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군집 상태

Search Result 438,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Use of Expectation Maximization Clustering for Constructing a Markov Chain of Human Mobility Model (기대치 최대화 기반의 군집화를 통한 인간 이동 패턴의 마르코프 연쇄모델 도출)

  • Kim, Hyunuk;Song, Ha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864-867
    • /
    • 2012
  • 사람들이 휴대용 위치정보 수집 장비나 혹은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사람의 이동 정보인 위치정보들을 모으는 일이 가능해 졌다. 이러한 위치정보들을 가지고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이동 모델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동 정보들은 머물러 있는(Stay)상태와 이동하는(Moving) 상태로 나눌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 중 머물러 있는 상태가 군집화가 되어 연쇄 모델속의 하나의 상태(State)로 나타나 질 수 있다. 물론 이동 정보들을 통해 연쇄모델 속 각 상태간의 전이 확률 또한 계산 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본 논문에서는 기대치 최대화 기반 군집화 과정을 통해 연속시간 연쇄 모델의 형태로 인간의 이동성을 표현하였다. 또한 이러한 모델에서 대표 군집(macro)과 그 부속 군집(micro)을 표현할 수 있었고 이러한 모습은 대표적인 큰 군집 속의 작은 군집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RSVP Flow Aggregation for end-to-end QoS on MPLS Network (MPLS망에서 종단간의 서비스 질을 보장하기 위한 RSVP 흐름 군집)

  • 김경일;김상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383-385
    • /
    • 1998
  • MPLS망은 레이블 스위칭을 통해 고속의 라우팅은 제공하지만 서비스 질은 보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MPLS망을 통해 종단간 서비스 질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RSVP 흐름 군집을 이용한다. 즉, 입구 라우터와 출구 라우터 간의 흐름들이 요구하는 자원들의 군집하여 예약함으로써 각 흐름들을 요구하는 서비스 질을 보장하게 된다. 이와같이 각 흐름들이 요구하는 자원들을 군집하여 예약하는 이유는 각 흐름별로 예약하고 그 예약에 따라 처리를 하게 되었을 때 흐름 별 상태 정보 저장 및 처리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흐름의 수가 매우 많은 코어 망에서 문제가 크다. 이처럼, 입구 라우터와 출구 라우터간의 흐름들이 요구하는 자원들을 군집하여 예약했을 때, 군집된 흐름들이 입구 라우터와 출구 라우터까지 레이블 스위칭을 통해 전달되면서 이렇게 예약된 자원을 이용하여 서비스 질을 보장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군집된 RSVP 메시지를 통해 자원 예약이 이루어질 때 레이블을 할당하고 바인딩 시킴으로써(레이블이 자원 예약 상태 정보에 대한 구분자 역할을 함) 레이블 스위칭을 통해 패킷이 전달되면서 예약된 자원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자원예약 상태 정보를 레이블 운송 테이블에 저장함으로써 레이블 교환 시 자연적으로 자원 예약에 대한 구분이 됨으로 빠른 구분이 가능하다.

  • PDF

Visualizing Excercise Prescription Using Visual Path Map (비쥬얼패스맵을 이용한 운동처방 과정 시각화)

  • Ham, Jun-Seok;Jeong, Chan-Soon;Ko, Il-Ju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4 no.9
    • /
    • pp.1182-1189
    • /
    • 2011
  • We named the system Visual Path Map which visualizes the distribution of cluster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and entire process about exercise prescription, and we purpose to visualize a process according to exercise prescription. Visual Path Map visualizes the distribution of cluster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current and object distribution, and changed distribution for prescription. So it visualizes paths from current distribution to object distribution according to prescription. We used SOM in order to express properties along subjects in Visual Path map, and visualized distribution of clusters about physical characteristics, body mass index, and age information of 1,500 ordinary people. Also we visualize practical exercise prescription according to real data of expert of exercise prescription.

Analysis and New Indices of Cluster Validity Indices in Summation Type (합형식의 군집 유효화 지수의 분석과 새로운 지수 개발)

  • Kim Minho;Ramakrishna R.S.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598-600
    • /
    • 2005
  • 군집 유효화 평가란 기본적으로 클래스 (Class)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한 입력 변수에 의해 발생되는 군집화의 결과들을 평가하여 그들 중에서 주어진 데이터 집합의 자연적인 분할 상태에 가장 적합한 결과를 찾는 기법을 말한다. 군집 유효화 평가에서 그 척도로 사용되는 것이 군집 유효화 지수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현존하는 다양한 군집 유효화 지수들 중에서 합 형식을 가지는 지수들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이 지수들의 설계 원리와 각 지수들의 부합성 (Compliance) 분석한다. 다음으로 분석을 통해 밝혀진 그들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군집 유효화 지수들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기존의 군집 유효화 지수들을 포함한 새로이 제안한 지수들의 성능을 실험 학습을 통해 평가한다.

