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귀농 지원정책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정책알림 - 농신보 보증 대상.한도 확대 추진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5 no.10
    • /
    • pp.160-161
    • /
    • 2013
  • 가업을 물려받는 영농후계자나 귀농을 생각하는 예비 농업인들도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의 보증지원을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또 일반 농가와 생산자뿐만 아니라 농업법인과 가공 유통업자도 보증지원을 보다 쉽게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는 농어업 활력제고 및 창조 농어업 지원을 위한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이하 농신보)' 제도를 이같이 개선할 방침이라고 지난 3일 밝혔다. 1972년 설립된 농신보는 농림어업인 등을 대상으로 농어업 대출자금 등의 보증을 지원한다. 설립 이후 96조5,000억원의 보증을 지원했다. 지난 5월 기준 보증잔액은 8조9,000억원으로 농어가(개인)와 농어업생산에 대해 중점적인 보증을 제공했다. 개인 생산자 보증잔액은 개인이 13조4,000억원, 생산자가 12조원이다. 금융위원회는 전통 소극적 지원방식에 치중된 농신보 보증지원을 대내외 여건변화에 따라 개설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농신보 보증지원 대상 확대(농어가${\rightarrow}$법인, 생산${\rightarrow}$가공 유통) 및 보증방식 개선 등의 이유로 보증제도 개선이 필요해서다. 이 뿐 아니라 WTO 및 FTA 체결 등에 따른 농수산물 수입증가, 농어촌 인구 고령화 등 대내외 여건 변화도 이유다. 새로운 환경 대응 및 농어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원 대상 확대 등 제로베이스에서의 검토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금융위가 발표한 농신보 기본 개선방향은 크게 3가지다. ${\triangle}$창업지원 및 우대보증 확대 ${\triangle}$지원대상 확대 ${\triangle}$기금제도 개선 등이다.

Feasibility Survey on the Introduction of Forest Land Bank System focusing on Forest Owners, Non-forest Owners, and People Who Return to the Farm (산주와 비산주 및 귀농·귀촌인을 대상으로 한 산지은행제도 도입 타당성 설문조사)

  • Kim, Jong Ho;Kim, Won Kyung;Kwon, Soon-D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3 no.2
    • /
    • pp.278-286
    • /
    • 2014
  • Forestry management problems in South Korea have been caused by small and scattered forest lands, aging forest owners, and the increase of absentee forest owners.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a time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forest land bank system for the expansion of forestry management scale, the effective management of neglected forest lands, and the stable livelihood support for aged forest owners. Therefore, this research implemented the questionnaire survey of necessity, expectation, willingness to use, and introduction plans for the forest land bank system in order to examine the feasibility and demand of the system focused on forest owners, non-forest owners, and people who return to the farm.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262 of resident forest owners, 152 of absentee forest owners, 427 of non-forest owners, and 101 of people who return to the farm. 77.5% of forest owners and 63.8% of non-forest owners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the introduction for the forest land bank system. Both forest owners and non-forest owners would prefer to use forest land reverse mortgage and leasing among projects of the forest land bank. In addition, 75% of people who return to the farm also expected that forest land bank would be helpful to their rural and mountain life, and they would have higher preference to participate in leasing and buying forest lands than other projects. Based on the outputs of the feasibility and demand survey in this research, this study can play a key role in determining basic direction, major functions, types and range of projects as well as providing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policies of the forest land bank system.

A study of Recognition level of Factor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Return to Farm and Rural' of the local Government' Policies (군지자체 귀농·귀촌정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요인의 중요도 인식 수준)

  • Oh, Sang-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
    • /
    • pp.37-42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licies of return to farm & rural of the local government 's local communities. Through this, we inte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the policies of the local village. The local economy is difficult due to the declining population. Therefore, it is also important as a way to increase the population. It is also important as a way to revitalize agri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ain factors are education, self-sufficiency, adaptation, funding, and consulting.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these was highest in the self-supporting environment (28%). Followed by adaptation (21%) and funding (20%). Followed by consulting (17%) and education (15%). We can conclude that the factors that show a somewhat lower proportion are less important, but we can also conclude that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is high due to the high maturity of the factors. The importance analysis used AHP techniqu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 guide for government policy.

