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균사생장 억제효과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2초

약제에 의한 Pythium zingiberum의 생장 및 생강 근경부패병 발병 억제효과 (Effects of Chemicals on Growth of Pythium zingiberum Causing Rhizome Rot of Ginger and Inhibition of the Disease Development)

  • 최인영;이왕휴;소인영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31-335
    • /
    • 1996
  • 1993년 전북완주와 충남 서산 지역에서 생강 근경 부패병에 감염된 식물체로부터 Pythium sp.를 분리하였으며, 52균주를 형태적 특징과 병원성 검정을 통해 Pythium zingiberum으로 동정하였다. P. zingiberum으로 동정된 균주들이 재배지에서 사용되는 metalaxyl(MT), metalaxyl+copper oxychloride(MC), echlomezol(EM) 및 propamocarb hydrochloride(PC)등에 균사 생장, 난포자 형성에 미치는 영향 및 약제방제 효과 등을 검토하였다. MT, MC, EM 등이 혼합된 평판배지에서의 균사생육 정도는 50, 100 mg/L에서도 균사생장 억제를 나타냈으나 3균주는 EM 100mg/L에서도 균사생장이 저지되지 않았다. 100mg/L에서도 균사생육 억제효과가 적은 PC의 경우 저항성균주의 난포자 형성량은 약제 희석농도가 높아질수록 저하되었으나, 감수성을 나타낸 균주는 10, 50mg/L에서 오히려 증가하였다. 또한 폿트실험을 통한 약효검정 결과에서도 MT, MC, EM등은 대조구에 비해 생강 근경부패병을 억제하였다.

  • PDF

친환경 유기농자재의 잿빛곰팡이병 병원균의 생장 억제 효과 (Growth Inhibition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in Botrytis cinerea In Vitro)

  • 곽영기;김일섭;조명철;이성찬;김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4-139
    • /
    • 2012
  •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이용하여 잿빛곰팡이병균의 포자 발아,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기내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잿빛곰팡이병의 균사생장 억제 효과는 Bacillus subtilis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가 100%의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그 외의 제제는 20% 이하의 범위에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포자발아 억제효과는 유기황 수화제 2종('BTB', '황스타')이 각각 97.7%, 92.3%으로 나타났다. 균사생장 억제와 포자 발아억제에 모두 효과를 보이는 제제는 없었다. 따라서 잿빛곰팡이병 방제를 위해서는 포자발아 억제를 위한 방제와 균사생장억제를 위한 제제를 각각 처리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아울러 사물 기생성을 가진 잿빛곰팡이병의 방제를 위해서는 잔재물에서 생장을 막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예방을 전제로 한 방제의 경우 유기황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가 적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문고병균(紋枯病菌)(Corticium sasakii)의 균사생장(菌絲生長), 균핵형성(菌核形成) 및 균핵발아(菌核發芽)에 미치는 몇가지 제초제(除草劑)의 영향(影響) (The Effect of Some Herbicides on Mycelial Growth, Productivity and Germinability of Sclerotium of Cortictum sasakii(Shirai) Matsumoto)

  • 유승헌;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1호
    • /
    • pp.49-59
    • /
    • 1975
  • 본 연구는 널리 사용되는 7개의 제초제가 안공배지 위에서 자라는 문고병균(Corticium sasakii)의 균사생장 균핵형성 및 균핵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4-D amine은 5ppm이상의 농도에서 균사생장에 억제효과가 있었고 2.5ppm 이상 농도에서 균핵형성에 억제적이었다. 포장 상용농도에서는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이 고도로 억제되었으나 균핵 발아율은 매우 약하게 억제되었다. (2) MCP는 10ppm이상 농도에서 균사행장에 억제적이었고, 500ppm이상 농도에서 균핵형성에 억제석이었다. 포장상용농도에서는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은 고도로 억제되었으나 균핵발아율은 매우 약하게 억제되었다. (3) DCPA와 PCP는 2.5ppm이상 농도에서 고도로 또는 완전히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을 억제하였다. 균핵발아율도 포장상용농도에서 고도로 억제되었다. (4) CP-53619는 2.5ppm이상 농도에서 균사생장을, 10ppm이상 농도에서 균핵형성을 억제하였다. 포장상용농도에서는 균사생장은 억제되지 않았으나 균핵발아율은 증간정도로 억제되었다. (5) CP-53169는 2.5ppm이상 농도에서 균사생장을, 10ppm이상 농도에서 균핵형성을 억제하였다. 포장상용농도에서 균사생장 균핵형성은 중간정도로 억제되었으나 균핵발아율은 거의 억제되지 않았다. (6) NPE는 5ppm이상 농도에서 균사생장을, 10ppm 이상농도에서 균핵형성을 억제하였다. 포장상용농도에서는 균사생장 균핵형성 및 균핵발아가 모두 약하게 억제되었다.

