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군지역

Search Result 4,92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91년 지가동향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no.5 s.22
    • /
    • pp.72-85
    • /
    • 1992
  • [ $\bullet$ ] ''91 년간 전국평균지가상승률은 $12.78{\%}$로서 전년대비 $7.8{\%}$포인트 감소. $\bullet$ 서울의 지가상승은 $11.15{\%}$로서 ''90년의 $31.18{\%}$보다 무려 $20.03{\%}$ 포인트 감소하여 전국의 지가안정을 주도하고 있음. ${\cdot}$ 지역별로는 6대도시 : $13.57{\%}$, 중소도시 : $13.69{\%}$, 군지역 : $10.19{\%}$. ${\cdot}$ 용도지역별로는 주거지역 : $13.57{\%}$, 상업지역 : $12.22{\%}$, 공업지역 : $15.96{\%}$, 녹지지역 : $13.80{\%}$, 비도시지역 : $9.42{\%}$. $\bullet$ 특이사항으로는 ${\cdot}$ ''91. 4/4분기중 지가가 하락한 지역이 29개 시${\cdot}$${\cdot}$구로서 이중에서 중요한 지역을 보면 서울 중구($-2.92{\%}$), 용산구($-2.02{\%}$), 강남구($-1.94{\%}$), 대구 수성구($-3.11{\%}$), 대전의 유성구($-3.18{\%}$), 충남 태안군($-3.83{\%}$), 전남 순천시($-2.36{\%}$)), 나주군($-2.42{\%}$등이며, ${\cdot}$ 대전($23.25{\%}$) 및 인천($22.81{\%}$) 지역은 년간 $20{\%}$를 상회하고 있으나 이들 지역에서도 ''91 4/4분기에는 크게 둔화되고 있음. $\bullet$ 전반적으로 ''87년 수준의 지가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분기별 상승률은 ''87. 4/4분기 이래 최소치를 시현하고 있음.

  • PDF

Flora of Hangyeong Gotjawall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Area in Jeju-do (한경 곶자왈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식물상)

  • Park, Ji-Hyun;Hyun, Hwa-Ja;Lim, Eun-Young;Kim, Chang-Uk;Chung, Jun-Ho;Kang, Shin-Ho;Song, Gwanp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61-61
    • /
    • 2018
  • 한경 곶자왈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은 개가시나무와 백서향 등을 포함한 암괴지대의 상록활엽수림으로서 그 중요성이 인정되어 산림유전자원 생태보전지역으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지역의 식물상을 조사하여 곶자왈의 분포식물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라산 서쪽 곶자왈지역 중 곶자왈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을 2017년 6월부터 2017년 9월까지 20여 차례 현장조사를 통하여 표본을 수집하고 이를 기록 정리하였다. 조사지역의 식물은 총 83과 181속 236종 23변종 2품종 총 261종으로 조사결과 양치식물이 7과 18속 30종 2변종 32분류군, 나자식물이 1과 1속 2분류군, 피자식물은 74과 162속 204종 21변종 2품종 227분류군 이었다. 그 중 쌍자엽식물은 67과 139속 179종 16변종 1품종 196분류군이고, 단자엽식물이 7과 23속 25종 5변종 1품종 31분류군이었다. 조사에서 확인된 환경부 멸종위기야생식물은 개가시나무 1종 이었다. 식물 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총 9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등급별로는 V등급 검정개관중, 개가시나무로 2분류군, IV등급 백서향, 녹나무 등 12분류군, III등급 아왜나무, 호자나무 등 37분류군, II등급 올벚나무, 개산초 등 13분류군, I 등급 푸조나무, 자금우 등 3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의 적색목록 식물을 분석해보면 취약(VU)은 개가시나무, 섬다래 등 3분류군, 준위협(NT)은 백서향, 약난초로 2분류군, 관심대상종(LC)은 골고사리, 새우난초 등 9분류군, 미평가종(NE)은 빌레나무 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청수 저지 곶자왈 지역의 생태학적 자료로 제주도 내 곶자왈과 비교하였을 때 맹아가 발달한 종가시나무가 우점하는 지역으로 향후 상록수림 천이에 의해 상록수 아래에 자라는 식물로 낙엽활엽수가 대체될 것으로 추정되어 지속적인 조사가 요구된다.

