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굴뚝

Search Result 16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Study of exhaust stack degin for effective diffusion of atmospheric pollutant (대기오염물질의 효과적인 확산을 위한 굴뚝 설계에 관한 연구)

  • 김종철;김태형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250-251
    • /
    • 1999
  • 미국 산업환기 매뉴얼에서 빗물을 가장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굴뚝으로 권장하고 있는 이중 굴뚝(Vertical Discharge Stack)을 우리의 기상조건에서 검증하여 그 사용가능성을 검토하고 기존에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삿갓모양과 "ㄱ" 모양 굴뚝의 불합리성을 지적할 뿐만 아니라 아울러 빗물 유입 방지나 배기저항을 최소화하고 배기확산에도 효과적인 새로운 모양의 굴뚝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Clarke, J. H, 1965 ; Hama, G. M., 1963 ; ACGIH, 1998)(중략)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urbidity Measurement Module of Plume using a Digital Camera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한 굴뚝연기의 혼탁도 측정모듈의 설계 및 구현)

  • Ban, Chae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2
    • /
    • pp.372-378
    • /
    • 2015
  • Smoke generated from business establishments and factories will not only cause air pollution but als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uman body. Generally, the most common method for measuring the turbidity of the plume generated from the stack is a method of observing by the transmissometer mounted in the chimney or Method 9 from the US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hich is a visual method of determining plume turbid emitted from stationary sources. However, these methods need a lot of cost to build and maintain. In this paper, we build a plume turbidity measurement module programs using a digital camera. We design and implement a module which acquires the pictures of the plume using a digital camera and measures the turbidity of it using the DOM(Digital Optical Method). In addition, we demonstrate the excellence by comparing and analyzing implemented module and other metho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urbidity Measurement Module of Plume using Optical Sensing (광학센싱을 이용한 굴뚝연기의 혼탁도 측정모듈의 설계 및 구현)

  • Ban, ChaeHoon;Son, Hy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312-315
    • /
    • 2014
  • Smoke generated from business establishments and factories will not only cause air pollution but als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uman body. Generally, the most common method for measuring the turbidity of the plume generated from the stack is a method of observing by the transmissometer mounted in the chimney or Method 9 from the US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hich is a visual method of determining plume turbid emitted from stationary sources. However, these methods need a lot of cost to build and maintain. In this paper, we build a plume turbidity measurement module programs using light sensing. We design and implement a module which acquires the pictures of the plume using a digital camera and measures the turbidity of it using the DOM(Digital Optical Method). In addition, we demonstrate the excellence by comparing and analyzing implemented module and other methods.

  • PDF

Influence of the Entrance and Exit Lengths on the Natural Convection Heat Transfer of a Cylinder in a Duct (도관내 원형관의 자연대류 열전달에서 입구 및 출구 길이 효과)

  • Lim, Chul-Kyu;Chung, Bum-Ji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1 no.1
    • /
    • pp.18-25
    • /
    • 2012
  • This work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chimney dimensions(exit and entrance length, and diameter) on the heat transfer of a vertical cylinder in a duct. The measured mass transfer rates for the natural convection of vertical cylinder in a duct were presented for Prandlt number 2,094, Rayleigh number in the range of $4.55{\times}10^9$, $5.79{\times}10^{10}$, and $1.69{\times}10^{11}$.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a copper sulfate electroplating system to simulate heat transfer based upon the analogy concept. The diameter of the duct was varied from 0.06 m to 0.14 m, and the heights from 0.30 m to 1.10 m. Nusselt numbers measured at open channel condition agreed well with the existing laminar heat transfer correlations for vertical plate developed by Le Fevre. The increase of the exit length enhanced the heat transfer up to a certain duct height but further increase does not affects the heat transfer. The heat transfer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entrance length up to a certain duct height and was constant at further increase. The Nusselt number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diameter of duct, until Nusselt number becomes similar to that at open channel beyond a certain diameter.

The Analysis of Building Downwash Effect using ISCST3-PRIME Model (ISCST3-PRIME모델을 이용한 건물 세류현상 해석)

  • 조진식;구윤서;최상민;정은동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95-396
    • /
    • 2002
  • 국내 지형이 복잡하고, 대단위 배출시설들이 대도시 주변에 많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굴뚝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이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굴뚝 주변의 건물 세류현상에 대해 세밀한 해석이 요구된다. 현재 국내 환경영향평가에서 건물세류현상을 평가하기 위해서 주로 미국 환경보호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ISC3모델을 사용하고 있다(US EPA, 1995). 그러나 이 모델에서는 건물과 굴뚝간의 거리에 따른 연기확산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고려할 수 없고, 또한 건물 주위에 형성되는 와류(wake)에 의해서 배출된 연기의 중심축이 기울어지는 것 등을 고려 할 수 없다. (중략)

