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권선온도상승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95 seconds

Experimental Study of Solenoid Actuator'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oil Shapes (코일 형상에 따른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특성의 실험적 고찰)

  • Sung, Baek-Ju;Lee, Eun-Woong;Kim, Hyoung-Eu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0b
    • /
    • pp.48-50
    • /
    • 2003
  • 개폐형(On/Off)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의 설계에서는 온도상승을 고려한 권선수 산출이 가장 중요하고, 제작과정에서는 설계단계에서 산출된 권선수를 정확하게 정렬권선 형태로 구현해 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 정렬권선이 개폐식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은 하나의 정렬권선 코일과 비 정렬 상태가 다른 세권선을 사용하여 보빈과 연결된 요크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를 각각 실험하고 그 때의 흡인력 온도상승 소비전력 등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특히, 온도상승 실험은 실제 사용시의 상황을 구현하기 위하여 권선상태가 다른 4종류의 코일 각각에 100만회의 내구성 시험을 실시하면서 작동횟수를 등분하여 코일, 요크, 몰딩부의 각 측정점 온도를 측정하였다.

  • PDF

Temperature Rise of the MV Class Transformer Filled with a Vegetable Fluid (식물성 절연유를 사용한 배전용 변압기의 온도변화 특성)

  • Lee, Byung-Sung;Park, Chul-Bae;Song, Il-Keun;Han, Sang-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2060-2061
    • /
    • 2008
  • 식물성 절연유는 기존 광유계 절연유에 비해 친환경성과 안전성이 부각되어 전력용 변압기에 사용을 검토하고 있다. 우수한 생분해성 및 높은 인화점, 발화점을 갖는 반면, 점도가 높아 냉각 효과가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변압기 절연유의 역할이 절연과 냉각이므로 광유에 비해 약 3배 정도 높은 점도를 갖는 식물유를 사용할 경우 변압기 권선 내부 온도 상승을 검토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전급에 사용되는 변압기에 광유 대체로 식물유를 사용하였을 때 권선 및 유온도 상승을 측정하였다. 변압기 권선 구조 설계에 있어서 정확한 권선온도 상승 값을 활용하여야 적정 수명 유지가 가능해 진다.

  • PDF

A study of method to refrain from the winding temperature rising of three-phase induction motor (고압전동기 권선온도 냉각설비 개선 사례 연구)

  • Choi, In-Seok;Hong, Jeong-Jo;Lee, Eun-Chun;Hong, Young-Jae;Hong, Hyun-Py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831-832
    • /
    • 2015
  • K-water에서는 대청댐 하류의 용수를 취수하여 대청광역 계통에 1일 98만㎥을 공급할수 있는 현도취수장을 운영하고 있다. 취수장에는 고압전동기 10대가 운영되고 있으며, 장시간 연속운전 및 하절기 주위온도 상승 등으로 권선온도가 상승되어 설비의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취수펌프동 실내온도 및 고압전동기 권선온도 저감을 위해 펌프동 배기시스템 운영시간 변경 및 고압전동기 냉각 흡기덕트 설치 등의 개선 노력으로 권선온도 저감은 물론 에너지절감 및 기기의 수명연장 등 설비 운영의 안전성을 확보한 연구결과이다.

  • PDF

Temperature Rise Prediction of Distribution Mold Transformer using Finite Element Method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배전용 몰드변압기 온도상승 예측)

  • Lee, Jeong-Keun;Kim, Ji-Ho;Lee, Hyang-Beo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784_78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2[MVA]급 배전용 몰드변압기의 온도분포를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몰드변압기의 온도상승한도와 허용최고온도를 전자기적 열원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계산하고 그 계산된 열원을 바탕으로 열적 해석의 열원으로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일반적으로 변압기의 수명은 내부의 전반적인 열적 특성보다는 특정 부위의 온도 분포에 의해 결정되며, 특히 변압기 내부 최고점의 온도(hot spot temperature)값이 허용치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절연내력의 저하로 인해 변압기의 수명은 급격히 감소한다. 이러한 수명개선을 위해 몰드 변압기의 철심과 고압.저압권선의 Joule's loss을 계산하여 열원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배전용 몰드변압기의 철심과 고압 저압권선의 온도상승 분포와 최고점의 온도분포를 예측하였다.