  • PDF

친환경 유기 농자재의 고추 탄저병(Colletotrichum acutatum) 병원균의 생장 억제 효과 (Growth Inhibition Effect of Environment-friendly Farm Materials in Colletotrichum acutatum In Vitro)

  • 곽영기;김일섭;조명철;이성찬;김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7-133
    • /
    • 2012
  •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이용하여 고추 탄저병균의 포자 발아,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기내에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균사생장 억제효과 기내검정. 탄저병의 균사생장 억제 효과는 Bacillus subtilis를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가 100%의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그 외의 제제는 20~40%의 범위에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포자발아억제효과는 유황 수화제 2종('BTB', '황스타')이 각각 100%, 95.1%, '고려역'(95.0%), '보르스타'(99.0%), '지하부대 KM'(96.1%) 순으로 나타났다. 균사생장 억제와 포자 발아억제, 부착기 형성억제 결과를 고려하여 고추 탄저병 방제에 적용 가능한 친환경 방제제는 Bacillus subtilis, Panibacillus polymyxa 혼용제('고려역')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예방을 전제로 한 방제의 경우 유황 수화제, 보르도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제가 적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선택된 제제는 고추 포장에서 탄저병 방제효과가 최종적으로 인정되면 차후 고추 탄저병 방제에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당근검은잎마름병균 Alternaria dauci에 대한 살균제 효과 검정 및 병원균 집단에 대한 저항성 검정 (Detection of Fungicidal Activities against Alternaria dauci Causing Alternaria Leaf Spot in Carrot and Monitoring for the Fungicide Resistance)

  • 도지원;민지영;김용수;박용;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26권2호
    • /
    • pp.61-71
    • /
    • 2020
  • 당근검은잎마름병균인 Alternaria dauci KACC42997에 대해서 32개 살균제를 선발하여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다2'군, '다5'군, '사1'군, '마2'군, '마3'군에 속하는 살균제의 균사생장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Iminoctadine tris-albesilate를 제외한 '카'군에 속하는 보호살균제와 '다3'군에 속하는 pyraclostrobin은 병원균의 포자발아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균사생장 억제효과가 우수했던 숙신산탈수소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다2'군과 탈메틸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사1'군 살균제는 우수한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보여주면서도, 포자발아 억제효과는 저조하였다. 하지만 '다5'군에 속하는 fluazinam은 균사생장 억제효과뿐만 아니라 포자발아 억제효과도 우수하였다. 특별히 '다2'군에 속하는 fluxapyroxad를 100 ㎍/ml 처리한 경우, 배지 상에서 포자형성을 47.1% 억제하였다. 구미, 평창, 제주 등에서 분리한 검은잎마름병균 집단의 '사'군, '다'군, '마'군 살균제에 대한 저항성 요인값을 비교하면, 제주 지역 병원균 집단의 저항성 요인값이 가장 낮았다. 평창 지역 균주 집단에서 '마2'군에 속하는 fludioxonil 저항성 균주가 2개 발견되었으며, 그들은 모두 iprodione과 procymidone에 대해서 교차저항성을 보였다.

오이 덩굴쪼김병(Fusarium oxysporum f. sp. cucumerinum) 방제에 대한 토양첨가제의 효과 (Effect of a Soil Amendment for Controlling Fusarium Wilt of Cucumber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cucumerinum)

  • 정봉구;류나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2호통권77호
    • /
    • pp.93-103
    • /
    • 1996
  • 오이 덩굴쪼김병에 효과 있는 새로운 토양첨가제의 조제와 방제효과를 구명코저 본 연구를 1993년부터 지난 2년간 수행하였다. 석회를 포함한 14종의 무기성분(1%, w/w)을 성분별로 공시하여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는데 특히 $Al_2(SO_4)_3$, Alum 및 CaO 등의 Fusarium oxysporum f. sp. cucumerinum에 대한 포자발아 억제율은 72.8-97%였고 균사생장 억제율은 20.9-25%이었다. 한편 $Ca(NO_3)_2$는 균사생장에만, KCl, $K_2SO_4,\;NH_4NO_3$와 Urea는 포자발아에만 억제효과가 켰으며 그 억제율은 37.0-71.9%이었다. 결과적으로 7종의 무기성분이 선발되었다. 부숙소나무 수피등 2종의 유기물을 2, 5 및 10% 농도별로 공시한 결과 부숙소나무 수피는 알팔파 잎가루에 비하며 병원균의 포자발아나 균사신전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소나무 수피와 무기성분(1%, w/w)을 혼합한 토양첨가제 처리토양에서 길항균(Tr-3)의 생장은 양호하였을 뿐만 아니라 병원군의 균사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리고 길항세균(Pseudomonas sp.)여액에서의 병원균에 대한 길항력도 우수함이 확인되었다. 부숙 소나무수피와 알팔파 잎가루의 추출액배지에서의 균사생장 억제는 크지 않았으나 포자발아는 부숙 소나무수피액 처리에서 뚜렷하였고 농도에 따라 억제율이 90% 이상이었다. 무기성분과 부숙 소나무 수피가루 및 2종의 길항균을 토양에 혼합한 (1% w/w)구에서는 오이 덩굴쪼김병에 대한 방제효과가 폿트와 포장시험결과로 완벽함이 밝혀졌다. 따라서 토양 첨가제에 의한 오이 덩굴쪼김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하여 농가포장에서의 그 활용이 기대된다.