  • PDF

피동형 격납건물 냉각계통 내 돔 효과의 수치적 해석에 관한 연구

  • 전지한;박홍준;이은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a
    • /
    • pp.298-303
    • /
    • 1997
  • 실제의 격납건물의 구조는 하부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는 영역과 상부 돔 형태와 굴뚝 형태의 구조를 가지는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하부 원통형의 구조만을 고려한다면, 고온의 철제 벽면과 콘크리트 벽면 사이의 gap 크기에 비해서 원통의 반지름이 상대적으로 매우 큰 값을 가지기 때문에 2차원 무한평판으로 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돔 및 굴뚝 영역에서는 높이가 높아질수록 돔 단면직경이 감소하고 굴뚝 영역도 유동단면적이 작은 원통의 구조를 가져 2차원 무한평판의 가정에 많은 무리가 따른다. 앞에서 명시한 세 가지의 격납건물 형태에 있어서 ASPWR의 경우는 굴뚝을 포함한 영역까지도 무한평판으로 가정하는 것이 가능하나(돔에서의 열전달 단면적이 하부의 열전달 단면적에 비해 매우 작다는 가정을 한다면) 나머지 AP600과 HWRF의 격납건물에 있어서는 상부까지도 무한평판 가정을 사용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유체해석 코드인 FLUENT V4.3을 이용하여 실제 격납건물 구조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여 무한평판 구조에 대한 가정이 과도한 열전달량을 예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Decorative Bricks and Roof Tiles used in Walls and Chimneys in the Chosun Dynasty -focusing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조선조 담${\cdor}$굴뚝에 나타나는 전${\cdor}$와편 장식문양의 유형 -조형 특성을 중심으로)

  • ;Kudo Takashi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no.4
    • /
    • pp.87-98
    • /
    • 2001
  • In the Chosun Dynasty (1392-1910), the walls and chimneys of palaces, temples, and the houses of the upper-class show various characteristics of decorative design patterns. This study investigated ceramic bricks and roof tiles, which is one aspect of environmental design studi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typology ot traditional Korean design of bricks and roof tiles used in walls and chimneys, and to show the design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llected 685 designs of bricks and roof tiles, and divided them into 18 categories and 5 types of design patterns based on object figures, architectural styles, materials, and decorative methods. In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mong the design patterns. In general, the palaces mostly used red, gray, and black bricks that had more detailed designs presenting auspicious signs or exorcism. But, temples and the houses usually used (black) roof tiles horizontally configured with the edges overlapping to decorate as wall as to strengthen their structure.

  • PDF

초고층건물에서 발생되는 굴뚝효과 방지대책

  • 권용일;박명식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3 no.12
    • /
    • pp.32-38
    • /
    • 2004
  • 초고층건물의 건설이 증가되고 있지만 건물외파와 출입문의 기밀도가 낮게 유지될 때, 이러한 누설면적과 층별로 구획할 수없는 수직샤프트(계단실 등)와 직렬로 배치될 경우,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굴뚝 현상(stack effect)의 발생원인과 차압크기 산정하는 방법 및 예방대책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신첨성대 - 사회변화와 인간유형

  • No, Hwa-Ju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11 s.342
    • /
    • pp.22-23
    • /
    • 1997
  • 바람직한 인간형에 대한 변화는 사회변화를 나타낸다고 볼 때 80년대를 전후한 사회적성격의 변화는 농경사회에서 굴뚝사회라고 하는 공업사회로 바뀌었고 그 이후는 지식기술사회ㆍ정보화사회로 변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농경사회 굴뚝사회에서는 절약하고 황소처럼 일하는 사람이 바람직한 인간형이었다면 지식기술사회ㆍ정밀화사회에서는 절약보다는 창의력과 새로운 아이디어 개발로 승부를 거는 사람이어야 성공의 가능성이 높게 평가된다.

  • PDF

바닷속 암흑에 사는 심해생물

  • Kim, Dong-Se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no.8 s.411
    • /
    • pp.38-45
    • /
    • 2003
  • 아프리카 동남쪽에 있는 마다가스카르섬에서도 800km나 떨어진 곳에는 레위니옹이라는 섬이 있다. 인구 70만명인 작은 섬 인근 해역에 2000년에 발견된 인도양 열수 지역이 있다. 이른 바 '활동중인 해저화산' 이다. 카레이 필드(Kairei field)로 이름 지어진 이곳의 수많은 열수 굴뚝에서는 활화산이 뿜어내는 검은 연기가 뭉게뭉게 솟아오르고 열수 굴뚝에서는 수많은 심해 생물들이 뒤엉켜 살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