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귀세포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3초

물리적 탈핵 방법이 소 복제수정란의 발달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chanical Enucleation Methods on Development of Bovine Nuclear Transfer Embryos)

  • 김세웅;이민정;황인선;배성훈;양병철;임기순;성환후;양보석;정희태;김동훈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0권3호
    • /
    • pp.207-212
    • /
    • 2006
  • 본 연구는 물리적 탈핵 방법인 aspiration 방법과 squeezing 방법을 사용해 핵이식된 소 체세포 복제란의 발달능을 조사하였다. 두 방법에 의해 탈핵된 수핵란에 한우 귀피부 세포를 융합하여 체외에서 $7{\sim}8$일간 배양하여 발육능을 검사하였다. 배양 7일째 배반포 발달율은 aspiration 방법($31.9{\pm}13.4%$)과 squeezing 방법($33.6{\pm}15.7%$) 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배양 8일째 배반포 발달율도 squeezing 방법($35.3{\pm}15.1%$)과 aspiration 방법($37.8{\pm}10.4%$)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양 7일째 배반포의 평균 세포수에 있어 각 처리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aspiration: $110.3{\pm}39.2$, squeezing $103.7{\pm}42.8$), 세포자연사의 비율에 있어서도 역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aspiration: $2.8{\pm}2.6%$, squeezing: $4.3{\pm}4.4%$). 본 연구의 결과는 물리적 탈핵 방법인 aspiration 방법과 squeezing 방법 모두 소 체세포 복제수정란의 생산을 위한 유용한 방법임을 보여준다.

재래산양의 체세포 핵이식에 의한 복제수정란의 체외발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 Vitro Development of Cloned Embryos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in Korean Native Goats)

  • 박희성;김태숙;정수영;이윤희;정장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5-112
    • /
    • 2005
  • 본 연구는 재래산양에서 복제 수정란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체세포 핵이식을 실시하여 공핵세포의 종류, 핵이식란의 활성화 처리 방법 및 수핵난자의 조건이 체외발달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검토하여 핵이식란 생산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공핵세포의 종류에 따른 핵이식란의 체외발달율은 융합이 이루어진 핵이식란의 활성화 처리 후 분할율은 귀 유래 섬유아세포를 공핵세포로 사용하였을 때가 $40.5\%$로서 태아 유래 섬유아세포를 공핵세포로 사용하였을 때의 $55.5\%$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상실배 또는 배반포기로의 발달율도 각각 $6.7\%$$16.0\%$로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핵이식란의 활성화 방법에 따른 체외발달율은 ionomycin+6-DMAP 처리를 하였을 때 분할율은 $79.0\%$로서 전기자극을 주었을 때의 $9.5\%$보다는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상실배 또는 배반 포기로의 발달율도 ionomycin+6-DMAP 처리를 하였을 때는 $15.6\%$가 발달하였으나, 전기 자극을 주었을 때는 4-세포기 이후로의 발달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체세포 핵이식란은 단위발생란에 비하여 분할율$(66.1\%\;vs\;59.18\%)$ 및 상실배 또는 배반포배로의 발달율$(19.0\%\;vs\;0.0\%)$이 유의적 (P<0.05)으로 낮았다. 단위발생란의 분할율은 체내 성숙난자에서 $86.8\%$로서 난포란의 $69.0\%$보다는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단위발생란의 상실배 또는 배반포기로의 발달율에 있어서도 체내 성숙난자$(50.0\%)$가 난포란$(23.6\%)$보다 유의적 (p.<0.05)으로 발달율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재래산양의 체세포를 이용한 복제수정란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난자 확보를 위한 과배란처리 방법의 개선, 난포란의 이용효율 개선 및 활성화 처리방법 등이 확립되어야 하며, 후기배로의 발달율 향상을 위해서는 최적의 체외 배양조건 확립이 시급한 것으로 생각된다.

