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

Search Result 38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lements for Evaluating the Usability of the Web-Based Infographic Design (웹 기반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위한 사용성 평가 요소)

  • Kwon, Hyo-Jeo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6 no.7
    • /
    • pp.879-887
    • /
    • 2013
  • In the recently diversified web environment, the existing methodologies for studying and evaluating the usability of infographics have limit in being applied to new user experience environment. To ensure effective web design that considers various user environments, research needs to be done for such usability of infographics that executes 'simplification and compression of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andability of web-based infographic design, re-establish its concept, and produce the elements involved in the usability evaluation to come up with effective data on user experien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research for elucidating the connection to type-based or experienced-based data through convergence of various area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continuously transforming smart media environment.

A Parallel Programming Environment Implemented with Graphic User Interface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한 병렬 프로그래밍 환경)

  • Yoo, Jeong-Mok;Lee, Dong-Hee;Lee, Mann-Ho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7 no.8
    • /
    • pp.2388-2399
    • /
    • 2000
  • This paper describes a parallel programming environment to help programmers to write parallel programs. The parallel programming environment does lexical analysis and syntax analysis like front-end part of common compilers, data flow analysis and data dependence analysis for variables used in programs, and various program transformation methods for parallel programming. Especially, graphic user interface is provided for programmer to get parallel programs easily.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trol Interface using Hyperbolic Visualization (Hyperbolic 시각화기법을 이용한 제어 인터페이스 설계 및 구현)

  • 최인관;이재각;전서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217-219
    • /
    • 2001
  • 복잡한 제어가 필요한 설비의 운전 정보나 네트워크 연결 상태 또는 웹 문서간의 정보 등을 제한된 컴퓨터 화면에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시각화 기법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경우 한눈에 전체 정보의 계층 구조를 파악하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관심 있는 정보에 대해서는 전체 정보 계층 구조를 유지하면서 보다 상세히 그 내용을 보여주는 그래픽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판결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쌍곡선 기하학(Hyperbolic Geometry)을 기반으로 한 시각화기법으로 새로운 제어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한다.

  • PDF

Short-Range Missile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Using GUI-Type Simulation (시각화-시뮬레이션방법을 이용한 단거리미사일시스템의 성능산정모델)

  • 황흥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148-152
    • /
    • 2000
  • 본 연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고려한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한 단거리 미사일시스템의 성능 평가모델의 연구이다. 주요 접근 방법으로 먼저 시스템성능산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관련 Data를 수집하고 이로부터 미사일의 폭발지점을 산정하고 표적의 피해산출을 위한 방법과 종합표적살상확률을 산정하는 방법 등을 포함하였다. 다음 단계로 사용자를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를 고려한 입출력과정을 시각화환경으로 구현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전산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가상 Data를 이용한 예를 들고 결과를 보였다.

  • PDF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gital characters SNG and PC Game Proposed future direction (SNG와 PC Game의 디지털캐릭터 비교 분석을 통한 미래방향 제시)

  • Lee, Dong-Lyeor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9
    • /
    • pp.473-478
    • /
    • 2015
  • Since the advent of digital games, game of the core platform has been changed from the arcade to the mobile device. I consider that I try to seek the direction of the use of game which works for PC and mobile in comparison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game graphics. Effects of three types of game platforms on the game graphics, change depends on the game of the genre and game graphics. By reduction of the screen size, a new interface was appeared. However, as directly applying the PC version of the interface, it has brought about a user's inconvenience. I have found that mobile hardware development have not been affecting the game graphics. The common point of PC and mobile, they both have the limit of the platform which they own. There is a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of graphically elements to use the player language interface.

ARTable: AR based Interaction System using Tangible Objects (ARTable: 감각형 오브젝트를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상호작용 시스템)

  • Park, Young-Min;Woo, Woon-T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523-525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감각형 오브젝트,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이용한 테이블 기반 증강현실 상호작용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테이블 기반 상호작용 시스템들은 2차원 GUI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호작용 시 직관성이 결여되었고, 고립된 시스템으로 동작하여 시스템의 활용성 측면에서 제한적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테이블 표면에 관련된 정보를 투영시키고, 일반적인 오브젝트에 마커를 부착하여 카메라를 통해 추적함으로써 일상생활의 오브젝트를 상호작용 도구로 활용한다. 동시에 측면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테이블 위에 그래픽 객체를 증강시켜 상호작용의 직관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vr-UCAM을 통해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상호작용에 반영하고 (6),칼만 필터의 예측 기법에 기반하여 보정된 오브젝트의 추적 정보를 컨텍스트로써 공유하여 제안된 시스템이 범용적인 인터페이스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실험에서는 제안된 시스템을 가상환경 네비게이션 시스템과 연동하여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제안된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등 다양한 분야의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제2세대 웍스테이션 "RISC"시스템 6000

