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권고 요소

Search Result 12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Recommendations of ETSI/SRC6 on European Information Infrastructure (유럽 정보통신기반에 관한 ETSI/SRC6의 권고사항)

  • Heo, Seong-I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0 no.4 s.38
    • /
    • pp.207-222
    • /
    • 1995
  • 현재 세계 각국마다 국가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정보통신기반 구축에 있어서 표준화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절대적 요소로서 인식하고 있다.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유럽도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유럽지역의 산업체 경쟁력을 제고하고 신규 고용창출을 증대하기 위해 새로운 정보기반구조(EII:European Information Infrastructure)를 구축하고 있으며,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의 전략검토위원회가 EII와 관련된 표준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할 사항들을 연구.분석하여 필요한 권고사항들을 제시함으로써 표준화 기반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 본 고에서는 국내의 초고속정보통신 표준화를 효율적으로 추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제22차 ETSI 기술총회에 제출한 EII 관련 전략검토위원회의 최종보고서 가운데 권고사항들의 요약부분만을 조사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권고사항들은 EII의 특성, 개념 모델, 표준화 영역, 표준화 관리, EII 서비스, 상호운용성, 법 및 규제사항 등 7개 분야에 31개로 구성되어 있다.

A Study on Improvements of Guidelines for Public Library Service to Deaf People in Korea (국내 공공도서관의 청각장애인 서비스 지침 개선에 관한 연구)

  • Cho, Hye-Chon;Chung, Yeon-Kyoung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43 no.2
    • /
    • pp.223-24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guidelines for public library services to deaf community in Korea. For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case study and survey were performed. Based upon the results, the mandatory and optional elements were suggested within the framework of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developed by National Library Support Center for the Disabled in Korea in 2009. Based upon these elements, public libraries should modify and supplement the guidelines reflecting the local circumstances. Eventually, this guideline will help librarians to provide professional and effective library services to deaf people.

A Study on Preservation Metadata for Digital Resources (디지털자원의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세트 개발에 관한 연구)

  • Seo, Eun-G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2 no.3 s.57
    • /
    • pp.233-260
    • /
    • 2005
  • The preservation metadata which is defined the property and history of changes must be describes logically and structurally for implementing long-term digital preservation. The preservation metadata makes the users to access and retrieve authentic digital resources and the managers of digital archives to manage and preserve more effectively the digital resources. his paper is review of recent developments relating to digital preservation metadata including the taxonomy of information object classes of Reference Model of OAIS and outlines some library-based projects. Next, the paper investigates how to develop and use the preservation metadata in university libraries and what is the core preservation metadata elements. Finally, the paper recommends the set of preservation metadata elements with broad applicability to digital preservation in university libraries.

A Study of the Elements Analysis of Metadata for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전자자원 관리용 메타데이터의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 Nam, Young-Joon;Jang, Bo-S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3 no.3 s.61
    • /
    • pp.241-264
    • /
    • 2006
  • This study suggested indispensable elements of metadata for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and effectively manage of electronic resource in library.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d into the data elements of DLF ERMI's ERMS data structure, foreign three universities. The Data elements are verified by domestic ERM specialist. As the result, trial categories are 12 elements, consortium categories are 15 elements, license categories are 33 elements, electronic resource information categories are 21 elements, access/administrative information categories are 20 elements, usage statistics categories are 13 elements, workflow categories are 14 elements, contact information categories are 18 elements.

Implementation of the Optimal Power Flow in Korean Energy Management System (한국형 EMS 최적조류계산 적용방안)

  • Seo, Eun-Sung;Lee, Jin-Su;Lee, Hyo-Sang;Min, Sang-Won;Lee, Ju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206-208
    • /
    • 2008
  • 본 논문은 한국형 에너지관리시스템(K-EMS)의 발전계획 응용프로그램 기능중 하나인 최적 조류계산 기능에 관한 것이다 최적조류계산(OPF) 기능의 목적은 전력계통의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계통 제어요소를 위한 권고사항을 정하는 것이다. 최적조류계산은 또한 계통 조류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발전기 경제 급전 또는 송전 손실 최소화 등의 급전원의 목적에 맞는 제어 요소의 권고 사항을 정할 수 있다는 강점을 지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KEMS에서 적용하려는 최적조류계산의 기능 및 적용방안에 대해서 설명 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MARC Format for Motion Pictures (영화자료를 위한 KORMARC형식의 확장 설계에 관한 연구)

