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surements of Actual Effective Half-Life in $^{131}I$ Therapy for Graves' Hyperthyroidism

그레이브스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의 방사성옥소($^{131}I$) 치료시 실제 유효반감기의 측정

  • So, Yong-S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il General Hospital) ;
  • Kim, Myung-S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il General Hospital) ;
  • Kwon, Ki-H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il General Hospital) ;
  • Kim, Seok-Wh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il General Hospital) ;
  • Kim, Tae-Hy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il General Hospital) ;
  • Han, Sang-Wo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il General Hospital) ;
  • Kim, Eun-Sil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Hanil General Hospital) ;
  • Kim, Chong-S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nil General Hospital)
  • Published : 1996.03.25

Abstract

Radioiodine($^{131}I$)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Graves' hyperthyroidism since the late 1940's and is now generally regarded 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Graves' hyperthyroidism who does not remit following a course of antithyroid drugs. But for the dose given, several different protocols have been described by different centers, each attempting to reduce the incidence of long-term hypothyroidism while maintaining an acceptable rate control of Graves' hyperthyroidism. Our goals were to evaluate effective half-life and predict absorbed dose in Graves' hyperthyroidism patients, therefore, to calculate and readminister radioiodine activity needed to achieve aimed radiation dose. Our data showed that the mean effective $^{131}I$ half-life for Graves' disease is 5.3 days(S.D=0.88) and mean biologic half-life is 21 days, range 9.5-67.2 days. The mean admininistered activity and the mean values of absorbed doses were 532 MBq(S.D.=254), 112 Gy (S.D.=50.9), respectively. The mean activity needed to achieve aimed radiation dose were 51MBq and marked differences of $^{131}I$ thyroidal uptake between tracer and therapy ocurred in our study. We are sure that the dose calculation method that uses 5 days thyroidal $^{131}I$ uptake measurements after tracer and therapy dose, provides sufficient data about the effective half-life and absorbed dose of $^{131}I$ in the thyroid and predict the effectiveness of $^{131}I$ treatment in Graves' hyperthyroidism.

목적 : 그레이브스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에서 개개인마다 유효반감기가 차이가 있기 때문에, 방사성옥소 치료시 용량산출법에서, 고정된 유효반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환자에 따라 과용량 뿐만아니라, 부족한 용량을 투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저자들은 환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는, 유효반감기를 $^{131}I$ 치료의 효과를 결정하는 가능한 한 인자로서 평가하고, 방사성옥소 투여후에 실제 유효반감기를 추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환자에게 실제 흡수된 방사선 흡수선량을 구하고 예정 흡수선량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조사선량을 추정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시작했다. 대상 및 방법 : 대상은 1995년 4월부터 본원의 갑상선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중 그레이브스병 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 진단받았으나 항갑상선제를 장기간 복용에도 불구하고 관해를 유도하지 못했던 경우와, 항갑상선제에 대한 부작용으로 복용할 수 없는 환자 및 환자가 수술적 치료를 거부한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성옥소 치료를 실시하였다. 수정된 Quimby-Marrinelli[투여량(MBq)=$absorbed\;dose(100Gy){\times}thyroid\;weight(g){\times}25{\div}T_{1/2}(day){\div}24hr$ $^{131}I$ uptake(%)]공식에 의해서 계산된 용량을 기준으로 방사성옥소를 투여한 후에 24, 48, 72, 96, 120시간당 방사성 옥소의 갑상선흡수율을 구한후 생물학적반감기, 유효반감기, 흡수선량을 구하였다. 결과: 1) 환자들에서 방사성옥소 투여시 실제 생물학적반감기는 9.5일에서 67.2일까지 다양하게 나타났고 평균 $21{\pm}13.0$(S.D.)일 이었다. 유효반감기는 평균 $5.3{\pm}0.88$(S.D.)일 이었으며 4.3일에서 7.1일까지였다. 2) 평균 방사성옥소 투여량은 532MBq(S.D.=${\pm}254$), 이때 실제 흡수선량은 112Gy(S.D.=${\pm}50.9$)였고, 갑상선조직 1그람당 100Gy의 흡수선량의 도달에 필요한량은 평균 583MBq(S.D.=${\pm}385$)였으며 평균 51MBq의 추가 용량투여가 필요하였다. 3) 방사성옥소의 추적자용량과 치료량에서의 갑상선 옥소섭취율의 변화는 t 값이 3.85, p<0.001로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차가 인정되었다. 4) 갑상선 중량측정에 있어서 갑상선스캔과 초음파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유효반감기, 갑상선중량, 치료전과 치료후의 방사성옥소섭취율은, 40세 이전과 40세 이후의 양군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방사성옥소 치료시 용량결정 방법에서 실제 유효반감기를 이용한 방법은, 치료자가 목표로 한 흡수선량을 환자들에게 되도록 정확하게 투여하여, 방사성옥소 투여 후 잦은 빈도로 발생하는 갑상선기능저하증과, 치료실패의 빈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