  • PDF

Geographic Distribution of Physician Manpower by Gini Index (GINI계수에 의한 의사의 지역간 분포양상)

  • Moon, Byung-Wook;Park, Jae-Yo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20 no.2 s.22
    • /
    • pp.301-311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gree of geographic maldistribution of physicians and changes in the distributional pattern in Korea over the years 1980-1985. In assessing the degree of disparity in physician distribution and in identifying changes in the distributional pattern, the Gini index of concentration was used. The geographical units selected for computation of the Gini index in this analysis are districts (Gu), cities (Si), and counties (Gun). Locational data for 1980 and 1985 were obtained from the population census data in the Economic Planning Board and regular reports of physicians in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The rates of physicians located counties to whole physicaians were 10.4% in 1980 and 9.6% in 1985. In term of the ratio of physicians per 100,000 population, rural area had 9.18 physicians in 1980 and 12.95 in 1985, 7.13 general practitioner in 1980 and 7.29 in 1955, and 2.05 specialists in 1980 and 5.66 in 1985. Only specialists of genral surgery and preventive medicine were distributed over 10% in county and distribution of every specialists except chest surgery in county increased in 1955, comparing with that rates of 1980. The Gini index computed to measure inequality of physician distribution in 1985 indicate as follows; physicians 0.3466, general practitioners 0.5479, and specialists 0.5092. But the Gini index for physicians and specialists fell -15.40% and -10.42% from 1980 to 1985, indication more even distribution. The changes in the Gini index over the period for specialists from 0.3639 to 0.4542 for districts, from 0.2510 to 0.1949 for cities, and 0.5303 to 0.5868 for counties indicate distributional change of 24.81%, -22.35%, and 10.65% respectively. The Gini indices for specialists of neuro-surgery, chest surgery, plastic surgery, ophthalmology, tuberculosis, preventive medicine, and anatomical pathology in 1985 were higher than Gini indices in 1980.

  • PDF

Groundwater Recharge Using New Hydrologic Soil Group to the Island Area (신 수문학적 토양군에 따른 도서지역의 지하수함양량)

  • Lee, Seung-Hyun;Bae,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09-1913
    • /
    • 2008
  • 수자원의 공급적인 측면에서 내륙지역에 비하여 불리한 도서지역은 단기간의 가뭄에도 생활용수가 고갈되어 매년 상습적인 식수난을 겪고 있는 상태이다. 전국 3,170개 섬 중 491개 유인도에 831,295명(2003년)이 거주하고 있으나 상수도 보급률은 28.7%에 불과하다(환경부, 2005). 나머지 71.3%의 도서지역 주민들은 간이 급수시설, 우물, 지붕수 등을 생활용수로 이용하고 있다. 이와같이 도서지역은 상수도 보급율이 열악하여 지하수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내륙지역에 비하여 높아 지하수자원을 통해 부족한 용수를 공급받아야 할 실정이다. 용수공급을 위한 지하수의 개발을 위해서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할 것은 도서지역의 지하수개발가능량 평가이며 이의 평가를 위해서는 지하수함양량의 파악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하수함양량 산정 기법 중 하나인 NRCS-CN방법은 선행강우조건, 토지피복상태, 수문학적 토양군 등의 인자들에 의해 산정되어진다. 수문학적 토양군의 경우 대부분의 연구에서 정정화 등 (1995)에 의해 분류된 자료가 이용되고 있었으나 최근 정광호 등(2007)에 의하여 수문학적 토양군이 재분류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NRCS-CN방법을 이용하여 식수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 서남해안의 14개 도서지역에 대하여 수문학적 토양군의 1995년 분류와 2007년 분류를 적용하여 지하수함양량을 산정하고 비교하였다. 1995년 분류와 2007년 분류에서 지하수함양량과 함양률은 개도, 생일도, 보길도를 제외한 도서지역은 1%미만의 차이로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도, 생일도, 보길도는 1995년 분류에 비하여 2007년 분류에서 $2.2%{\sim}2.8%$ 감소하였다. 따라서 대상지역의 수문학적토양군의 재분류에 의한 지하수함양량 및 함양률의 차이가 미미함을 알 수 있었다. 연평균 함양량은 1995년 분류와 2007년 분류에서 수도가 590.8mm, 583.5mm로 최대값을 가지며 가파도가 270.2mm, 270.5mm로 최소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함양률의 경우 1995년 분류에서는 개도가 29.8%의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가파도가 23.3%의 최소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7년 분류에서는 사량도 상도가 28.5%의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가파도가 23.3%의 최소값으로나타났다.

