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군집형

검색결과 678건 처리시간 0.023초

ICT와 업무의 변화 - 일의 파편화 관점에서 - (ICT and the Changing Nature of Work: Work Fragmentation)

  • 이세윤;박준기;이정우
    • 정보화정책
    • /
    • 제21권1호
    • /
    • pp.35-56
    • /
    • 2014
  • ICT가 도입되면서, 업무의 수행이 예전에 비해서 파편화되고 있다. 파편화는 업무의 연속성을 해친다는 측면에서 생산성에 부정적일 수 있지만, 일의 파편화를 잘 관리하여 조합한다면 업무의 모드를 효과적으로 미래형으로 전환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의 파편화가 어떠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유형에 따라 업무의 특성들은 어떻게 다른지를 조사 분석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파편화의 종류와 정도, 그리고 ICT 사용을 포함한 업무의 특성에 관해서 설문을 구성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실제 기업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300건의 설문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업무 시간/공간 편중형, 업무 시간 분산형, 업무 공간 분산형, 업무 시간/공간 파편형의 4가지 군집 유형을 도출하였다. 군집별로 업무 영역, 경력, 업무의 특성, ICT 사용에 대한 특성들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이렇게 변화하여 나가고 있는 업무 특성의 본질적인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정책과 대응책이 필요한지, 본 분석의 시사점들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음식 군집분석을 통한 개인맞춤형 식이 코칭 기법 (A Personalized Dietary Coaching Method Using Food Clustering Analysis)

  • 오유리;최지은;김윤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6호
    • /
    • pp.289-294
    • /
    • 2016
  • 현대인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다양한 만성질환을 야기하는 식습관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여러가지 모바일 및 웹시스템을 이용한 식단 관리 방법이 등장하고 있지만 이는 실제로 적용하기 어렵고 사용자의 상황을 반영하는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개인의 신체정보 및 상황을 반영하고 음식을 분석하여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섭취 가능한 맞춤형 식단관리 및 추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자기조직화지도를 이용하여 음식을 분석하고 이를 군집화하여 음식에 대한 데이터를 준비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상황을 고려한 개인 맞춤형 기준을 반영하여 섭취하고 싶은 음식에 대한 피드백 및 대체음식 추천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실험을 통하여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한 추천된 음식결과와 비교하여 제안된 방법의 입력 음식과 추천 음식의 거리가 짧다는 것을 통하여 영양적으로 유사한 음식이 추천됨을 증명하였다.

음의 일치 빈도를 고려한 유사성 측도의 대소 관계 규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dering of similarity measures with negative matches)

  • 박희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1호
    • /
    • pp.89-99
    • /
    • 2015
  • 세계 경제 포럼과 대한민국 지식경제부에서 10대 핵심정보기술 가운데 하나로 빅 데이터를 선정한 바 있다. 빅 데이터에 대한 분석은 결국 데이터들이 가지고 있는 속성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분석하느냐가 관건이다. 이를 위한 기법들 중에서 군집 분석 방법은 거리 또는 유사성 측도를 이용하여 각 개체의 유사성을 측정하여 유사도가 높은 대상 집단을 분류하고 군집에 속한 개체들의 유사성과 서로 다른 군집에 속한 개체간의 상이성을 밝혀내는 통계분석 기법이다. 군집분석에서 이용되고 있는 유사성 측도는 데이터의 속성에 따라 여러 가지의 형태로 분류할 수 있으며, 범주형 데이터에 적용 가능한 측도들은 음의 일치 빈도를 고려한 측도, 음의 일치 빈도를 고려하지 않는 측도, 그리고 주변 확률 분포의 포함 여부에 의한 측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음의 일치 빈도는 동시발생빈도와 더불어 두 항목간의 관련성에 대한 순방향성을 의미하므로 이를 고려하지 않는 유사성 측도들보다 이를 고려한 유사성 측도들이 좀 더 현실적인 측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분형 데이터에 대해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음의 일치 빈도를 고려한 측도들에 대해 대소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이들의 상한 및 하한을 설정하는 문제를 고려하였다.

국가습지유형분류체계의 습지 유형 (하천형과 호수형)에 따른 경남지역 습지의 어류군집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the Fish Assemblage Characteristics by Wetland Type (River and lake) of National Wetland Classification System of Wetlands in Gyeongsangnam-do)

  • 김정희;윤주덕;임란영;김구연;조현빈
    • 생태와환경
    • /
    • 제51권2호
    • /
    • pp.149-159
    • /
    • 2018
  • 습지 유형에 따른 어류군집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관리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29개의 습지 (하천형 20개소, 호수형 9개소)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하천형 습지에서는 평균(${\pm}SD$) $10.3{\pm}4.8$종이, 호수형 습지에서는 평균 $9.1{\pm}4.1$종이 출현하였으며, 출현 종수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Mann-Whitney U test, P>0.05). 반면 두 습지 유형의 어류군집을 구성하는 종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였으며(PERMANOVA, Pseudo-F=2.9555, P=0.007), 각 유형의 어류군집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종은 참갈겨니(하천형, 28.51%)와 블루길 (호수형, 23.21%)로 확인되었다 (SIMPER). 지점별 어류군집을 활용한 NMDS 분석결과 총 3개의 그룹(하천형, 호수형, 기타)으로 구분되어 기존의 유형 구분과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습지 관리는 멸종위기종을 중심으로 한 일원화된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 의하면 습지 유형별 어류군집에 있어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고유종, 외래종, 주요 기여종에 대한 정보를 활용한 관리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 지형을 기반으로 한 습지의 유형 분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부 습지의 유형에 대한 분류가 모호한 경우가 확인되었으며, 이에 대해 생물상 분석을 통한 보완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두 개의 습지 유형에 대한 분석결과로 한계가 있기 때문에 향후 모든 유형의 습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각 습지의 유형을 대변할 수 있는 세부적인 관리 방법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가계저축유형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mily Saving Patterns and the Determinants)

