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그레이브스병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8초

소아 및 청소년 그레이브스병 환자에서의 관해 예측 인자와 관해율 (Remission rate and remission predictors of Graves diseas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선희;이성용;정혜림;김재현;김지현;이영아;양세원;신충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9호
    • /
    • pp.1021-1028
    • /
    • 2009
  • 목 적:저자들은 그레이브스병으로 인한 갑상샘기능항진증을 가진 소아나 청소년에게 항갑상샘 약물 치료 전, 치료 중, 그리고 치료 종료 시에 관해를 예측할 수 있는 예측인자를 각각 찾아보고 그레이브스병의 관해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그레이브스병으로 인한 갑상샘기능항진증으로 진단받고 3년 이상 외래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64명의 환자를 관해를 획득한 군과 관해를 획득하지 못한 군으로 나누어 후향적으로 진단 당시의 갑상선 기능 검사와 TBII, 진단 당시 Tanner stage, 갑상샘 질환 가족력, 발현시의 증상, TBII가 정상화되는 시기와 TRH 자극 검사 시행 여부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결 과:총 64명의 환아 중 관해가 온 환아는 37명(57.8%), 마지막 외래 추적 관찰 때 까지 관해가 오지 않은 환아는 27명(42.2%)이었다. 관해를 획득한 군과 관해를 획득하지 못한 군에서 성별이나, 발병 당시 나이, 안구돌출 여부나 진단 당시 갑상샘종의 크기, 갑상샘 질환의 가족력, 그리고 진단 당시 갑상샘 기능 검사나 TBII 수치도 차이가 없었다. 약물 치료 후 TBII가 정상화되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관해를 획득한 군은 평균 $15.5{\pm}12.07$개월, 관해를 획득하지 못한 군은 $41.69{\pm}35.70$개월로 관해를 획득한 군에서 관해를 획득하지 못한 군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P<0.05). 관해에 도달 한 후 TRH 자극 검사를 시행한 28명의 환아 중 정상 또는 과도한 반응을 보인 26명 중 24명(92.8%)은 마지막 외래 추적 관찰 시까지 관해를 유지하고 있었고 오직 2명(7.7%)에서만 재발하였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약물 치료 후 TBII가 빨리 정상화 되는 경우 관해가 올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의 관해율은 3년에 6.3%, 6년에 55.8%로 나타났다. 결 론:치료 중 TBII가 빨리 정상화되는 것은 소아 및 청소년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관해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약물 중단 시에는 TRH 자극 검사가 그레이브스병이 재발 없이 관해를 유지할 수 있는지 예측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자가면역성 갑상선질환에서의 혈청 Thyrotropin-Binding Inhibiting Immunoglobulin치 (Thyrotropin-Binding Inhibiting Immunoglobulin(TBII) in Patients with Autoimmune Thyroid Diseases)

  • 장대성;안병철;손상균;이재태;이규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5-76
    • /
    • 1996
  • 1993년 2월부터 1994년 8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핵의학과에서 진료한 갑상선질환 중 그레이브스병 402예와 하시모토갑상선염 230예를 대상으로 혈청 thyrotropin-binding inhibiting immunoglobulin (TBII)치를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여 갑상선 기능상태와 그 치료경과에 있어서의 동태를 관찰하고 아울러 혈청 갑상선글로블린치, antithyroglobulin anti-body(ATAb) 및 antimicrosomal antibody(AMAb)의 동태를 동시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혈청 TBII치는 갑상선기능항진성 그레이브스병에서 평균 $40.82{\pm}21.651%$, 하시모토갑상선염에서 평균 $8.89{\pm}14.522%$로서 정상 대조군의 평균 $3.21{\pm}2.571%$에 비하여 유의한 상승치를 보였다. 그레이브스병 중에서도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있는 387예에서는 TBII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한 예가 92.2%(357예)였으며, 갑상선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된 그레이브스병 15예에서는 TBII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예는 46.7%(7예)에 불과하였다. 하시모토갑상선염 230예에서는 TBII치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한 예는 23.9%(55예)였다. 그레이브스병에서 TBII치들은 RAIU 6시간치 및 24시간치, T3, T4, FT4들과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혈청 갑상선글로블린 및 AMAb와도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었다(p<0.001). 그러나 혈청 TBII치와 TSH와는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고(p<0.001), ATAb와는 상관성이 없었다. 하시모토갑상선염에서는 TBII치는 RAIU 6시간치 및 24시간치, T3, TSH, AMAb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있었고(p<0.05), 혈청 T4, FT4, 갑상선글로불린 및 ATAb치와는 상관성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그레이브스병에서는 혈청 TBII치가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정도를 반영하는 소견이 되며 회복기의 TBII치는 예후를 반영하는 자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하시모토갑상선염에서는 비록 TBII치가 상승된 예는 많지 알지만 갑상선기능이 항진되거나 저하되는 소견의 정도와 관련이 있고 병변의 중증도를 반영한다고 볼 수가 있다.

