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권고안

Search Result 32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방사선감시기 경보설정치 산정에의 ICRP-60 권고안 적용

  • 배영직;이승종;이경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683-690
    • /
    • 1998
  • 국내의 원자력 관계법령은 1965년에 발표된 ICRP-9 권고안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국내 규제기관에서는 ICRP-60 권고안을 수용하는 새로운 방사선량 체계 및 한도등을 포괄한 원자력관계법령 개정 최종(안)을 마련하였고 이를 곧 시행할 예정임에 따라 현행 법령이 적용된 원자력시설의 설계 및 운영에 있어서는 적지않은 변경이 불가피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로인한 영향중의 하나로 ICRP-60 권고안을 적용하여 설계중인 신규원전의 기체유출물 방사선감시기에 대한 경보설정치를 산정하였으며, 비교를 위해 현행 법령이 적용된 기존원전에 대한 경보설정치 산정방법을 소개하였다. 이와함께 기존원전에 사용된 DRL (Dose Rate Limit, 선량률한도) 방식과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한 ECL (Effluent Concentration Limit, 방출농도한도) 방식을 소개하였으며, 각각의 방식에 의해 산정된 경보설정치를 상호 비교하여 ECL 방식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입증코자 하였다. 마지막로는 국내 원전에 설치, 가동중인 기체유출물 방사선감시기에 대해 개정될 국내 법령의 적용과 보다 정확한 경보설정치 산정을 위한 작업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결과가 계통에 반영되어 운전되어야할 것임을 제안하였다.

  • PDF

Life & Communication - 국제표준, 가끔은 차선으로 결정되는 절충의 종결

  • Lee, Hyeon-U
    • TTA Journal
    • /
    • s.139
    • /
    • pp.130-131
    • /
    • 2012
  • 연구원 초년 시절에 ISDN, 전화선 모뎀 규격 등을 담은 ITU-T 권고안을 (당시는 CCITT 권고안) 보면서 바이블처럼, 금과옥조처럼 신성시 할 때가 있었다. 그러나 천하의 ITU-T 권고안도 실수가 더러 섞여 있고 규격에 반영된 기술도 세계 최고가 아닌 적당한 타협에 의한 결과물이 더러 있다는 걸 알게 되기까지는 그리 오랜 시간이 필요하지 않았다. 그래서 국제 표준이라는게 꼭 당대 최고의 기술의 결정체라기 보다는 토론과 협상, 절충과 거래에 의한 종합적인 고뇌의 산물이자 예술품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이번 글에서는 필자가 알고 있거나 경험했던 표준에서 절충의 사례를 몇 가지 알아보고 향후 표준을 만들어 갈때 길잡이가 되기를 기대한다.

  • PDF

FPLMTS 서비스와 무선접속기술 분석

  • 오종택;최성진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3 no.6
    • /
    • pp.90-104
    • /
    • 1996
  • 2세대 이동통신 시스팀의 단점을 보완한 3세대 이동통신 시스팀, 즉 FPLMTS에 대한 권고안 작업이 ITU-R SG8 TG8/1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중에서 서비스와 무선 접속 기술에 관계된 권고안을 분석하였다.

  • PDF

CCITT의 ISDN 표준화와 기본 개념

  • Lee, Seong-Gyeon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 no.2
    • /
    • pp.130-145
    • /
    • 1987
  • 최근 ISDN 이 통신분야 전문가들의 주된 관심대상으로 등장하면서, 이에 대한 개념정립, 실현방법, 서비스와 장비 등의 표준화 문제에 많은 노력을 투입하고 있다. 표준화 업무는 CCITT가 주관하고, 확정된 결과는 권고안으로 발간된다. 권고안의 구성은 ISDN 이 전화망으로 부터 발전해 간다는 본질성을 감안하여 기존의 전화망(특히 IDN)권고에다 ISDN 전문권고를 첨가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전문권고는 SG18에서 제정하고, 전화망권고를 ISDN 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정이 필요한 사항은 여타의 SG 들이 관장해오고 있다. 여기서는 1981-1984 연구회기중에 이루어진 ISDN 권고 요지와 이를 형성하는 기본개념들의 흐름을 분석한다.

IP 망 성능 표준화 동향

  • 김형수;김동권
    • TTA Journal
    • /
    • s.73
    • /
    • pp.146-151
    • /
    • 2001
  • 본 고에서는 인터넷 통신서비스의 기반을 제공하고 있는 IP 기반 통신망(IP based network)의 망 성능(Network Performance)에 관련된 기본 개요 및 관련 국제표준기구의 표준화 동향을 파악하고, ITU-T SG13(국제전기통신연합 제13연구반)의 Q.6에서 수행하고 있는 IP 망 성능 관련 권고안들(2001년내 권고안 승인예정)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Pure LRIC MTR Regulation of EU (EU의 순수증분비용방식 이동망 접속료 제도 분석)

  • Byun, J.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4
    • /
    • pp.175-181
    • /
    • 2011
  • 이동망 착신독점력 규제를 위해 각국 규제당국은 이동망 착신접속료(Mobile Termination Rate: MTR)를 원가기준으로 규제하고 있다. 원가기준으로는 과거 FDC 방식이 채택되어 왔으나 2002년 영국이 "LRIC+" 방식으로 MTR을 결정한 이래 "LRIC+" 방식이 EU를 비롯한 OECD 주요국의 MTR 산정방식으로 보편화되어 왔다. 그러나 2009년 EU에서 순수증분비용(Pure Long Run Incremental Cost) 방식으로 착신접속료 규제방식 변경을 권고하는 권고안을 채택함으로써 EU 가맹국은 Pure LRIC 방식으로 MTR을 변경하여야 한다. 본 고에서는 Pure LRIC 방식 채택을 권하는 EU 권고안 채택 배경, Pure LRIC 산정 방법론, EU 권고안에 대한 각국의 이행계획을 살펴보며, Pure LRIC 채택이 가져올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RF Specification in the ITU-R Recommendations (ITU-R RF 성능 권고(안) 분석)

