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그래픽 사용자인터페이스

Search Result 38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Design of Specialized User Interface for Mobile Ubiquitous Devices Based on Using Patterns (사용자의 사용 방식에 근거한 이동형 유비쿼터스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 설계)

  • Na, SangYeob;Yoo, HeeYo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9 no.6
    • /
    • pp.79-87
    • /
    • 2006
  • An ubiquitous environment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allow users to use information more easily. These environments are based on advanced development of mobile ubiquitous hardwares. Currently, a various user interfaces are developed for mobile ubiquitous devices using the graphic or voice. In this paper, propose a specialized graphical user interface which is based on analysis of a user profile. This user interface can provides suitable interface for individual users using XML information on the small screen of mobile ubiquitous devices.

  • PDF

3D User Interface for Object Manipulation using Scene Graph Traversal (Scene Graph 순회를 이용한 3D 객체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 한덕수;임윤호;최윤철;임순범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585-589
    • /
    • 2001
  • 최근 그래픽 하드웨어의 성능향상과 인터넷의 발전으로 이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렉티브 3D 그래픽스와 데스크탑 가상환경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데스크탑 가상환경에서 객체의 조작과 관련된 3D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성공적인 연구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 이유는 하드웨어적인 제약과 더불어 3D 공간상의 객체를 2D상에서 조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인지적인 문제해결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의 해결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객체를 구성하는 장면 그래프를 내부적으로 분할하여 생성된 서브트리의 순회를 통해 객체의 세부 단위요소를 쉽게 선택하고 해제하는 일련의 객체조작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각 조작단계에서 사용자의 의사결정을 돕는 다양한 시각 피드백 기능을 함께 지원한다. 제안된 기법은 정교한 객체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분야의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축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Standard CORBA based Clustering System for Radiance Engines (레디언스 엔진을 위한 CORBA 기반 클러스터링 시스템)

  • 최정호;차현철;김정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346-348
    • /
    • 2003
  • 레디언스 엔진(Radiance Engine)은 미국 Lawrence Berkeley Laboratory(LBL)에서 개발된 빛의 거동을 물리적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로부터 조도 및 휘도 분포를 계산하고 가시화 하여 빛 환경의 정량적, 정성적 평가가 모두 가능한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사용자 그룹이 형성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많은 사용자 층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텍스트 기반의 인터페이스와 UNIX 환경의 워크스테이션급 컴퓨터에서만 실행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래픽 기반의 인터페이스에 익숙해져 있는 사용자들이 이용하기 어렵고. 비용적으로 고성능 컴퓨터에 대한 많은 부담이 있어 대중화가 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직까지 그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불편한 인터페이스와 고성능의 서버를 필요로 하는 이유로 국내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지 못하는 레디언스 엔진을 다수의 사용자가 쉽고 빠르며 간편하게 이용 할 수 있도록 각각의 사용자자가 제출한 레디언스 엔진 수행 작업을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는 클러스터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 PDF

GUI Design of the Laboratory Equipment: Graphic-based vs. Text-based (실험기기 GUI 디자인: 그래픽 기반 vs. 텍스트 기반)

  • Jeong, S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70-73
    • /
    • 2009
  • 정보통신의 발달로 다양화되는 정보화 사회의 요구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수요는 더욱 증가되고, 디스플레이 또한 다양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날로 소형화되고 있는 정보기기들의 디스플레이는 평판화를 통해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현장감과 몰입감의 증진을 위해 고감도의 그래픽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실험기기에 대해서는 아직 인터페이스나 디스플레이 GUI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약하고, 전체적인 제품의 외관 디자인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정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기기와 이의 주사용자인 과학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험기기 컨트롤러 디스플레이 GUI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해 보았다.

  • PDF

Tendency of Immersion and Recognition on Application of Visual Cue in Graphic Information (그래픽 정보에서의 시각단서 적용에 따른 몰입과 재인 성향)

  • Kwon, Hyo-Jeong;Lee, Hwa-Sei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9
    • /
    • pp.1174-1183
    • /
    • 2012
  • This study, depending on the diversification of the information environmen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role of visual cu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information structure in the process of user's visual immersion and recognition. Thus, we design evaluation model which used scientific instruments and subjective evalu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latest graphical user trends, and analyze the data of immersion and recognition of the user experience that acquired through the process more systematic experimental procedure. Based on this,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implement the latest broadly applicable to the device of graphical information user basic design model and a standard evaluation model.

A Study on Realistic Interface El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in Screen Golf (스크린골프의 몰입 향상을 위한 실감 인터페이스 요소 연구)

  • Doo, Kyungil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9 no.1
    • /
    • pp.71-77
    • /
    • 2021
  • Screen Golf provides a more realistic interface to users by implementing sophisticated sensors and 3D graphics so that they can play golf in an environment almost identical to the actual golf course, to provide a sense of reality that goes beyond simply enjoying golf indoors. In addition, users who experienced this interface environment showed a tendency to feel the fun of golf more and become more immersed in golf. Therefore, it is most important to provide an effective realistic interface in screen golf.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screen golf as a tangible sport and various interface elements embodied in screen golf were summarized. Also the factors that enable users to feel reality and fun of actual golf to make users more immersed in screen golf were identified. For this, interface elements based on sensory elements were arranged in terms of visual, auditory, and tactile sense, and improvement plans and directions for providing effective sensory interfaces for screen golf were suggested through user FGI, targeting regular customers of Golfzone and KakaoVX screen golf,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urse information including the yardage and the play situation-directed graphic are elements that make immersion in the visual aspect. In terms of tactile aspect, the fact that users actually use golf equipment, as well as the sense of existence of a physical interface that embodies various course environments and course setting appea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particular, in the auditory aspect, it was confirmed that providing customized services for each user through AI caddy implemented to resemble a actual caddy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immerse users in screen golf with greater fun and realism.