  • PDF

A Study on Village Names of Youngnam Provinces : the Cases of Changnyeong-Gun, Bonghwa-Gun and Namhae-Gun (영남지방 지명에 관한 연구 -창녕군, 봉화군, 남해군의 경우-)

  • Park, Tae-Hwa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5 no.1
    • /
    • pp.1-24
    • /
    • 1999
  • This is a study on village names in a plain region of Changnyeong-Gun, a mountain region of Bonghwa-Gun and an island region of Namhae-Gun. The three regions differ in geographical features. The data are based on 455 village names in Changnyeong-Gun, 552 village names in Bonghwa-Gun and 275 village names in Namhae-Gun found in the 1 : 50,000 topographic map.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word structures of village names in the five basic concepts in geography : Man-Land(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Activities). Spatial Relation, Distribution, Region and Transi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Naming of villages are related to Natural Environment(41%), Human Activities(23%), Region(17%), Spatial Relation(13%), Distribution(5%), and Transition(3%). Of these six factors, Changnyeong-Gun is relatively dominant in village names related to Spatial Relations, Region and Transition ; Bonghwa-Gun Natural Environment and Namhae-Gun Human Activities and Spatial Relations. But the three Guns are absolutely dominant in village names related to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Activities. 2. A village name is divided into the specific name part(given name) and the generic name part(classified name). Names related to Human Activities, Spatial Relations, Distribution and Transition are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specific name part. Therefore, they are used as the given name of a village name. Whereas names related to Natural Environment and Region are more frequently found in generic name part, which means that they are used as the classified name of a village. 3. The word structure of a village name usually has two parts a frontal part(given name) and a rear part(classified name). The two parts have a particular pattern in the geographic concept when they are combined. 1) In the village names related to in their frontal part of the word structure, is more frequently combined as their rear part in Bonghwa-Gun, in Namhae-Gun and in Changnyeong-Gun. 2) In the village names related to in their frontal part of the word structure, is more frequently combined as their rear part in Changnyeong-Gun, in Namhae-Gun and in Bonghwa-Gun. Accordingly, Man(Human Activities) - Land (Natural Environment) can b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the naming of villages, because the concept is most frequently used in the word structures of village names.