  • Park, J.A.;Park, S.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3 no.5
    • /
    • pp.131-142
    • /
    • 2008
  • 최근 ITU-R에서는 전파혼신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무선기기의 RF 항목(주파수허용편차, 점유주파수대역폭, 불요발사 등)에 대한 권고안 SM.1045, SM.328, SM.853, SM.329, SM.1539 등을 제정하거나 개정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국내 무선설비규칙의 전파 질 허용치 및 측정방법과 연계하여 ITU-R RF 성능 권고(안)의 핵심내용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은 무선기기의 인증 및 무선국 검사에 적용되는 국내 무선설비 기술기준치를 이해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ssessment of Reporting Interventions i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Acupuncture according to the STRICTA Recommendation (STRICTA 권고안에 따른 침 효과에 대한 무작위 대조군 임상 시험 논문의 개업 보고에 대한 평가)

  • Son, Chi-Hyoung;Cho, Sung-Il;Park, Hi-Joon;Moon, Sung-Il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v.23 no.2
    • /
    • pp.59-67
    • /
    • 2006
  • 목 적 : Pubmed에서 검색된 침의 효과에 대한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논문에서 STRICTA 권고안의 반영률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 방 법 : Pubmed에서 2003 년 7 월 1 일부터 2004 년 6 월 30 일까지 발간된 침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 논문을 검색 한 후 수작업으로 침의 효과에 대해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을 실시한 36 개의 논문을 채택하였다 .대상논문들의 저널, 대상 질병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Jadad scale 접수를 매기고 STRICT A 권고안의 반영률을 ‘STRICTA 접수’를 매겨서 알아보았다. 논문이 SCI, SCIE, 무등재된 저널 중 어디에 실려 있는가에 따라 ANOVA 를 사용하여 Jadad 점 수 및 STRICTA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단순상관 분석을 통해 STIRCT A 점수와 Jadad scale 접수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결 과 : Jadad scale 접수의 평균은 2.6점 이었으며 STRICTA 접수의 평균은 11.0점 이었다. 36편의 침 무작위 임상시험논문에서 다음의 6가지 항목 - 문현적 근거, 자침 깊이, 함께 처치한 내용, 시술자 배경, 참가자의 맹검여부. 대조군 선택을 정당화 할 수 있는 근거-의 기술율은 50% 미만이었다. SCI, SOE, 무둥재된 것에 따라 논문들의 Jadad 접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STRICTA 점수 평균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STRICTA 점수와 Jadad scale 점수 간에는 아무런 관계가 없었다. 결 론 :36 편의 침 임상시험 논문은 STRICTA 권고안의 많은 부분을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STRICTA 권고안을 받아들이는 정도는 Jadad 점수와는상관이 없었다.

  • PDF

A Review of Declarations on Appropriate Research Evaluation for Exploring Their Applications to Research Evaluation System of Korea (연구성과평가 지침 리뷰 및 국내 적용 제안을 위한 고찰)

  • Yu, So-Young;Lee, Jae Yun;Chung, EunKyung;Lee, Bor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2 no.4
    • /
    • pp.249-272
    • /
    • 2015
  • Inappropriate applications of bibliometric approach and misinterpretation on the analysis in research evaluation have been found and recognized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as the use of the approach has been rapidly adopted in various sectors in research evaluation systems and research funding agencies. The flood of misuse led to several numbers of declarations and statements on appropriate research evaluation, including Leiden Manifesto, DORA, IEEE Statement, etc. The similar recommendations from five different declarations, Leiden Manifest, IEEE Statement, DORA, Institut de France, and Thomson Reuters White paper were reviewed and meta-analyzed in this study and it is revealed that most of them emphasize evaluation on quality in various aspects with multiple indicators. Research evaluation with assessing multiple aspects of individual research based on the understandings of its purpose and pertinent subject area was revealed as being mostly advised in the declarations, and this recommendation can be regarded as being mostly requested in national research evaluation system. For future study, interviews with relevant stakeholders of national research evaluation system in order to explore its application are needed to confirm the findings of this review.

Next Generation Network Global Standards Initiative (NGN-GSI)

  • Kim, Seon;Kim, Yeong-Jae
    • TTA Journal
    • /
    • s.109
    • /
    • pp.127-128
    • /
    • 2007
  • NGN 분야의 표준화 추진을 위해 ITU-T 산하 SG11, SG13, SG19이 함께 Co-location 형태로 회의를 진행하는 ITU-T NGNGSI 회의가 2007년 1월 8일부터 12일까지 중국 북경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회의에서는 한국주도의 신규 권고안 3건이 채택되었으며, 이 3건의 신규 권고안에 대한 한국인 에디터로 4명이 선임되었다. 또한, SG16에서 ETRI 주도로 진행 중인 NGN 단말에서의 다기능 코덱 표준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한국 전문가들 간 공조하여 SG13 권고안‘NGN R2 요구사항’에 관련사항을 포함시킴으로써, SG16에서 한국 주도의 다기능 코덱 표준개발을 하기위한 기반이 마련되었다. 본 원고는 이번 NGN-GSI의 주요 회의결과를 국내 대표단 활동 내용 위주로 간단히 요약 정리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