  • PDF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사용한 질산화유도 반응기내 군집동태변화

  • Jo, Sun-Ja;Jeong, Yong-Ju;Kim, Jeong-Cheol;Lee, Sa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247-248
    • /
    • 2005
  •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조건에서 질산화를 유도한 반응기의 군집동태를 살피기 위해 RAPD, ARDRA, DGGE와 같은 기법들을 적용시켜 반응기 초기의 슬러지 구성 군집의 상태 와 질산화 유도후의 군집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1.5 kb정도의 165 rDNA를 이용한 RAPD와 ARDRA에서는 RAPD에 의한 군집 Patterns변화가 훨씬 다양했으며, 250 bP정도의 PCR산물로 분리를 시도한 DGGE에서도 비교적 예상했던 바와 같이 군집이 단순화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 PDF

Soil Properties in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신갈나무림의 군집별 토양특성)

  • 박관수;장규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2 no.3
    • /
    • pp.236-241
    • /
    • 1998
  • This study was to compare soil characteristics among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that characterize the boreal-temperate deciduous forest in Korea. The classification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soil sampling were carried in Mt. Odae and Mt. Jungwang in Kangwondo from April of 1991 to October of 1994.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as 5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with Braun-Blanquet method as follows; Quercus mongolica - Abies nephrolepis, Quercus mongolica - Acer pseudosieboldianum, Quercus mongolica - Lindera obtusiloba, Quercus mongolica - Acer mandshuricum, and Quercus mongolica - Carpinus cordata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 Abies nephorolepis community had the most shallow depth of A horizon(5cm) among communities, and root penetration was mainly from 0 to 10cm soil depth, and they had a dry soil moisture condition. Depth of A horizon of Quercus mongolica - Lindera obtusiloba and Quercus mongolica - Acer mandshuricum communities was about 20cm, and root penetration was mainly from 0 to 20cm soil depth, and they had a slightly dry soil moisture condition. Quercus mongolica - Acer mandshuricum, and Quercus mongolica -Carpinus cordata communities had the deepest depth of A horizon(35cm) and root was well developed over 45cm, and they had a moderately-slight dry soil condition. The soil organic matter, total N, exchangeable Ca, Mg and K concentration and CEC was the greatest in Quercus mongolica-Acer mandshuricum community and Quercus mongolica-Carpinus cordata community among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 Abies nephyolepis community had the smallest soil organic matter, total N, and CEC among communities. There were large differences among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by soil properties and the result may be due to different habitat positions in the landscape among communities.

  • PDF

Plant Communisty Structure in Keolim valley of Ch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거림계곡 식물군집구조)

  • 권전오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4
    • /
    • pp.392-403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 거림계곡 식물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거림계곡 내 등산로를 따라 66개(6,600m2)의 방형구를 설정하였으며 DCA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해발고 740-950m 의 조사구는 졸참나무군집(군집I) 해발 950-1,340m의 조사구는 신갈나무군집(군집II) 해발 1,340-1,390m의 조사구는 구상나무-거제수나무군집(군집III)으로 분류되었다 상대우점치 흉고직경급별 분포 분석결과 각 군집의 우점종인 졸참나무 신갈나무 구상나무가 우점하는 군집으로 계속유지될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특히 관목층은 조랫대의 밀도가 높아 천이진행에 영향을 주는 동시에 종다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3개 군집간의 유사도지수는 낮은 상태로 해발고에 따라 식생구분이 명확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State and Driving Safety for Driving within the Platoons of Trucks by Drivers Driving Performance (화물차 군집주행 간격에 따른 운전자의 운전수행능력별 심리상태 및 주행안전성 비교 연구)

  • Park, Hyun jin;Park, Jae beom;Lee, Ki young;Song, Chang j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0 no.6
    • /
    • pp.147-16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state and driving safety of drivers driving around the truck platoon driving. Using the driving simulator,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was constructed with the situation of changing lanes to the platoon and driving within the platoon. We tried to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nalyze the driver's psychological state and driving safety through simulation driving experiments.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older driver group,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y judged themselves to be driving safely, even though they were driving dangerously in the actual lane change to the platoon or driving within the platoon. In particular, this group showed that the narrower the distance between vehicles, the greater the misrecogn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deriving the optimum interval when the interval between platooning of trucks needs to be temporarily extended.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in Jujeongol Valley of Soraksan National Park (설악산 국립공원 주전골계곡 식물군집구조분석)

  • 이경재;민성환;한봉호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0 no.2
    • /
    • pp.283-296
    • /
    • 1997
  • To investigate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valley and suggest the management of Mational Park, fifty plots were set up and surveyed in Jujeongol Valley, Soraksan National Park.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and DCA ordination technique were applied to the study area in order to classify them into several groups based on woody plants. The dividing groups were Quercus mpnngolica - Q. variabilis - Pinus densiflora community, P. densiflora community,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The ecological trends of tree species by DCA ordination technique and DBH class distribution analysis was like that Q. mongolica - Q. variabilis - P. densiflora community and P. densiflora community seems to be trended from P. densiflora community to Q. mongolica 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seems to be trended from Q. serrata community to C. laxiflora community and C. laxiflora will be maintaimed stable state.

  • PDF

Plant Recovery of the Burnt Area around Samsinbong in Ch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삼신봉주변 산불지역의 식생회복현황)

  • 김정호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1
    • /
    • pp.18-27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 동부지역인 경남하동군 화개면에 위치하는 삼신봉(해발 1,284m) 산림 중 산불이 발생하였던 지역의 식생회복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산불이 발생하였던 지역에 20개 조사구 대조지역에 12개 조사구를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불이 발생하였던 지역에 설정한 20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TWINSPAN과 DCA를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집(I) 신갈나무-쇠물푸레군집(II) 으로 분리되었고 대조지역에 설정한 조사구는 신갈나무군집(II)이었다 군집 I과 군집II에서 교목층과 아교목층의 대부분 수목이 고사상태이었고 관목층에서는 산화후 천이 초기에 나타나는 조록싸리가 우점하고 있었다 상대우점치와 유사도지수를 분석한 결과 산불이 발생하였던 신갈나무군집(I) 신갈나무-쇠물푸레군집(II) 은 대조구인 신갈나무군집(III)과 유사도지수분석에서 유사성이 높았는데 산불발생 이후 피해를 입은 신갈나무가 맹아에 의해 회복속도가 빠른 것으로 추정되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는 산불지역(군집 I,II)에서 각각 0.3259, 0.4727이었고 대조구 (군집III)는 0.1084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