Supporting Policy Scheme for the Youth's Entrance to Farming in Japanese (일본의 청년 신규 취농 지원 정책과 시사점)

  • Kim, Jongin;Kim, Jeongseop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3 no.2
    • /
    • pp.115-122
    • /
    • 2016
  • For 20 years, Japanese government have been pushed forward supporting policy measures for youths who wanted to start farming. These measures made up a systematized scheme and brought out some effects. In this paper, those scheme are introduced and analyzed. Those are composed of several measeurs as following: vocational edcucation and training, internship program, direct payment for livelihood, and governmental subsidies for investment. Japanese scheme can be evaluated as a good policy in the view of Korean situation. There is no systematic policy program for youth's entrance to farming in Korea.

The Support Scheme for New Farmers and the Role of Local Group in Biratori-cho, Hokkaido, Japan (일본 홋카이도 비라토리정의 신규취농 지원정책과 마을조직의 역할)

  • Jeong, Yong-Kyeong;Kobayashi, Kuniyuki;Hwang, Jeong-Im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5 no.4
    • /
    • pp.211-224
    • /
    • 2018
  • The presence of agricultural and rural society in South Korea has been threatened due to aging as well as depopul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Japanese support scheme for new farmers and the role of local group in new farmers' successful settlement in agricultural and rural society. The case study area is Biratori-cho, Hokkaido, Japan. Firstly, this study identified the systemic support scheme for new farmers of Biratori-cho, which provides with two years' training program, mentoring, rental housing and financial aid. Secondly, we focused on the birth and the supporting role of local group, which is called 'Neo-frontier'. Lastly, we analysed the relationship of new farmers and local residents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 of 11 new farmers' household. As conclusions, we emphasized the value of quality-based support scheme of local government, unlike the quantity-based policy focused on the number of in-migrants. Also, we discussed the meaning of social network in new farmers' successful settlement in agricultural and rural society.

Analysis of knowledge flow and education effect on the Saemangeum (새만금유역에서 농업비점오염 관련 지식흐름과 교육효과 분석)

  • Jang, Jeong Ryeol;Kim, Mi Seon;Kim, Jae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13-113
    • /
    • 2015
  • 공공수역 수질오염 관리에 있어 비점오염원 관리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새만금호 유역은 농경지비율이 40%로서 넓기 때문에 농업비점오염 관리가 중요하다. 농업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기법 연구는 국내에서 그 간 상당 수준으로 진행되었지만, 그 기법을 실행할 주체인 농업인이나 지역주민의 역량이나 농업비점오염의 인지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새만금유역에서 농업비점오염과 관련된 주체들 간의 정보의 소통과 흐름에 대하여 분석해보고, 또한 농업오염 교육 전후에 있어서 지역주민과 농업인의 농업비점오염에 대한 인식도와 교육효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농업비점오염과 관련된 주체들 간의 지식흐름은 매크로레벨 즉, 정책입안자, 전문가 레벨에서 관련정보가 정체되어 있었고, 실제 농업비점오염 관련 저감 기법이나 정책을 실행하는 주체인 마이크로레벨의 농업인과 지역주민, 이를 지원하는 시군 공무원, 지역전문가 등 매소레벨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로 가공 전달되지 못하고 있었다. 농업부서와 환경부서 사이의 농업비점오염에 대한 인식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정 분야를 중심으로 활발한 소통이 있는 반면, 정보의 의도적 차단, 자기조직의 대응을 위한 형식적, 임시적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귀농인과 친환경농업인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농업비점오염에 대한 인식도는 교육 전 38.1%에서 교육 후 100%로, 교육 후 농업비점이 오염원이라는 인식도도 친환경농업인 91%, 귀농귀촌인 78%로 응답하였다. 농업비점오염원 관리가 수질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는 친환경농업인은 5점 만점에 3.67점, 귀농귀촌인은 4.05점, 농업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요한지에 대하여 친환경농업인은 4.05점, 귀농귀촌인은 4.09점으로 두 집단 모두 농업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친환경 농업은 저감기법의 오염 저감 효과는 높게 인식하였지만, 직접 실행해 볼 의사는 3.4점, 저감 기법을 주위에 소개나 권고할 의사는 3.5점이었다. 또한, 실행 가능한 저감 기법으로는 퇴액비 사용, 완효성 비료사용, 녹비작물재배 등의 순이었다. 저감기법이 어렵다고 응답한 이유는 복잡할거 같다, 귀잖을 것 같다, 추가비용으로 손해, 저감효과 신뢰성 부족, 농업은 오염원이 아니다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살펴볼 때, 주체들 간의 정보와 지식흐름을 이어줄 중간조직의 필요성과 농업인의 인식의 변화가 행동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는 교육?홍보 기법과 농업인의 수용성이 높은 저감기법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