Development of the Media Art Contents Authoring Tool Using Eclipse-based GMF Technique (Eclipse기반 GMF 기법을 이용한 미디어 아트 콘텐츠 저작도구 개발)

  • Kwak, Jae-Ho;Piao, Songlin;Kim, Whoi-Yu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2
    • /
    • pp.113-125
    • /
    • 2011
  • We introduce a media art contents authoring tool called ECAS(Exhibition Contents Authoring System), and methodology employed in its development. ECAS was developed using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to overcome difficulties with existing authoring tools that are text-based.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graphical user interface, GMF(Graphical Modeling Framework) technique by Eclipse was used. SWT(Standard Widget Toolkit) and JIT(Just-In-Time) were used to improve speed and performance of ECAS. We show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ECAS by comparing with existing media art contents authoring tools.

MPEG-U part 2 based Advanced User Interaction Interface System (MPEG-U part 2 기반 향상된 사용자 상호작용 인터페이스 시스템)

  • Han, Gukhee;Baek, A-Ram;Choi, Haechu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12
    • /
    • pp.54-62
    • /
    • 2012
  • AUI(Advanced User Interaction) interface aims to enhance interaction between various input/output devices and scene descriptions represented by video, audio, and graphic. Recently, MPEG-U part 2 standardization for the AUI interface is under development by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This paper introduces MPEG-U part 2 standard and presents MPEG-U part 2 AUI interface system. The AUI interface system consists of user interface in/output modules and MPEG-U XML generation/interpretation modules. The former and the latter are for UID data handling and XML data processing, respectively. This system MPEG-U standards-based input/output devices and to improve the interaction with the user can be used as a framework. By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AUI interface system, MPEG-U usage scenario is introduced and it is verified that the AUI interface system conforms to MPEG-U standard.

Implementation of MPEG-U part2 Reference Software (MPEG-U part2 참조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 Han, Gukhee;Baek, A-Ram;Choi, Hae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202-205
    • /
    • 2012
  • 최근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다양한 입/출력 장치들이 개발됨에 따라 입/출력 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향상된 상호작용(AUI : Advanced User Interaction)을 위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AUI에서 정의되는 데이터는 입/출력 장치와 다양한 객체(비디오, 오디오, 2D 그래픽 객체, 애니메이션 등)로 표현되는 Scene Description 사이에서 서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매체이다. 따라서 다양한 입/출력 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향상된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AUI 데이터 형식이 공통적으로 정의되어야한다. 이를 위해 ISO/IEC JTC1/SC29/WG11 Moving Picture Experts Group(MPEG)에서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로 AUI 데이터 포맷을 표준화하기 위한 MPEG-U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MPEG-U의 표준을 소개하고, 이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MPEG-U 참조 소프트웨어를 설계하였다. MPEG-U 참조 소프트웨어는 크게 UID(User Interaction Device)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출력부와 XML 문서를 처리하는 MPEG-U XML 생성/해석부로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부에서는 사용자의 손동작을 인식하여 AUI 파라미터로 저장하고, 이 파라미터를 MPEG-U XML 생성부에서 MPEG-U 표준 XML 스키마 구조로 서술하여 표준화된 AUI 데이터 포맷을 생성한다. 다시 표준화된 XML 문서를 읽어 MPEG-U XML 해석부에서 파라미터를 얻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부에서 GUI(Graphic User Interface)에서 그래픽 객체로 표현한다. 본 연구에서는 MPEG-U 참조 소프트웨어로 MPEG-U의 용용 예를 제시하고, 구현된 소프트웨어가 표준에 적합한지를 보였다.

  • PDF

a study of expression of non-coded Message in Visual Image and Graphic User Interface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와 비언어적 메시지 영상 표현의 관계)

  • Seo, Hyun-Seok;Kim, Hyun-Su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b
    • /
    • pp.281-285
    • /
    • 2008
  • In the digital media era, coded and non-coded communication are used to convey the message. As the computer interface has been adopted human communication methods, non-coded communication has bee used in the computer interface as well. The changes of message structure in the computer interface have an effect on shifting the way of user's message acceptance from passive to active. The recently developed computer user interfaces are for user to experience diverse visual effect The communication conveyed with this visual effects could be vague but user can conceive strong impact. This experience is understood not only through the visual experience from a monitor screen but also with a sense of tactile. The meaning of sensual and spectacle motion image could be ambiguous. However in the experience of using an interface, it plentifully expands the human sense by giving a visual experience on a whim. The sensually extemporaneous and splendid visual effect that has vague meaning has been very common happening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