Demecolcine 처리에 의한 탈핵과 수핵란 세포질의 세포 주기가 소 핵이식란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mecolcine-Assisted Enucleation and Recipient Cell Cycle Stage on the Development of Nuclear Transfer Bovine Embryos)

  • 백진주;박춘근;양부근;김정익;정희태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9권3호
    • /
    • pp.175-180
    • /
    • 2005
  • 본 연구는 demecolcine 처리에 의한 탈핵과 수핵란 세포질의 세포 주기가 소 체세포 핵이식란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체외에서 $16\~20$시간 성숙배양된 난자를 극체 방출 유무 및 MI, MII기 난자로 구분하여 $0.4\;\muL/mL$ demecolcine으로 40분간 처리 후 염색체 부위가 돌출된 난자는 탈핵 후 핵이식에 공시하였다. 소의 귀 피부 세포를 탈핵란에 이식하여 전기융합과 활성화 처리(Ca-ionophore+DMAP)를 거쳐 체외 배양하였다. Demecolcine처리 후 $86.2\%$의 난자가 염색체 부위의 돌출을 보여 이 중 $98.8\%$가 탈핵에 성공하였다. Demecolcine은 핵이식란의 발육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제1극체 방출란 유래 핵이식란의 배반포 발육율은 극체 미방출란 유래 핵이식란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18.2\%\;vs.\;4.6\%\cdot$, P<0.05). 한편, MI 난자 유래 핵이식란의 분할율 및 배반포 발육율은($69.4\%$$5.9\%$) MII 난자 유래 핵이식란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96.7\%$$23.9\%$, P<0.05). 본 연구의 결과는 demecolcine 처리가 소 난자의 탈핵에 매우 효과적이며 MII기 난자가 MI기 난자에 비하여 수핵란 세포질로 더 적절하나 극체 미방출란 및 MI기 난자도 비록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핵이식란의 배반포 발육을 지원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PLGA 종류와 담체의 형성 방법에 따른 인간의 조직공학적 연골형성 (Tissue Engineered Cartilage Formation on Various PLGA Scaffolds)

  • 김유미;임종옥;정호윤;박태인;백운이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7-15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관상의 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담체에 대한 인간의 초자연골과 탄성연골의 형성정도를 살펴보았다. 담체는 PLGA의 분자량에 따라서는 110,000 g/mol과 220,000 g/mol을 비교하였고 내경 유지를 위하여 내경측에는 220,000 g/mol, 외경측에는 110,000 g/mol 의 복합체를 만들거나, 비분해성 고분자 폴리에틸렌 튜브와 110,000 g/mol PLGA의 담체와의 결합도 시도하였다. PLGA 담체들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단면 구조를 관찰하였다. 각각의 담체에 20세 미만의 환자들의 비중격에서 채취된 초자연골과 귀에서 채취된 탄성연골에서 분리한 연골세포를 심었다. 분리된 연골세포는 두 번의 계대배양을 거쳐 각각의 PLGA 담체에 심었고 일주일동안 생체 외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각각의 세포와 담체의 복합체를 nude mouse의 배부 좌, 우로 피하조직에 이식하고 8주 뒤 H&E 염색으로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110,000 g/mol의 PLGA담체의 연골조직은 잘 형성되어 있었지만 그 내경은 유지되지 못하였다. 반면 220,000 g/mol의 PLGA담체의 연골조직은 내경은 유지하였으나 연골조직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성숙한 연골조직의 양이 많지 않았다. 초자연골 세포에 비교하여 탄성연골 세포가 같은 조건하에서 연골조직을 더 많이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상의 유지를 위하여 220,000 9/mol PLGA 담체를 내경측에 110,000 g/mol PLGA 담체를 외경측으로 한 담체에서는 연골조직 형성이 잘 되지 않았으나 내경측에 폴리에틸렌 튜브를 끼운 110,000 g/mol PLGA 담체에서는 조직 형성과 내경유지가 잘 되었고 원래의 담체와 거의 유사한 형태로 유지되었다. 분화된 연골세포도 조직 소견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1mm 내경의 관상 연골조직은 인공 기관지나 식도 등을 위한 동물 실험과 인공 합성 튜브의 대체 등 앞으로 많은 응용분야가 기대된다.