  • PDF

The Study for the Flora of 6 Islands Area in the Western Sea of Chungnam Province (충남 서해지역 6개 도서 지역의 식물상 연구)

  • Moon, Ae-Ra;Kim, Hyun-Jun;Park, Jeong-Mi;Kang, Shin-Ho;Jang, Chang-Gee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5 no.1
    • /
    • pp.105-122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lluminate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islands at Chungnam.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November, 2010. Based on the voucher, vascular plants of in investigated islands were 105 families 326 genera 454 species 4 subspecies 45 varieties 9 forms, totally 512 taxa. Korean endemic plants were 6 species such as Aster koraiensis, Salix koriyanagi, Indigofera koreana, Hemerocallis taeanensis, Hepatica insularis, Philadelphus schrenckii,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4 taxa, such as Magnolia kobus (planted), Koelreuteria paniculata, Berchemia racemosa var. magna, Glehnia littoralis respectively. Phytogeographical special plants were totally 69 taxa, which were grade I of 50 taxa, grade II of 1 axon, grade III of 11 taxa, grade IV of 4 taxa, and grade V of 3 taxa. 14 southern plants and 4 northern plant by criterion from climate change study were found in this area. Naturalized plants were 17 families 46 taxa, that was 9.1% of total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Even naturalized plants has not influence on the islands vegetation. However, regular passenger ferry between islands and increasing of visiter will be affecting vegetation.

A Study on the Image of Seocheon for Regional Name Brand Development (서천군의 지명활용 지역브랜드개발을 위한 이미지 조사 및 연구)

  • Kim, Mi-Heui;Park, Duk-Byeong;Roh, Ky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99-99
    • /
    • 2009
  • 지명(地名)은 그 지역의 역사와 전설, 문화, 풍속은 물론 독특한 자연환경이나 생활 모습을 담고 있어 농업농촌의 지역적 특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지명유래의 활용성 증진의 한 방편으로 브랜드 및 문화관광상품 개발을 위해 서천군의 자연마을 지명유래, 이미지, 관광자원 등을 조사하였다. 서천군의 자연마을 유래 516건에 대한 자료는 국토지리정보원, 문화원자료집, 서천군홈페이지에서, 산, 강, 골, 고적, 못 등 그 외 지명자료는 한글학회 지명총람에서 2,000건을 수집하였다. 자연마을지명의 유래 516건을 8개 유형으로 구분하면 자연지리 122건, 인문지리 114건, 생태환경 51건, 산업경제 25건, 역사 34건, 유적유물 28건, 민속 37건, 종교 19건이며, 지형(80건), 생물(33건), 고사(19건)관련 유래가 많았다. 서천군 지역브랜드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는 지역민 154명과 방문객 152명 총 306명을 조사하여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 분석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성이 55.6%, 대졸자 54.2%, 연령은 40대(29.1%), 1500만원-3000만원 미만의 연소득자 32.0%가 가장 많았다. 서천군의 형용사적 이미지를 기술통계량으로 살펴보면 지역민은 평화로운, 정감있는, 순수한, 전통적인, 믿을수 있는 순으로, 방문객은 순수한, 평화로운, 정감있는, 따뜻한, 친절한 순으로 평균간이 높게 나타났고, 요인분석에 의한 지역민과 방문객의 인지적 형용사 도출결과는 정열적, 평화적, 보수적인 3가지 요인이다. 또한 서천군의 대표적 상징자원은 지역민의 경우 춘장대해수욕장(32.5%), 희리산 자연휴양림(16.9%), 금강하구둑 철새도래지(16.9%)순이며, 방문객은 춘장대해수욕장(43.4%), 희리산 자연휴양림(23.0%), 한산모시축제(23.0%)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지명 호감도는 지역민의 경우 꽃뫼(29.2%), 솔리(20.8%). 소야(17.5%)순이며, 방문객은 꽃뫼(30.9%), 솔리 (19.7%), 무닛골(16.4%)순으로 높았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를 통하여 서천군의 지명을 활용한 브랜드개성을 측정할 수 있어 마케팅 관점에서 서천군의 브랜드를 도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Innovation Networks in Longevity Area of KOREA (한국 장수지역의 혁신 네트워크)

