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expression of non-coded Message in Visual Image and Graphic User Interface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와 비언어적 메시지 영상 표현의 관계

  • 서현석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시각디자인) ;
  • 김현석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시각디자인)
  • Published : 2008.02.13

Abstract

In the digital media era, coded and non-coded communication are used to convey the message. As the computer interface has been adopted human communication methods, non-coded communication has bee used in the computer interface as well. The changes of message structure in the computer interface have an effect on shifting the way of user's message acceptance from passive to active. The recently developed computer user interfaces are for user to experience diverse visual effect The communication conveyed with this visual effects could be vague but user can conceive strong impact. This experience is understood not only through the visual experience from a monitor screen but also with a sense of tactile. The meaning of sensual and spectacle motion image could be ambiguous. However in the experience of using an interface, it plentifully expands the human sense by giving a visual experience on a whim. The sensually extemporaneous and splendid visual effect that has vague meaning has been very common happening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디지털미디어 환경에서 메시지는 언어적 표현이외에도 다양한 영상으로 의미를 표현하고 인터페이스에서 이와 같은 메시지의 표현이 나타난다. 인터페이스에서 이러한 메시지 구성의 변화는 인간에게 메시지의 수용을 수동적 수용에서 능동적 수용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최근 개발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경험하게 하고 있다. 인터페이스에서 전해지는 의미의 전달은 모호하지만 사용자는 감각적으로는 강한 인상을 받는다. 이와 같은 다양한 비언어적인 메시지 영상 표현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경험하고 있다. 비언어적 메시지 영상들은 사용자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하고 있지만 사용자마다 받아들이는 해석은 다르다. 그 이유는 비언어적 메시지 영상은 의사소통에 있어서 개념화되지 않아 사람마다 의미의 차이를 보이고,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의 사용 경험에 있어서 즉흥적인 시각 경험을 주기 때문이다. 의미는 모호하지만 감각을 지극히는 즉흥적이고 화려한 영상 효과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 되었고 일상화되며 즐기고 있다. 비언어적 메시지 영상 표현은 아직 개념화되지 않은 커뮤니케이션의 시각적 표현의 확장이고, 나아가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또 하나의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시각표현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GUI)에서는 시각적 감각만을 통해 수용하기 보다는 다감각적인 분산적 지각으로 수용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