가토의 귀에서 무세포성 진피 기질의 이식 방법에 따른 치유 양상 (HEALING PATTERNS OF THE ACELLULAR DERMAL MATRIX DEPEND ON GRAFT METHOD IN THE RABBIT EARS)

  • 류재영;유선열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216-221
    • /
    • 2009
  • Purpose: The retention of the basement membrane complex, which was the unique feature of the acellular dermal matrix ($AlloDerm^{(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normal process of wound healing.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healing of the acellular dermal matrix according to the graft method in the rabbit ear. Materials and methods: Six mature rabbits weighing about 3.0 kg were used, $10\;{\times}\;5\;mm$ sized subcutaneous pockets were created between the ear skin and the underlying perichondrium. In the control group, the acellular dermal matrix was grafted with the basement membrane facing toward the perichondrium. On the contrary, the acellular dermal matrix was grafted with the basement membrane facing toward the skin side in the experimental group I. In the experimental group II, the acellular dermal matrix was grafted like rolled configuration with basement membrane side in. The grafted site was picked at 3, 7, and 21 days after the graft. Serial sections were processed by H-E stain and examined under light microscopy to assess the healing patterns. Results: There was no distinct volume loss in the gross examination, but resorption was observed from the edge of the acellular dermal matrix in the histological examination. The space of resorption was replaced by the newly formed fibrous tissues and vessels. The inflammatory cells were more increased at 7 days after the graft than the early days. However, inflammation was decreased at 21 days after the graft. Regardless of the graft direction,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group I in the healing pattern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cellular dermal matrix can be used simply and effectively without regard to the graft direction as a substitute of autogenous material for repairing soft tissue defect.

토끼 귀에 발생한 초기 창상 반흔에 베라파밀이 VEGF의 발현 및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erapamil on VEGF expression and apoptosis in early wound scarring of the rabbit ear)

  • 배태희;김우섭;김한구;김미경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11-18
    • /
    • 2009
  • Purpose: Excessive scarring in the forms of keloid and hypertrophic scar could be a consquence of the accumulation of granulation tissue cells due to aberrant control of apoptosis. Verapamil retard extracelluar matrix production and inhibits VEGF production in primary cultured keloid fibroblast.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effect of verapamil on VEGF expression and apoptosis in early wound scarring of the rabbit ear. Methods: Full thickness wounds were created on the ventral side of 6 New Zealand rabbits's ear. 16 days after initial wounding verapamil and saline were injected each scars and scars were harvested 1 week, 2 weeks, 4 weeks later. The wound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TUNEL stain, immunohistochemical stain for VEGF and calculated scar elevation index. Results: Histologic analaysis demonstrated significant reduction in inflammation, vascularity and improvement in dermal collagen organization in experimental group. In TUNEL staining apotosis positive cells were increased and immunohistochemial staining of VEGF demonstrated significant reduction of VEGF expression in experimenta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scar elevation index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intralesional injection of verapamil on early wound scarring of the rabbit ear decreased VEGF production and increased apoptosis and have a benefit on the pathophysiology of scar formation.

귀전우 다당류 분획이 생쥐의 T 및 B 임파구와 대식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Euonymus alatus Sieb on T-, B-Lymphocytes and Macrophages in Mice)

  • 강재우;신지섭;방준성;장성훈;이일화;전훈;김대근;오찬호;조형권;은재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270-1275
    • /
    • 2008
  • Effects of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Euonymus alatus Sieb(EPF) on the immune response of T-, B-lymphocytes and macrophages were examined in vitro and in vivo system. EPF (500 mg/kg) were administered p.o. twice a day for 5 days to C57BL/6 mice, and then the cells were separated from mice. EPF decreased the viability of thymocytes, but increased the viability of splenocytes in vitro and in vivo system. Also, the administration of EPF enhanced the population of helper T cell and cytotoxic T cell in thymocytes and did not affect the population of splenocytes. Furthermore, EPF enhanced the phagocytic activity an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peritoneal macro phages in vivo syst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EPF regulates an immune response via the enhancement of mature T lymphocytes and B lymphocytes viability and phagocytic activity of macrophages.