  • 박삼옥;송경언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27-27
    • /
    • 2004
  • 한국 장수지역 경제활동의 생산과 혁신 네트워크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21세기 지식정보화 시대의 이상적인 고령사회에 대비한 새로운 지역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한국 장수지역 중의 하나인 전라북도의 순창군과 전라남도의 담양군, 곡성군, 구례군 등의 대표적 제조업체와 연구개발기능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경제활동의 공간적, 산업적 연계와 혁신성을 파악하였다. (중략)

  • PDF

Health Lifestyle Patterns of Seoul Adults (서울 일부지역 성인의 건강생활양식 유형연구)

  • Lee, Hwa-Kyung;Lee, In-Young;Kim, Eun-Mi;Lee, Hun-Jae;Bae, Sang-Soo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1 no.2
    • /
    • pp.145-156
    • /
    • 2006
  • Objectives: Health behaviors are related to each other, or they may be essentially dependent upon each other. Hence the overall health behaviors of a given population could be better described in terms of health lifestyle patterns. This paper tried to classify such patterns in a sample population and suggest the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s. Methods: A sample population comprised of 2,775 adults who reported their health behaviors in a public health surve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moking, drinking, diet, and exercise related pattern of behaviors. Clustering analysis was used to classify them. Results: Six health lifestyle patterns were identified. Individuals in the passive lifestyle cluster (48.3%) had no active health promoting activities, but did avoid risk taking health behaviors. 24.8% of the samp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had an overall healthy lifestyle. 13.5% of the sample were in the smoking cluster, and 8.4% were in the alcohol drinking cluster. The hedonic lifestyle (4.5%) was characterized by heavy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poor diet and exercise. 0.7% of the sample (Smoking-Drinking lifestyle) had heavy smoking and drinking, but good diet and exercise. Each group could be characterized by sex, age, and income. Conclusions: A population sample of Seoul adults were successfully clustered into six health lifestyles. The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suggested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e each health lifestyle groups. We can approach to a certain target population with specific strategy.

  • PDF

Vegetation Structure around Abeliophyllum distichum Habitats (미선나무 자생지 주변의 식생구조)

  • You Ju-Han;Cho Heung-Won;Jung Sung-Gwan;Lee Cheol-He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8 no.4
    • /
    • pp.382-391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effective and systematic counter plan of conservation by analyzing vegetation on Korean endemic plants and rare and endangered plants, Abeliophyllum distichum, habitats and to present the raw data and direction on counter plan of restoration. The dominant species of tree layers were Platycarya strobilacea(Goesan-gun Chujeom-ri I), Pinus densiflora(Goesan-gun Songdeok-ri II and Yulji-ri III), Robinia pseudo-acacia(Yeongdong-eup Maechon-ri IV), Quercus variabilis(Jincheon-gun Yongjeong-ri V) and Pinus densiflora$.$Quercus variabilis(Buan-gun Junggye-ri Ⅵ). Subtree layers were dominated by Quercus dentata(1st site), Quercus serratu(2nd site), Quercus acutissima(3rd site), Robinia pseudo-acacia(4th site), Zelkova serrata(5th site) and Quercus variabilis(6th site). And the dominant species of shrub layers were Lindera obtusiloba(1st and 5th site), Lespedeza bicolor(2nd site), Stephunandra incisa(3rd site), Quercus aliena(4th site)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6th site). The dominant species of herb layers were surveyed Humulus japonicus$.$Pueraria thunbergiana(1st site), Oplismenus undulatifolius(2nd and 4th site), Carex siderosticta$.$Pueraria thunbergiana(3rd site), Streptolirion cordifolium$.$Humulus japonicus(5th site) and Sasa borealis(6th site). Among the surveyed sites, the Goesan-gun Yulji-ri supremely abounded in species and individuals, and there was surveyed each 21 species and 116 individuals. As well, this site showed the highest H'(1.123) and H'$_{max}$(1.322). Therefore, Goesan-gun Yulji-ri formed diverse vegetation and Yeongdong-eup Maechon-ri and Buan-gun Junggye-ri showed relatively poor vegetation.ation.