  • PDF

Temperature Rise Prediction for Power Transformer b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에 의한 전력용 변압기의 온도 상승 예측)

  • Ahn, Hyun-Mo;Hahn, Sung-Ch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107-110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전력용 변압기 온도상승을 예측하기 위해 CFD 상용 프로세서인 Fluent를 이용하였다. 온도상승의 원인이 되는 전력손실은 자계 상용 프로세서인 Maxwell을 이용하였으며, 자계해석에 의해 얻은 전력손실을 유체역학과 열전달을 동시에 고려한 열유동해석의 열원으로 적용하였다. 해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변압기 권선의 형상을 실제형상과 유사하게 모델링하였으며, 해석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온도 상승 시험을 통해 얻은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 PDF

Finite Element Analysis of Temperature Distribution for Power Transformer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전력용변압기의 온도분포해석)

  • Ahn, Hyun-Mo;Hahn, Sung-Ch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818_81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온도상승의 열원이 되는 권선과 철심의 전력손실을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전자계해석과 스타인메츠실험식으로 산정하였다. 온도에 대한 자연대류 열전달계수를 산정하여 경계면에서의 경계조건으로 적용하였다. 열전달 해석을 위해 전력용변압기를 3차원 형상으로 모델링한 후 유한요소법을 이용해 권선과 철심에서의 온도분포를 해석하였다.

  • PDF

100kHz Higy Density Pulse Transformer Design (100kHz 고밀도 펄스 변압기 설계)

  • Kim, S.C.;Park, S.S.;Kim, S.H.;Kim, D.T.;Nam, S.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b
    • /
    • pp.1283-1285
    • /
    • 2000
  • 고 주파수 스위칭 동작을 하는 DC/DC 컨버터 혹은 인버터를 효율적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고주파용 펄스 변압기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동작주파수가 수십 혹은 수백 kHz일 경우에는 최소의 부피로 충분한 전력을 수용하면서 변압기를 설계 및 제작하기 위하여 코어 및 권선의 선정, 코어 및 권선의 손실, 변압기의 온도상승요소, 변압기의 발열,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 권선 케페시턴스, 분포 케페시턴스 그리고 공진주파수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고 시험 평가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여러가지 요소들을 고려하여 동작주파수가 100kHz인 DC/DC 컨버터 혹은 인버터를 고밀도 제작하기 위하여 고주파용 펄스변압기를 최소의 부피로 수kW 용량으로 변압기의 온도상승요소를 고려하여 설계, 제작 그리고 실험한 결과에 대하여 기술 하고자 한다.

  • PDF

Temperature Rising Suppression Effect of IPMSM by the Flux Barrier (자속 장벽에 의한 IPMSM의 온도 상승 억제 효과)

  • Jo, Eul-Gyu;Cho, Kwang-Jin;kim, Gyu-Ta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780-781
    • /
    • 2015
  • 영구자석 전동기(PMSM)의 온도 상승은 권선 저항 증가에 의한 동손 증가와 희토류 계열 영구자석의 성능 저하, 고온 불가역감자 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전동기의 성능이 저하되고 수명이 단축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구자석의 온도 상승 억제를 위하여 자속 장벽을 설치하고, 이를 열 등가회로망으로 열 해석을 수행하였다.

  • PDF

Calculation of Loss/Temperature rise for Tank-wall of Transformer and Field-test (변압기 외함 자계손실/온도상승 계산 및 실증시험)

  • Kim, Dong-Hyun;Kim, Chang-Wook;Park, Sung-Won;Choi, Myung-Jun;Seo, Heung-Seog;Park, Sang-B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925-926
    • /
    • 2007
  • 전자계 및 열/유동 해석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변압기 외함의 자계손실과 온도상승을 계산하는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설계 또는 고객 요구시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 따라서 3차원 간이 계산법을 정립하여 신속 정확한 해석적 방법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권선의 누설자속에 의해 발생하는 변압기 외함의 자계손실을 계산하고 이에 따른 온도상승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제 변압기의 온도상승 시험을 통해 온도상승 계산 결과의 정확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PDF

Study on the Fire Risk in Locked-Rotor Condition of Single-Phase Induction Motor (단상 유도전동기의 구속운전조건에서 화재 위험성에 관한 연구)

  • Ji, Hong-Keun;Song, Jae-Yo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4 no.2
    • /
    • pp.64-71
    • /
    • 2020
  • In this paper, the fire risk of a single-phase induction motor under a locked-rotor condition is described. In general, motor failure occurs in the locked-rotor condition owing to poor rotation of the rotor. Large inrush current flows when a motor starts, which is approximately 2-15 times larger than the rated current. In a single-phase induction motor under the locked-rotor condition, a large current that corresponds to the inrush current flows continuously through the stator winding. Such an overcurrent rises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ator winding, and thus the insulating material may catch fire. In this study, the restrained operating condition of the single-phase induction motor was simulated. Further, the degree of the overcurrent and temperature rise in the stator winding was measured. Th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ed that the overcurrent was seven times larger than the rated current and the fire commenced at a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300 ℃ inside the stator win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