  • PDF

19세 남성에서 그레이브스병의 다면적 군인성검사 결과 (Result of Multiphasic Military Personality Inventory Among Grave's Disease in 19-Year-Old Men)

  • 김종현;이종국;서정석;김주현;오근;김태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30권2호
    • /
    • pp.196-202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19세 남자에서 그레이브스병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다면적 인성검사인 군인성검사(Military Personality Inventory, MPI) 결과를 통해 정량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우리는 2008년 2월부터 2010년 1월까지 병무청으로 군 신체검사를 받으러 방문한 19세 남자 중 다른 내외과 및 정신건강의학과 질환이 없는 건강한 대상자들 592명과 그레이브스병으로 확진된 대상자들 148명의 MPI 결과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 과 인구학적 특징에서 대상자들은 19세 남자로 나이와 성별이 동일하였으며, 교육수준, 사회경제적 상태, 부모관계, BMI 모두에서 그레이브스병 환자군과 정상대상자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χ2=0.089, p=0.766; χ2=5.090, p=0.278; χ2=5.988, p=0.112; t=-0.635, p=0.526). 다면적 MPI 결과에서 타당도 척도에서는 긍정왜곡(fakinggood) 하위 척도 점수가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t=3.507, p<0.001), 부정왜곡(faking-bad) 하위척도 점수와 희귀도(infrequency) 하위 척도 점수는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700, p=0.090; t=-0.519, p=0.604). 신경증 척도에서는 불안(anxiety), 우울(depression), 신체화(somatization),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하위척도 점수가 모두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t=-3.323, p<0.001; t=-4.210, p<0.001; t=-6.202 p<0.001; t=-2.872, p<0.01). 정신증 척도에서는 조현병 및 편집증 하위 척도 점수 모두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158, p=0.874; t=-0.846, p=0.398). 결 론 MPI 결과로 미루어 볼 때, 19세 남자에서 그레이브스병 환자는 정상대상자보다 불안 및 우울 수준이 더 높았으며, 신체적 염려 또는 증상을 더욱 호소하였고, 내향성이나 충동성과 같은 성격장애 성향이 더욱 나타났다.

자가 면역 갑상선 질환에 대한 최대 표준섭취계수와 갑상선 자가 항체의 임상적 상관관계: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그레이브스병 중심으로 (Clinical Correlation between the Autoimmune Thyroid Disease for the Thyroid Autoimmune Antibodies and the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Base on the Hashimoto's Thyroiditis and the Graves' Disease)

