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균형 훈련

Search Result 37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지역균형발전 정책 추진에 따른 갈등 해소 방안

  • Kang, Hui-Jo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2a
    • /
    • pp.1-1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지역균형발전의 중요성과 지역균형발전의 목표 및 정책방안을 알아보고 지역균형 발전정책 추진에 따른 갈등해소의 장애요인과 갈등 해소방안에서 장애요인을 분석하면 지역균형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전략방향을 모색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중심으로의 관점의 전환과 새로운 발전전략 설계와 실행의 지속적 추진이 필요하다 갈등해소의 장애요인으로 권위주의 문화의 전통, 당위론적 사고방식, 교육방식에 있어 우열의식이나 흑백논리 사고와 민주적 훈련 및 자율의식의 결어 되어 있다. 이러한 장애 요인을 해소하기위해 지방경영의 효율화를 위하여 지방 재정확충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 제안이 필요하고 지자체간의 협의회 및 중앙정부의 분쟁조정위원회의 법적 구속력과 권한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규제완화와 함께 지자체간 경쟁을 유발하고 합리적인 수익자 부담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안임을 알 수 있다.

  • PDF

Spasmodic Torticollis Case Managed by Intraoral Balancing Appliance of FCST (FCST의 구강내 균형장치를 이용한 경추부 근긴장 이상증 증례보고)

  • Lee, Young Jun;Yin, Chang Shik
    • Journal of TMJ Balancing Medicine
    • /
    • v.6 no.1
    • /
    • pp.24-26
    • /
    • 2016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ostural balance of TMJ using intraoral balancing appliance of functional cerebrospinal technique (FCST) combined acupuncture and manual medicine therapeutics in the treatment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An idiopathic cervical dystonia case was managed with postural training with intraoral balancing appliance, combined with acupuncture and manual medicine therapeutics. Clinical assessment included radiography, Toronto Western Spasmodic Torticollis Rating Scale, and global clinical impression. Clinical improvement was observed over 5 months of treatment period. Clinical observational data on spasmodic torticollis provide an positive prospective for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FCST.

  • PDF

The Effects of Postural Balance by Chronic Stroke Patients in Horse Simulator Exercise (승마 시뮬레이터 운동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자세 균형에 미치는 영향)

  • Park, jung-seo;Lee, sang-young;Lee, dae-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3-9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뇌졸중 환자에게 승마 시뮬레이터 기계를 이용한 운동이 환자의 균형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자와 연구방법으로는 67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승마운동그룹(n=34)과 일반 매트운동그룹(n=33)으로 나누어 두 그룹 모두 병원에서 일반적인 운동치료를 실시한후 추가적으로 승마운동과, 매트운동을 실시하였다. 운동시간은 주당 5회 8주동안 35분간 실시하였다. 균형능력 평가는 무게중심의 동요 거리를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는 두그룹 모두 눈을 뜬상태에서 균형능력이 증가하였으나($^*$p<0.05), 눈을 감은 상태에서는 지상운동군보다 수중운동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균형능력 증가가 나타났다($^*$p<0.05).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승마 시뮬레이터 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 PDF

Analysis and Training Contents of Body Balance Ability using Range of Motion of Lumbar Spine and Center of Body Pressure (요추 관절가동범위와 신체압력중심을 이용한 신체균형능력 분석 및 훈련 콘텐츠)

  • Goo, Sejin;Kim, Dong-Yeon;Shin, Sung-Wook;Chung, Sung-Tae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9 no.1
    • /
    • pp.279-287
    • /
    • 2019
  •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analyze the balance ability of the body by measuring changes in body motion and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So we developed a program that can measure and analyze range of motion and center of body pressure using inertial measurement unit(IMU) and FSR(Force Sensing Resistor) sensor, we also produced a contents that can help improve the balance ability. The quantitative values of range of motion and center of body pressure measured by this program are visualized in real tim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results. In addition, the contents were designed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balance ability by adjusting the difficulty level based on the measured balance information. This can be achieved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and participation will by using visual feedback method that proceeds while watching moving objects according to the user's motion.