  • 이미화;최석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4.12a
    • /
    • pp.155-158
    • /
    • 1994
  • 본 연구는 영화자료의 목록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ORMARC형식을 확장 설계하였다. 영화자료를 위한 적절한 목록요소를 선정하기 위해서 국제필름보관소연맹이 권고한 데이터요소와 각국 필름 보관소에서 목록하는 영화자료 데이터요소를 함께 분석하였고 선정된 데이터요소는 영화자료의 확장 기술과 자원공유를 위해 MARC으로 설계하였다.

  • PDF

모바일 기기 기반의 다중요소 인증기술 국제 표준화 동향

  • Kim, Keun-Ok;Jung, Young-Gon;Shim, Hee-Won;Kang, Woo-Jin
    • Review of KIISC
    • /
    • v.24 no.4
    • /
    • pp.26-32
    • /
    • 2014
  • 오늘날 사람들은 장소와 시간의 제약 없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검색, 인터넷뱅킹, 온라인쇼핑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모바일 기기를 통한 다양한 인증기술이 선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전자거래의 보안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고위험 거래에서는 하나 이상의 인증요소를 결합한 다중요소 인증기술을 권고하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최근 ITU-T SG17에서 진행 중인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다중요소 인증기술 관련 국제 표준화 동향을 살펴본다.

A Study on the Metadata Design for Standardization of Food Composition Research Data (식품성분 연구데이터의 표준화를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에 관한 연구)

  • Lee, Sang Hoon;Park, Eunji;Kim, Juseop;Kim, Sunta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3 no.3
    • /
    • pp.241-26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ed the structure and elements of metadata that can manage and share research data produced in the food composition database. In order to derive metadata elements, mapping crosswalk was performed on 5 metadata such as DCAT, DataCite metadata schema 4.4, TTAK.KO-10.0976, AgMES, and FoodData Centra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op 15 elements of the 'Resource information' metadata were derived, and 7 mendatory, 3 recommended and 5 optional elements, and the 'Composition analysis' metadata included 8 mendatory, 3 recommended and 1 optional element were derived to describe food composition research data, respectively. The derived metadata elements will be used as an item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food composition data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haring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food composition databases.

A Formal Modeling for Temporal and Active Properties of Managed Object Behavior (망관리 객체의 시간지원 능동 특성에 대한 전형적 모델링)

  • Choe, Eun-Bok;Lee, Hyeong-Ho;No, Bong-Nam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6 no.9
    • /
    • pp.2479-2492
    • /
    • 1999
  • Network management system(NMS) provides not only effective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network which consists of heterogeneous network elements but prompt response to users' need for high-level communication services. Recommendations of ITU-T and ISO stipulate the managerial abstraction of stat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network elements, management functions as well as management communication protocol. But the current description method does not provide the formal mechanism for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managed objects in clear manner but in natural language form, the complete specification of managed objects is not fully described. In this paper, we describe determinants for the behaviour of managed objects applicable to every managed object, and present a language for specifying behavioral aspects of managed objects based on their temporal and active properties.

  • PDF

A Study on Service Quality, Trust and Satisfaction of Web Portal Site (게임요소의 규모가중치 기준 연구)

  • Im, Deuk-Su;Lee, Tae-Ho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491-498
    • /
    • 2005
  • 기능점수 방법은 소프트웨어 비용산정을 위한 규모산정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게임콘텐츠에서는 이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ISO/IEC FDIS 19761(final draft)[8]에서는 게임콘텐츠에서 FP를 이용하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에 게임요소점수방식을 고안하였으나, 이 방식에서 쓰이는 게임요소의 가중치가 분명치 않은 부분이 있어 여기서 이 부분을 다루어 그 내용을 명확히 하였다. 게임요소에 대한 정의를 하여보고, 이중 그 의미가 불명확한 미션에 대하여 다소 세부적으로 다루었으며, 이들 게임요소의 가중치를 산정할 난이도에 대하여 검토한다. 난이도는 규모산정의 중요요소이므로 게임요소에 대한 명확한 난이도의 구분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