • 홍윤주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0호
    • /
    • pp.45-61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공간을 이루는 모든 것을 보여주는 '메종 & 오브제' 전시회의 최근 경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그린어메너티'가 적용된 사례를 찾아보았다. 형태적 측면에서 미니멀한 공간을 곡선의 형태로 채웠고 점차 자연을 재현하는 디자인이 제작되었다. 점차 새롭게 맥시멀리즘이 대두되어 디자인에 장식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공예적인 제품이 많이 나타났다. 재료적 측면에서는 자연주의 감성이 대세로 자연적인 목재소재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재료는 다양한 이질재료와 결합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완성하며 자연적 요소를 공간 안에 형상화하였다. 색채적 측면에서는 2016년은 테마가 '와일드 (Wild)'로 야생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볼 수 있었다. 나무의 갈색과 초록색을 중심으로 자연의 다채로운 색채를 보여주었다. 2017년의 '사일런스 (Silence)'는 핑크 컬러의 특징이 돋보인다. 또한 따뜻한 느낌의 적갈색 계열의 가구가 제작되었다. 예전엔 황동이나 로즈 골드가 유행이었다면 2017년은 골드나 실버 색상의 제품이 더 대세를 보였다. 2018년은 '쇼룸(Show-Room)'이 테마로 대표 색채는 초록색으로 노랑, 분홍과 함께 새롭게 디자인에 영향 주었다.

2000년대 그린디자인에 나타난 로하스(Lohas)의 패션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Lohas Fashion Represented Green Design in 2000's)

  • 박수민;유영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07-318
    • /
    • 2008
  • Recently, the environmental problems have surfaced as serious social issues. More people become aware of the environments and seek for new kinds of lifestyle Loh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Lohas fashion design in ready-to-wear collection from 2000 till 2005. In the study, green design which was the base of Lohas fashion, was first examined, which was followed by an analysis of Lohas styles to understand the green design-oriented characteristics of Lohas fashion in the current fashion trend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ifestyle of Lohas values 'environment-friendliness', 'sustainability', 'importance of health' and 'sensitivity'. Second,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Lohas lifestyle categorize the Lohas fashion into five different looks: 'Lohas Natural Look', 'Lohas Vintage Look', 'Lohas Redesign Look', 'Lohas Multi look', and 'Lohas Wellness Look'. This study set out to provide useful results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in studying design and related areas where they would develop fashion products for the consumers with the latest tastes as well as to promote environment protection.

그린하우스 디자인에 의한 차체 측면의 스타일 이미지 변화 고찰 (An Observation on the Change of the Style Image of Body Side by the Design of the Greenhouse)

  • 구상;장호익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63-170
    • /
    • 2006
  • 최근 자동차 메이커간의 인수 합병 등으로 차량 제조기술의 평준화와 전반적인 차량성능의 향상으로 하드웨어(hardware)를 중심으로 하는 기술적 특성보다는 소프트웨어(software)적인 성격을 가진 디자인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것이 최근의 자동차 개발과 소비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린하우스를 구성하는 조형요소들의 고찰을 통해 차량의 컨셉트를 조형적 특성으로 구체화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승용차의 스타일에서 그린하우스를 구성하는 조형요소에 의한 차량의 형태 이미지의 형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가상지붕의 개념으로 그린하우스의 형태를 분석하여, 그것의 비례를 통해 차량의 성격에 따른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차량의 언어적 컨셉트를 물리적 형태로 구체화시키는 과정에서 차체의 형태로써 정립하고 구현하는 방법의 도출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PDF

베이징시 그린벨트의 탄성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the Resilient Development of Green Belts in Beijing)

  • 허순핑;홍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36-248
    • /
    • 2019
  • 수도권의 그린벨트는 도시 경계선을 설치하여 생태 보호체계를 구축하고 도시의 탄성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베이징시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시종합계획이 실시되는 기한 동안 두 그린벨트가 포함하는 지역의 녹색 공간은 변화에 따라 그 비율에 큰 차이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를 출발점으로 삼아 '도시 구조체계요소' 및 '정책과 계획요소'가 녹색 공간 규모의 변화와 갖는 상관성을 연구하여, 베이징시 녹색 공간의 계획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변량 선형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베이징의 두 그린벨트를 대상으로 삼아 도시체계요소 및 계획정책요소(독립 변수)와 그린벨트 내의 건설용 토지의 증가(종속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인구밀집과 건설용 토지가 확장될 수 있는 동력의 영향을 받아 산지, 물가, 단위 면적당 임대료, 대중교통의 접근성, 신설된 국가 소유의 건설용 토지 등 도시체계요소는 녹색 밸트 내의 건설용 토지의 규모 변화와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시 그린웨에이 대한 감지(感知)와 평가 연구 -정주시(郑州市) 동풍거(东风渠) 그린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Residents'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Urban Greenway -Centered on the Greenway of Zhengzhou Dongfeng Canal-)

  • 장림;문정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919-929
    • /
    • 2022
  • 그린웨이는 일종의 새로운 형태의 건강 공공 공간이다. 사용자들은 그린웨이에서 여가활동, 운동, 관람과 필요한 교통 이동을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그린웨이 사용자들이 그린웨이에 대한 평가 및 감지에 연관된 연구가 매우 부족하며, 인본적 관점에서 그린웨이 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탐구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현재 중국도시의 대표적인 그린웨이에 대한 연구와 그린웨이의 실제 현황을 결합하고 대량의 문헌을 참고하였으며 시맨틱디퍼렌셜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 과 다원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동풍거(东风渠) 그린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그린웨이 사용자들의 감지(感知)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그린웨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요소 및 그에 따른 영향평가를 탐구하고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정주시(郑州市) 동풍거(东风渠) 환경의 최적화에 대한 개선 사항을 건의하였다. 본 연구의 가장 핵심적인 결론은 시맨틱디퍼렌셜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에서 도출된 데이터 결과가 그린웨이를 사용하는 주민들의 평가로부터 실질적으로 실현 가능한 데에서 기인한 것이며, 사용 후 평가된 피드백 결과는 앞으로 이와 같은 그린웨이 계획 설계에 신뢰할 수 있는 참고적 자료를 제공해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