허혈·재관류 유도 신경세포사멸에 대한 일당귀 물추출물의 신경보호효과 연구 (Neuroprotective effects of Angelicae Acutilobae Radix water extract against ischemia·reperfusion-induced apoptosis in SK-N-SH neuronal cells)

  • 오태우;박기호;이미영;최고야;박용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7-74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termine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the water extract of Angelicae Acutilobae Radix(AA) on ischemia reperfusion-induced apoptosis in SK-N-SH human brain neuronal cells. Methods: SK-N-SH cell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A water extract (0.1, 0.2, 0.5 and 1.0 mg/ml) for 2 hr and then stimulated with 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 containing CI-DPBS: 3mM sodium azide and 10 mM 2-deoxy-D-glucose for 45 min, reperfused with growth medium, and incubated for 24 h.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WST-1 assay, and ATP/ADP levels were measured by ADP/ATP ratio assay kit. The levels of caspase-3 protein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d apoptotic body was observed by Hoechst 33258 staining. Results : AA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decreasing the cell viability in ischemia-induced SK-N-SH cells. AA also increased the ratio of ADP/ATP in ischemia-induced neuronal cells and de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apoptotic protein, caspase-3 and apoptotic DNA damage. Conclusions : Our results suggest that AA extract has a neuroprotective property via suppressing the apoptosis and increasing the energy levels in neuronal cells, suggesting that AA extract may has a therapeutic potential in the treatment of ischemic brain injury.

속발성 무월경 외 비정상 표현형이 없는 Trisomy 8 Mosaicism의 증례 보고 (A Case of Trisomy 8 Mosaicism in a Patient with Secondary Amnorreha without Abnormal Phenotype)

  • 강혜심;손영수;김성엽;박철민;심순섭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8권1호
    • /
    • pp.67-70
    • /
    • 2011
  • 체질성 8삼염색체 모자이시즘은 비교적 드문 염색체 이상으로 특이한 두개안면 모양 (변형 두개골, 돌출된 이마, 낮거나 변형된 귀), 골격계 기형, 심장 기형, 신장 기형, 잠복고환, 다양한 정도의 발달지체 등의 특징적인 표현형을 갖는다. 그 표현형과 세포유전학적 표현의 다양성 때문에 특정 질환이 생기기 전까지 진단이 늦어지기도 한다. 전형적인 표현형 없이 속발성 무월경을 동반한 28세 여성에서 발견된 체질성 8삼염색체 모자이시즘(47,XX,+8[9]/46,XX[41])을 보고한다.

Suspenison Laryngoscope에 의한 후두병 변의 진단 및 치험례 (Microsurgery of the Laryngeal Lesions)

  • 장인원;이종원;권영춘;정규화;정종진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8년도 제12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7.1-7
    • /
    • 1978
  • 후두의 Microsurgery는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는 작은 병변을 그 초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데 유익하며 이는 근년에 와서 Scale(1960), Kleinsasser(1964) 등에 의해 개발되었고 Saito 및 많은 임상가들에 의해 추시된 바 있으며, 노도 그의 경험 20여례에 대하여 상세한 보고를 하였다. 귀수술에 사용되는 zeiss 수술현미경의 대물 lens 위에 보조 lens를 장치하여 충분한 작동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나아가 fiber optics에 의한 suspeasion laryngoscope로써 시야를 밝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정확한 진단 및 세밀한 수술을 할 수 있다. 즉 점막상피내암, 후두점막질환, 성대 polyp, nodule및 cyst 등에 대한 현대적 진단과 치료법이기도 하다. 저자 등은 전남의대 부속병원 이비인후과를 내원한 후두질환 환자중 선택적으로 suspension laryngomicr-oscopy를 이용하여 진단 및 외과적 적출을 시행한 11례(성대 polyp; 4례, 유두종; 4례, 진성대 및 가성대의 web형성; 1례, 후두외상; 1례, 후두상피세포암: 1례)를 경험하였기에 우선 예보를 하는 바이며, 앞으로 지속해서 많은 경험증례를 분석검시하여 보고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