  • PDF

고추 탄저병군(Colletotrichum acutatum)의 원형질체 형성과 원형질체를 이용한 살균제 효과 검정 (Protoplast Formation of Collectotrichum acutum and the Assessment of Antifungal Activity of Several by using its Protoplasts)

  • 김명기;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8-96
    • /
    • 2008
  • 고추 탄저병균인 Colletotrichum acutatum JC24는 PDA 배지에 치상한 cellophane막에 포자 접종하여 $25^{\circ}C$의 암상태에서 20시간 배양한 균사체를 2%의 lysing enzyme에 2-3시간 처리하여 $2-3\;{\times}\;10^6$ 개/mL의 원형질체를 수확할 수 있었다. 이때에는 0.02 M phosphate buffer(pH 7.0)와, 삼투압 안정제로는 1.2 M sorbitol용액을 사용하였을 때가 원형질체의 생성량이 가장 높았다. C. acutatum JC24의 균사체에서 얻은 원형질체에 propineb를 $10\;{\mu}\;g\;mL^{-1}$를 처리하였을 경우에, 균사생장 억제효과는 미미하였지만 원형질체의 재생은 100% 억제하였다. Tebuconazole의 재생 억제효과는 균사생장 억제효과와는 큰 차이를 보였는데, $0.5\;{\mu}\;g\;mL^{-1}$ 처리구에서는 원형질체의 재생이 100% 억제되었고, $0.1\;{\mu}\;g\;mL^{-1}$ 처리구에서는 0.9%밖에 억제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동일한 농도에서 균사생장에 대한 억제효과는 85.1과 75.7%로 억제의 경향이 매우 달랐다. Carbendazim의 경우에는 원형질체 재생과 균사생장에 미치는 효과가 비슷하였다. Trifloxystrobin과 kresoxim-methyl을 SHAm과 동시에 처리하였을 원형질체의 재생에 대한 억제 효과가 크게 상승하였다.

몇가지 항생제의 느타리버섯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한 세균성갈색무늬병 방제 효과 (Effect of some antibiotics on control of bacterial brown blotch of oyster mushroom caused by Pseudomonas tolaasii)

  • 서건식;전낙범;김병련;유승헌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5-20
    • /
    • 2003
  • 느타리버섯 세균성갈색무늬병 방제 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33종의 항생제를 공시하여 P. tolaasii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고 선발된 4종의 항생제를 이용하여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Kanamycin등 19개의 항생제가 병원균 P. tolaasii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 tetracycline, streptomycin, kanamycin과 kasugamycin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Tetracycline과 kanamycin은 10ppm에서도 세균생장을 완전히 억제시켰고 Kasugamycin은 100ppm, streptomycin은 200ppm 이상의 농도에서 병원세균에 항균활성을 보였다. Tetracycline, kanamycin, kasugamycin, streptomycin을 이병균상에 처리한 결과 각각 72.9, 71.2, 68.1 그리고 62.7%의 방제가를 보였다. tetracycline 처리구의 느타리버섯 생산량은 무처리구보다 31.8% 이상의 증수효과를 보였다. 항생제 처리가 느타리버섯 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kanamycin을 처리한 배지에서는 항생제 처리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으며 오히려 균사생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Streptomycin을 처리한 배지에서는 항생제 무처리 배지에서와 동등한 수준의 균사생장을 보였다. Tetracyclin의 경우는 무처리에 비해 약 10에서 20%의 균사 생장 억제를 보였으나 Kasugamycin 100ppm 이상의 농도에서는 약 40%의 균사생장 억제를 보였다.