The Influences of the Intensive Ankle Joint Strategy Training on the Muscular Strength and Balancing Ability in the Elderly Women (발목관절 전략 집중 훈련이 노인여성의 근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Cho, Sung-Hyoun;Kim, Cheol-Y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2
    • /
    • pp.5909-591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intensive ankle joint strategy training on the muscular strength and balancing ability in the elderly wome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0 elderly women aged from 65 to 80 and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For 6 weeks, two experimental groups took the training an hour every 3 days of a week. The results that measured the dynamometer, FRT, and SEBT after implementing general lower limbs exercise and the intensive ankle joint strategy training for 6 weeks showed that the changes i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I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 II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For the prevention of the elderlies from fall and the treatment approaches, it is deemed to be necessary additional studies on the diverse variables through the intensive training of the ankle strategy.

Effects of Visual Feedback Treadmill Gait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a Force Plate Measurement System on Gait 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가상현실과 힘판을 통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Lee, Dong-Ryul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4 no.3
    • /
    • pp.363-37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gait ability and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by combin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a visual feedback gait training program with entertainment elements. Ten stroke patients with circumduction gait were selected. The visual feedback treadmill gait training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a force plate measurement system was conducted 30 minutes a day, 5 days a week, with 25 sessions in 5 week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s gait training program, evaluations using the joint range-of-motion test, muscle activity tests, Berg balance scale (BBS), gait analysis, and stroke-specific quality-of-life scale (SS-QOL)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joint range of motion and muscle activity of the affected side from the initial swing phase to the mid-swing phase of the gait cycle, dynamic balance, gait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p <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gait training program improved the foot drop, muscle activity, dynamic balance, and gait ability of stroke patients with circumduction gait,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Therefore, we recommend the application of the visual feedback treadmill gait training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a force plate measurement system to improve gait ability and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with circumduction gait.

불안정판을 이용한 자세균형 훈련시스템에 관한 연구

  • Kim, Gyeong;Park, Yong-Gun;Kim, Seong-Hyeon;Yu, Mi;Gwon, Dae-Gyu;Hong, Cheol-Un;Kim, Nam-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94-294
    • /
    • 2004
  • 최근 평균수명의 연장에 따른 사회 노년층의 증가로 낙상사고의 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또한 교통사고 발생이 빈번함에 따라 전정계 이상 및 체성감각계의 기능 손상에 의한 자세균형 환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균형 제어력의 소실이 환자의 재활치료에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자세균형제어에 관한 연구는 주로 힘판을 이용하여 특정 감각시스템으로부터의 입력을 제한하거나 외력에 의해 평형 유지를 방해했을 때, 신체 전이(displacement), 압력중심의 움직임(Center Of Pressure; COP), 자세 유지 시 작용하는 근육의 활동전위 등을 측정하는 연구와 더불어 균형에 어려움을 느끼는 환자를 위한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을 적용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중략)

  • PDF

The Effects of Home Based Exercise Program on Balance Recovery in a Post-Stroke Population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회복을 위한 가정운동프로그램 효과)

  • Jang, Sang-Hun;Bang, Hyun-Soo;Jung, Byeong-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7
    • /
    • pp.297-304
    • /
    • 2014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me based exercise program on balance recovery of stroke patients. In total, 20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n=10) or exercise group(n=10) between September 2013 and December 2013. In addition to existing physiotherapy, the exercise group received home based exercise program consisting of weight transfer, training endurance, mobility, sensory retraining, lower limb exercise for 30 minutes, 2 times a week, for 8 weeks, every time for 30 minutes. Balance ability was assessed by measuring foot pressure(FP), limit of stability(LOS) and velocity sway(VS) by using Biorescue and by using the functional reaching test(FRT). To compare the improvement level of each group's balance ability, examination of independent sample T was don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group and exercise group in LOS, VS of affect side and FRT were observed. This study showed that home based exercise program application was effective strategy on balance recovery in a post stroke population.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Ankle Joint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after Visual feed-back Ankle training to Improve on Balance, Gait ability in Patient with Chronic Stroke (발목관절의 시각되먹임 운동 이후 기능적 전기자극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적 연구)