  • 우민선;백철인;유주은;송종우;임인철;손주철;조수동;이재승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41-248
    • /
    • 2014
  • 본 연구는 미만성 $^{18}F-FDG$ 갑상선 섭취를 보이는 PET/CT 영상에서 최대 표준섭취계수($SUV_{max}$)와 갑상선 자가 항체(anti-TPO Ab, anti-TG Ab, TSH)들 사이의 임상적 상관관계를 하시모토 갑상선염과 그레이브스병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0년 5월부터 2013년 4월까지 건강검진에서 PET/CT 검사를 시행한 환자 1,097명을 대상으로 미만성 FDG 갑상선 섭취 여부를 분석하여 갑상선 기능 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추가적으로 시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미만성 $^{18}F-FDG$ 갑상선 섭취를 보이는 자가 면역 갑상선 질환 환자는 39명(3.6%)이 발견되었으며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43.6%, 그레이브스병은 23.1% 이었다.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anti-TPO Ab와 anti-TG 수준이 높은 역가의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SUV_{max}$와 anti-TPO Ab간 상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0.4, p<0.05). 또한 그레이브스병은 대부분의 갑상선 자가 항체의 수준이 높은 역가의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SUV_{max}$와 TSH간 상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0.5, p<0.01). 따라서 미만성 18F-FDG 갑상선 섭취 증가에 따른 $SUV_{max}$ 수준이 높을수록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anti-TPO Ab 수준이, 그레이브스병은 TSH 수준이 비례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상관관계는 자가 면역 갑상선 질환에 대한 부대 징후를 판단할 수 있는 가장 영향력 있는 척도로서 임상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레이브스병으로 진단된 소음인의 팔물군자탕과 양약 병용 투약한 치험 1례 (The Clinical Study on 1 Case of Soeumin Patient Diagnosed as Grave's disease, Treated with Palmulgunja-tang and Western Medicine)

  • 이승협;최애련;구덕모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98-105
    • /
    • 2010
  • 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ase is to report that Soeumin patient diagnosed as Grave's disease was treated with Palmulgunja-tang and antithyroid drugs in combination. 2. Methods From April 7, 2010 to June 30, 2010, we treated him with Palmulgunja-tang and antithyroid drugs. We took his weight, pulse and checked visual analog scale(VAS) to evaluate the symptoms of Grave's disease. 3. Results After treatment, this patient's thyroid function test were improved faster than with western medicine treatment only in 2009. The symptoms also were improved. 4. Conclusions This case study showed an efficient results by giving Sasang Constitutional treatment in treatment of Grave's disease.

그레이브스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의 방사성옥소($^{131}I$) 치료시 실제 유효반감기의 측정 (Measurements of Actual Effective Half-Life in $^{131}I$ Therapy for Graves' Hyperthyroidism)

  • 소용선;김명선;권기현;김석환;김태형;한상웅;김은실;김종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7-85
    • /
    • 1996
  • 목적 : 그레이브스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에서 개개인마다 유효반감기가 차이가 있기 때문에, 방사성옥소 치료시 용량산출법에서, 고정된 유효반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환자에 따라 과용량 뿐만아니라, 부족한 용량을 투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저자들은 환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는, 유효반감기를 $^{131}I$ 치료의 효과를 결정하는 가능한 한 인자로서 평가하고, 방사성옥소 투여후에 실제 유효반감기를 추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환자에게 실제 흡수된 방사선 흡수선량을 구하고 예정 흡수선량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조사선량을 추정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시작했다. 대상 및 방법 : 대상은 1995년 4월부터 본원의 갑상선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중 그레이브스병 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 진단받았으나 항갑상선제를 장기간 복용에도 불구하고 관해를 유도하지 못했던 경우와, 항갑상선제에 대한 부작용으로 복용할 수 없는 환자 및 환자가 수술적 치료를 거부한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성옥소 치료를 실시하였다. 수정된 Quimby-Marrinelli[투여량(MBq)=$absorbed\;dose(100Gy){\times}thyroid\;weight(g){\times}25{\div}T_{1/2}(day){\div}24hr$ $^{131}I$ uptake(%)]공식에 의해서 계산된 용량을 기준으로 방사성옥소를 투여한 후에 24, 48, 72, 96, 120시간당 방사성 옥소의 갑상선흡수율을 구한후 생물학적반감기, 유효반감기, 흡수선량을 구하였다. 결과: 1) 환자들에서 방사성옥소 투여시 실제 생물학적반감기는 9.5일에서 67.2일까지 다양하게 나타났고 평균 $21{\pm}13.0$(S.D.)일 이었다. 유효반감기는 평균 $5.3{\pm}0.88$(S.D.)일 이었으며 4.3일에서 7.1일까지였다. 2) 평균 방사성옥소 투여량은 532MBq(S.D.=${\pm}254$), 이때 실제 흡수선량은 112Gy(S.D.=${\pm}50.9$)였고, 갑상선조직 1그람당 100Gy의 흡수선량의 도달에 필요한량은 평균 583MBq(S.D.=${\pm}385$)였으며 평균 51MBq의 추가 용량투여가 필요하였다. 3) 방사성옥소의 추적자용량과 치료량에서의 갑상선 옥소섭취율의 변화는 t 값이 3.85, p<0.001로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차가 인정되었다. 4) 갑상선 중량측정에 있어서 갑상선스캔과 초음파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유효반감기, 갑상선중량, 치료전과 치료후의 방사성옥소섭취율은, 40세 이전과 40세 이후의 양군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방사성옥소 치료시 용량결정 방법에서 실제 유효반감기를 이용한 방법은, 치료자가 목표로 한 흡수선량을 환자들에게 되도록 정확하게 투여하여, 방사성옥소 투여 후 잦은 빈도로 발생하는 갑상선기능저하증과, 치료실패의 빈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그레이브스병의 갑상선 아전절제술후 저칼슘혈증 (Symptomatic Hypocalcemia After Subtotal Thyroidectomy for Graves' Disease)