  • PDF

Acetic acid에 의한 저온저장고 내의 균발생 억제 효과 (Inhibition of Incidence of Fungi in Cold Storage Room by Acetic Acid)

  • 임병선;윤해근;정석태;최선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2호
    • /
    • pp.170-173
    • /
    • 2001
  • Acetic acid는 상온($25^{\circ}C$)에서 저온저장고에 발생하는 과실의 부패병균인 Botrytis cinerea 및 Penicillium expansum의 포자발아 및 발아관 생장 억제에 효과가 나타났다. $4.8mg{\cdot}L^{-1}$의 acetic acid 함유배지에서는 처리 12시간 후에도 B. cinerea 및 P. expansum의 포자가 전혀 발아하지 않았으며, 처리 7일 후에도 거의 생장하지 못할 정도로 완전한 균사생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저온($2^{\circ}C$)에서도 B. cinerea 및 P. expansum에 대해 acetic acid의 농도가 높을수록 균사생장 억제효과가 증가하였으며 $4.8mg{\cdot}L^{-1}$를 함유한 배지(PDA)에서는 처리한 후 20일이 경과하여도 균총이 전혀 형성되지 않았다. 저온저장고를 가동하기 전에 기존의 $SO_2(5g{\cdot}m^{-3})$ 가스와 acetic acid($4.8g{\cdot}m^{-3}$)를 처리한 저장고에서 출현하는 균의 발생을 감소시켰다. 그러나 실제 적용시 인체에 대한 자극성이 있다는 점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김 양식에 있어 붉은갯병 억제를 위한 고염분해수 처리 효과

  • 박찬선;위미영;일본명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23-23
    • /
    • 2003
  • 김 붉은갯병은 김 엽체에 난균류 Pythium속의 Pythium porphyrae의 기생에 의해 발생되어 매년 김 양식에 큰 피해를 주는 매우 심각한 김 갯병중의 하나이다. 최근에는 이들 병해의 발생 및 억제를 위한 김 산처리제 (활성처리제) 남용에 따른 연안 양식어장의 생태계 파괴 및 김의 자연식품에 대한 이미지 훼손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 양식시 발생되는 붉은갯병의 병해를 억제하고자 활성처리제 처리시 고염분해수 처리를 병용함으로써 활성처리제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처리효과를 배가시키고자 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김 엽체는 2002년 10월에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지선에서 채묘한 방사무늬김 (Porphyra yezoensis)을 육묘해 엽장 1cm 내외에서 냉동망을 제작하여 -2$0^{\circ}C$에 저장한 엽체를 자연해수 (약 27$\textperthousand$), 15$^{\circ}C$, 100$\mu$mol photon m$^{-2}$ s$^{-1}$, 광주기 9L : 15D의 배양조건하에서 15일간 배양한 엽장 3-4cm 정도의 것이었다. 활성처리제와 고염분해수처리제의 병용에 의한 붉은 갯병 억제효과는 붉은갯병 병원균의 유주자를 김 엽체에 감염시킨 후 27$\textperthousand$의 자연해수에 12일간 배양하면서 염분농도를 3-25%, 처리주기를 1-2회로 하여 각 시험구별 병해정도로 평가하였다. 고염분해수 처리에 의한 붉은갯병균 균사의 생장억제 효과는 김 엽체를 붉은갯병 병원균의 유주자로 감염시킨 다음 감염 12시간 후 염분농도를 3-25%로 처리한 후 27$\textperthousand$의 자연해수에 4일간 배양하면서 각 시험구별 배양시간에 따른 병원균 균사에 의한 김 엽체의 감염세포수로 평가하였다. 활성처리제와 고염분해수처리제의 병용이 김 엽체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건전한 김 엽체의 절편을 27$\textperthousand$의 자연해수에 배양하면서 시험구별로 활성처리와 고염분해수 (5, 10, 15, 20, 25%) 처리를 3일 간격으로 하면서 12일간 배양한 후 엽체의 엽면적 증가율로 평가하였다. 활성처리제와 고염분해수처리제의 병용에 의한 붉은갯병의 억제효과는 대조구 (활성처리 1회)와 비교해 주 2회의 활성처리구와 염분농도 20, 25% 처리구에서 병해 억제효과가 월등히 높았다. 고염분해수 처리에 의한 붉은갯병균 균사의 생장억제 효과는 염분농도 5, 10% 처리구의 경우 무처리구에 가까운 감염세포수를 보였으나, 염분농도 20, 25% 처리구의 경우 활성처리제 처리와 비슷한 감염세포수를 보여 뚜렷한 생장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활성처리와 고염분해수 처리의 병용이 김 엽체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구 (활성처리 1회)의 3.4배 생장율과 활성처리와 염분농도 5-20%의 고염분해수 병용 처리구의 3.1-3.6배 생장율은 유의한 생장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