  • 주인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1호
    • /
    • pp.62-71
    • /
    • 1994
  • 본 연구는 가계의 저축운용형태에 따라 가계저축유형을 분류하며 또한 각 저축유형 의 결정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국민은행이 실시한 1990년도 가계금융이 용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군집분석에 의해 가계저축의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가계저축 유형에 대한 결정요인을 찾기 위하여 로짓분석을 사용하였다. 가계적축은 상이한 5개의 유 형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유형은 그에 해당하는 가계 저축행태의 특징에 근거하여 수익추구형, 안전지향형, 지역밀착형, 인간관계중시형 및 유비무환형으로 명명하였다. 가계저축유형별 결정요인을 유형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가계소득, 가구주의 직업, 가구주의 학력이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능화 전장에서 인공지능 기반 공격용 군집드론 운용 방안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Enabled Combat Swarm Drones in the Future Intelligent Battlefield)

  • 채희;이경석;엄정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65-71
    • /
    • 2023
  • 최근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공격용 드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공격용 드론 활용은 그간의 재래식 전쟁의 통념을 깨는 게임체인저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 지능화 전장에서 공격용 군집드론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논문은 인공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향후 공격용 군집드론의 운용 발전 방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인간에 의해 운용되는 군집드론을 완전히 자율화된 군집드론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1) 군집드론 운용에 최적화된 AI 알고리즘 적용, (2) 탈중앙식 지휘통제 방식 개발, (3) 드론 간 임무 분석 및 할당 자동화 기술 적용, (4) 드론 통신 보안 강화 및 (5) 무인화의 윤리 기준 확정이 중요하다. 세부적으로 군집드론 간의 충돌방지 및 이동형 표적을 공격하기 위한 AI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또한, 급변하는 전장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탈중앙식 지휘통제 시스템 개발과 적 공격에 의한 드론 손실 발생 시 임무를 재할당 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군집드론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보안기술 개발 및 무인화에 따른 윤리문제 해결을 위한 기준제정이 중요하다.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기반 군집형 건물 솔리드 모델 자동 생성 기법과 모델 편집 기능 평가 (Evaluation of Clustered Building Solid Model Automatic Generation Technique and Model Editing Function Based on Point Cloud Data)

  • 김한결;임평채;황윤혁;김동하;김태정;이수암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1호
    • /
    • pp.1527-1543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군집형 솔리드 건물 모델을 생성하는 기술을 다양한 데이터에 적용, 실험을 수행하여 적용 가능성과 효용성을 탐색한다. 또한 자동 건물 모델링 기술의 한계로 인해 부족한 모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건물의 형상 편집 및 텍스처 조정 기술을 개발, 실험을 통해 결과를 확인하였다. 자동 건물 모델 생성 기술의 적용 가능성 탐색을 위하여 무인항공기 영상 기반으로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와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자료를 사용해 실험하였으며, 자동으로 생성된 건물 모델에 건물 형상 편집 및 텍스처 조정 기술을 적용하여 모델의 품질의 향상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기반의 자동 군집형 솔리드 건물 모델링 기술의 적용 가능성과 모델의 품질 향상기술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기술은 기존의 건물 모델링 기술과 비교하여 처리시간의 비용이 크게 감소하며, 잦은 모델 갱신이 필요한 지역에 대한 관리 측면에서도 강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배경자료를 이용한 나무구조의 군집분석 (Tree Based Cluster Analysis Using Reference Data)

  • 최대우;구자용;최용석
    • 응용통계연구
    • /
    • 제17권3호
    • /
    • pp.535-545
    • /
    • 2004
  •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군집분석방법은 분석자료와 동일한 구조의 배경자료를 생성하고 이를 나무모형의 분류기법을 이용하여 분리해 냄으로써 변수들의 규칙으로 정의되는 군집을 형성한다. 배경자료는 reverse-arcing 알고리즘을 통하여 분석자료와 공간상에서 대비되도록 생성되며 군집이 효과적으로 식별되도록 돕는다. 이 방법은 분석자료에 이산형 변수가 혼합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모의실험자료와 실제 자료를 이용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규명하였다.

강원도에서의 지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at-site frequency analysis and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t Gangwon Province)

  • 서동일;김상욱;전영일;한재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205-205
    • /
    • 2023
  • 지역 빈도 분석과 점 빈도 분석은 하천 기본계획 및 수공 구조물의 설계에 있어 재현기간 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이다. 점 빈도 분석은 자료의 수가 부족하여 높은 재현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2019년도부터 사용되고 있는 지역빈도분석 방법은 이러한 점을 보완해주고 있다. 지역빈도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동질성을 확인하는 과정이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동질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K-means등의 군집분석과 L-moment 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두 방법 간의 정확성은 비교가 어려우나 서로 간의 장점, 단점과 결과 간의 차이를 기반으로 산간지역이 많은 강원도와 같은 지역에 대한 확률강우량 산정의 적절한 방법을 판단해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역 빈도 분석은 강원도에 위치한 48개 관측소의 강우 자료 수집 후 고도, 위치, 지속시간 별 강우량을 변수로 지정하고 K-means 분석을 통해 6개의 군집으로 구분하여 수행되었다. 이질성 척도는 관측 자료와 500번의 모의 수행을 통해 결정하였다. 이후 분석된 군집이 동질한 경우 확률분포형에 적합시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점 빈도 분석은 지역 빈도 분석에서 결정된 군집에서의 최대 강우량과 최소 강우량 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점빈도분석과 지역빈도분석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두 가지 분석 방법에 따른 차이의 발생원인 및 특성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