  • 김은현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3 no.3
    • /
    • pp.62-65
    • /
    • 1990
  • RISC System/6000은 유닉스 시스템인 AIX를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 채택하였고, 기존의 RISC기술에 혁신적인 진보를 이룩하여 가격 대 성능비를 크게 높임과 동시에 시스템의 기능을 극도로 최적화 시킨 새로운 차원의 아이비엠의 고성능 시스템패밀리이다. 이 시스템은 새로운 RISC 시스템 구조인 POWER(Performance Optimization With Enhanced RISC) 개념과 제2세대 수퍼스칼라 기법 및 마이크로 채널 아키텍쳐로 설계되어 있다. 특히 하나의 사이클에서 4개 이상의 명령어를 병렬처리 하도록 설계된 수퍼스칼라 기능을 통하여 복잡한 그래픽 또는 이미지 처리 및 고도의 수치해석 기능이 뛰어나다. RISC시스템/6000은 과학기술계산업무나 멀티사용자의 일반 비즈니스용으로도 모두 뛰어난 범용 컴퓨터로 그래픽 프로세서의 선택과 함께 CAD/CAM이나 그래픽/애니메이션전용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며, 최고 512 사용자에 이르는 멀티 사용자 시스템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전의 유닉스 시스템에 있어서 큰 약점이었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멀티 사용자 및 테스킹이 크게 강화 되었으며, 기존의 IBM 시스템 및 타 기종과도 네트워크 구성이 용이하고 수백여종의 과학기술 적용업무를 이용할 수 있다.

  • PDF

Smart Puck System for Manipulating Digital Information via Physical Sensation (물리적 감각을 통한 디지털 정보의 조작을 위한 스마트 퍽 시스템)

  • Jo, Hyeon-Cheol;Kim, Rae-Hyeon;Park, Se-Hyeong;Han, Man-Cheo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857-86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대형 화면의 tabletop display상에서 물리적인 감각을 통해 정보를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스마트 퍽 시스템을 제시한다. 기존의 데스크 탑 PC 환경의 인터페이스는 물리적인 마우스와 디지털 정보의 공간적인 불일치가 생기고 마우스의 물리적인 움직임과 모니터 상 그래픽 커서의 이동을 맵핑하여 간접적으로 정보를 조작하므로,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스마트 퍽은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장치로써 tabletop display상의 디지털 정보를 직접 조작할 수 있고, 스마트 퍽을 끌거나 들어서 옮기거나 회전시키는 등의 물리적인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지털 정보와의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대형 화면의 tabletop display는 여러 사용자가 함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공유하고 조작하는데 적합하다. 스마트 퍽 시스템은 인간의 아날로그적인 지각과 반응을 통한 물리적인 인터랙션과 가상의 디지털 정보와의 거리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 시스템은 PDP 기반의 tabletop display 장치와 스마트 퍽, 그리고 tabletop display상의 스마트 퍽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장치와 스마트 퍽의 입력을 전송 받아 정보를 처리하는 메인 PC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퍽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몇 가지 예시를 보여주고자 한다.

  • PDF

Visual Cohesion Improvement Technology by Clustering of Abstract Object (추상화 객체의 클러스터링에 의한 가시적 응집도 향상기법)

  • Lee Jeong-Yeal;Kim Jeong-O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9 no.4 s.32
    • /
    • pp.61-69
    • /
    • 2004
  • The user interface design needs to support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human and computers. It also requires comprehensive knowledges many areas to collect customer's requirements and negotiate with them. The user interface designer needs to be a graphic expert, requirement analyst, system designer, programmer, technical expert, social activity scientist, and so 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an designing methodology of user interface for satisfying various expertise areas. In the paper, We propose the 4 business event's abstract object visualizing phases such as fold abstract object modeling, task abstract object modeling, transaction abstract object modeling, and form abstract object modeling. As a result, this modeling method allows us to enhance visual cohesion of UI, and help unskilled designer to can develope the higy-qualified user interface.

  • PDF

Development of a Compact Tactile Display Module and Its Application to a Haptic Stylus (소형 질감제시 모듈 개발 및 펜형 촉감 인터페이스)

  • Kyung, Ki-Uk;Park, Jun-Seo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25-3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질감제시장치와 진동모터를 내장한 펜형 햅틱(haptic)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기술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소형 질감제시 모듈을 제안하고, 개발된 모듈을 펜과 같은 모양의 인터페이스에 내장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핀배열을 내장하고 있으며, 저전력, 저소음으로 동작하며, 수직방향으로 1mm이상의 변위를 일으키는 소형 질감제시 모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모듈은 PDA나 Tablet PC등에서 흔히 사용되는 스타일러스(Stylus)와 같은 펜모양의 인터페이스에 내장되었다. 펜형 인터페이스의 헤드부분에는 팬케익 모터를 내장하여 사용자에게 진동 촉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펜형 인터페이스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Mobile Tablet PC상에서 내장된 질감제시 모듈이 점자정보를 촉감으로 전달할 수 있는지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모든 실험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상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모든 버튼 조작시 '클릭'하는 느낌을 재현하였다. 실험은 동시에 다양한 자극의 주파수와 시간의 변화 조건에서 시행되어 의도하는 촉감을 가장 잘 전달하는 자극방법에 관한 연구를 동시에 수행하였다. 또한 개발된 펜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미지와 함께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있는 질감을 재현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