  • 김승일;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85-190
    • /
    • 1995
  • Transient and permanent hypocalcemia after various types of thyroidectomy are well-known complications, and are more common after bilateral subtotal thyroidectomy for Graves' disease. However, their causative mechanisms are not well explained. Four hundred thirty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who underwent bilateral subtotal thyroidectomy from January 1983 through December 1992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postthyroidectomy hypocalcemia. Of the 430 patients underwent bilateral subtotal thyroidectomy, symptomatic transient and permanent hypocalcemia developed in 24.2 % (104/430) and 0.5 % (2/430), respectively. With analysis of potential risk factors, the increase in incidence of the postthyroidectomy hypocalcemia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related to the larger thyroid gland, the larger amount of blood loss during thyroidectomy, the smaller remnant thyroid tissue, the higher levels of serum alkaline phosphatase and TBII titers. Our data suggest that impairment of parathyroid gland blood supply, degree of thyrotoxic osteodystrophy and autoimmune process of each patient are regarded as main mechanisms of postthyroidectomy hypocalcemia in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 PDF

그레이브스병 환자에 대한 안전백호탕의 임상적 유효성 안전성 연구 (The Clinical Study of Ahnjeonbaekho-tang on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 이병철;한양희;신선미;안세영;조충식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21
    • /
    • 2018
  • Objective: Graves' disease, the most common cause of primary hyperthyroidism, is a thyroid specific autoimmune disorder. When resistance to medication is shown in spite of long term therapy with anti-thyroid drugs, radioactive iodine therapy would be chosen in Western medicine. However, this therapy has often been reported to cause patients have hypothyroidism, thus requiring them to take levothyroxine for the rest of their lives.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Ahnjeonbaekho-tang (AJBHT) on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Methods: We prescribed AJBHT for 3 months to two groups: patients who had been taking antithyroid drugs were administered AJBHT after discontinuing the antithyroid drugs ($Com-Tx{\rightarrow}Single-Tx$), and patients who had not been taking antithyroid drugs were started with AJBHT (Single-Tx) immediately. We evaluated the thyroidal function test (TFT)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for clinical symptoms for 3 months. Results: Serum T3 and fT4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groups and remission rate of thyroidal hormon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Single-Tx group. The clinical symptoms of palpitation, fatigue, and heat intoleranc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groups. In the safety analysis, all patients were in normal range of liver, renal function blood test and common blood count.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at AJBHT was effective on TFT and clinical symptoms of Graves' disease. The study supports that AJBHT may be a useful agent for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who are resistant to antithyroid medication or radioactive iodine therapy, and for patients at first diag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