  • Kim, Dong-Hoon;Kim, Kyung-Hu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5
    • /
    • pp.253-260
    • /
    • 202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Visual feed-back ankle training combined with Ankle joint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balance, gait ability on patient with Chronic Stroke. A total of 22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VFAF Group, CON group. Each group performed 60 minutes a day 5 times a week for 8 weeks. VFAF group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lance and gait ability as compared to the CON groups(p<.05). The exercises were conducted for 60 min per day, five, per week for eight weeks. Balance and gait ability were examined at 0 week and after 8 weeks of intervention. Our results showed that VFAF was more effective on balance ability and gait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We suggest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used as an clinical intervention data for recovering balance and gait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Networks of Rural Youth Education and Training in Asia (아시아 농촌 청소년 교육과 훈련의 연결망)

  • Kim, Sung-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9 no.1
    • /
    • pp.131-145
    • /
    • 2002
  • 국제연합에서는 $15{\sim}24$세의 젊은이를 청소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농촌청소년은 미래 농촌발전의 핵심주체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청소년은 그들 부모세대보다 더 높은 교육수준과 도전의식 그리고 더 높은 창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들은 미래가 자신의 장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 미래의 비전에 관심이 크다. 청소년에 대한 교육은 민주사회의 미래에서 한 사회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투자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도의 경쟁적인 시장경제로의 진입에서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비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의 질적 양적 향상이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무역기구 출범 이후 농산물 수출국가와 선진국에서의 소득균형은 일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순식량 수입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소득균형이 더 악화되고 농업영역의 쇠퇴를 초래하고 있는 부작용이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등의 분석이다. 더욱이 식량안전상황은 농산물의 급격한 수입으로 여전히 불안하고 농가 판매의 지속적인 악화, 농촌과 도시간의 소득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GMO)의 교역은 소비자의 식품안전과 잠재적 위해 때문에 합당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교육, 연구 그리고 지도, 특히 아시아의 주요작물 영역에 대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많은 아시아국가들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농촌 청소년교육은 빈곤퇴치,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그리고 지속적이고 균형있는 농촌개발 등이다. 이를 위한 정부와 국민, 특히 농촌 청소년들의 연결망을 통해 함께 협력해야 빈곤퇴치와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등 농촌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시아지역 농촌사회 및 식량농업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 연결망을 예시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사회에서의 협력을 위한 접근을 탐색하였다.국제연합에서는 $15{\sim}24$세의 젊은이를 청소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농촌청소년은 미래 농촌발전의 핵심주체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청소년은 그들 부모세대보다 더 높은 교육수준과 도전의식 그리고 더 높은 창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들은 미래가 자신의 장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 미래의 비전에 관심이 크다. 청소년에 대한 교육은 민주사회의 미래에서 한 사회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투자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도의 경쟁적인 시장경제로의 진입에서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비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의 질적 양적 향상이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무역기구 출범 이후 농산물 수출국가와 선진국에서의 소득균형은 일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순식량 수입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소득균형이 더 악화되고 농업영역의 쇠퇴를 초래하고 있는 부작용이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등의 분석이다. 더욱이 식량안전상황은 농산물의 급격한 수입으로 여전히 불안하고 농가 판매의 지속적인 악화, 농촌과 도시간의 소득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GMO)의 교역은 소비자의 식품안전과 잠재적 위해 때문에 합당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교육, 연구 그리고 지도, 특히 아시아의 주요작물 영역에 대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많은 아시아국가들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농촌 청소년교육은 빈곤퇴치,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그리고 지속적이고 균형있는 농촌개발 등이다. 이를 위한 정부와 국민, 특히 농촌 청소년들의 연결망을 통해 함께 협력해야 빈곤퇴치와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등 농촌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시아지역 농촌사회 및 식량농업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 연결망을 예시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사회에서의 협력을 위한 접근을 탐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